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주변에 돈 많은 사람들 중 - 부자된 과정을 진심으로 존경할 만한 사람 있으세요?

카후나 조회수 : 1,666
작성일 : 2009-03-08 16:23:04
제가 개인적으로 가까이 멀게 알고 있는 사람들 중에
선진사회 (여러 면에서 잘 사는 사회) 에 보면 재산이 아주 또는 상당히 많은 사람들 중에
부자가 된 과정과 절차, 그 후의 처신 등에서
60-80%의 사람들은 진심으로 존경할 만 하더라구요.

여기서 개인적으로 알고 지내는 돈 많이 번 사업가,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변호사, 자산가(투자가) 등 보면
사람들은 대개 좋은데 돈 번 과정이 한결같이 존경이 안가요.
뇌물, 리베이트, 전관예우, 편법, 투기, 룸싸롱에서 사업추진, 굽실대기, 연줄대기, 이런거 안하는 사람 못봤어요.

혹시 우리사회에서 알고 계신  부자 중에 진심으로 존경할 만한 사람 아시면 추천해 주세요.
IP : 119.70.xxx.18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딴소리...
    '09.3.8 4:27 PM (218.156.xxx.229)

    카후나님...여러가지 주제로 의견수집 중이신가봐요...근자의 글들이 다...

  • 2. 부자
    '09.3.8 4:35 PM (125.177.xxx.201)

    존경까지 할 일은 없겠지요. 그냥 정당하시기나 하면 훌륭한 거구요.

    과격하게 말하면 좋은 부자, 착한 부자는 결국 구조적인 모순을 오히려 가려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구요.
    빌 게이츠가 기부를 많이 하는 좋은 부자이긴 하지만,
    그의 성공은 결국 그의 능력이 사회경제구조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게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만으로 가능한 건 아니지요.
    누구나 잘 사는 사회는 불가능하지만 그 원인을 절대 개인으로 돌려서는 안된다는 걸 잊지 말았으면 해요. 부자든 빈자든 말이죠.
    너무 뜬금없는 댓글이었죠?^^

  • 3. 제가
    '09.3.8 4:36 PM (218.234.xxx.189)

    알고 있는 사람중에 저희 외가 할아버지하고 할머니요.
    제가 어려서 10 여년을 외가에서 살았어요.

    물려받은 재산 없는 외가였는데 두분이서 정말 근면하게 사시면서
    중소도시인데 주위에 작은집을 하나씩 사서 세놓으시는것을 하셨어요.

    과일도 늘 흠집 있는것 사드시고 세수한 물도 걸레빨고 요강 헹궈서 화초에 주도록
    저는 어려서부터 교육 받았어요.

    그리고 중고 물건, 남에게 받아 쓰는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셨고
    절대 수중에 돈이 없어도 남에 돈을 빌리지 않으셨고.
    허세가 전혀 없으셨어요.

    70,80년대 하나씩 사둔 작은 집들이 신도시 개발로 보상이 나와서
    정말 큰 부자가 되셨지만 여전히 검소하세요.

    어려서 배운 검소한 습관이 저도 몸에 배어서 생활하고 있답니다.

  • 4. ㅠㅠ
    '09.3.8 4:36 PM (119.148.xxx.222)

    아직까지 존경할만한 부자를 만나지 못했습니다.

  • 5. 은혜강산다요
    '09.3.8 4:40 PM (121.152.xxx.40)

    저 카후나님 글 읽으러 들어왔다가 딴소리님 첫 댓글보고 빵터졌어요..
    미안해요 카후나님...^^
    저도 여기서 질문 많이하는편이라서 막 동지감 느껴 웃었어요..ㅎㅎ

  • 6. 은혜강산다요
    '09.3.8 4:44 PM (121.152.xxx.40)

    우리 아파트 정문 앞에서 부동산 하시는 집사님요..큰 부자는 아니시고..건물 몇채 있는데...
    진짜 십일조를 한답니다...한달 십일조 금액이 130만원 정도 한다네요..교회재무집사님이 그러셔요...그런데 그 집사님댁엔 보일러를 잘 안트세요...저 그집만 가면 깨갱입니다...
    전 대단한 부자보다 살만한 부자가 좋은일 할 때 더 감동을 받아요..^^

  • 7. 우리 역사가
    '09.3.8 4:46 PM (125.177.xxx.201)

    부자들이 비난받아 마땅한 역사를 보여주고 있으니까요.^^
    당장 종부세 안 내겠다고 아우성쳐서 결국 정권도 교체하고 자기 재산 지키는 것처럼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는 권력과 부를 가진 자들의 나라였어요.
    그들이 자신의 부를 위해 악착같이 지켰던 건 힘없는 사람들에게 짐을 지우는 일이었죠.
    결국 지금의 엄청난 집값도 그런 정책으로 가능해진거고 단물은 부자들이, 쓴물은 서민들이 삼켜야 하는 현실인 거니까요.
    개개인을 비난하는 것보다는 그런 구조에 대해 분노하는 거라고 이해하세요.
    알고 보면 좋은 분들도 많겠죠.^^

  • 8. 은혜강산다요님
    '09.3.8 4:58 PM (119.148.xxx.222)

    그 집사가 십일조를 매달 130만원씩 안하고 남 돕는데에 130만원씩 쓰면서 보일러도 안틀고
    살면 존경하겠습니다^^

  • 9. 카후나
    '09.3.8 9:32 PM (119.70.xxx.187)

    첫 댓글님 포함해서 모두 감사드립니다.

    돈을 쓰는 과정이나 집에서 가정에서 친구들간에 모두 좋은 사람들인데

    돈을 버는 과정은 그리 존경하지 못할 분들이 많아서 질문해봤습니다.

    너무 돈잘벌고 가정적이고 천사표 남편이고 아빠인데 밖에서 권모술수에 뇌물받고 이런 사람들 많지 않나요?

    제가 어쩌다 보니 우리사회에서 사회생활을 아주 많이는 못해봤어요. 고맙습니다.

  • 10. 우리
    '09.3.8 9:33 PM (211.192.xxx.23)

    시아버지요,,
    못 배우고 어려서 조실부모하고 혼자 정말 자수성가,,,
    엄청 아끼고 택시타면 큰일인줄 아시고,,
    중간에 땅이 좀 오르기는 했지만 재산세 다 내시고 전철역으로 수용당했으니,,,뭐 그걸로 큰돈 번것도 아니고 ㅎㅎ
    근데 남에게 잘 베푸니 정말 뜯으러 오는 사람 너무 많구요,,,도움받아도 고마워하지도 않고,,
    베플면서 상처 많이 받았어요,,돌아가시니 여기저기서 니네 아버지가 나 얼마 준다 그랬다,,하고 나타나는 사람이 어찌나 많던지 ㅠㅠ

  • 11.
    '09.3.8 9:52 PM (125.186.xxx.143)

    음 저희 할아버지와 아버지요.
    저희 할아버지께선 서울에서 갈 곳없는 분들에게 거처를 마련해주시거나,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 학비를 대주시고 집에서 학교를 다니게 배려해주셔서, 할아버지 돌아가신후에 그 분들이 수소문해서 찾아오기도 했구요. 저희 아빠께서는 재산의 일부분을 항상 지역사회에 환원을 하고 계세요.

  • 12. 음...
    '09.3.8 10:00 PM (211.178.xxx.113)

    제 친정 아버지요.
    새벽 5시에 일어나 고무 장화 신고 하루종일 공장을 돌아다니시며 일하셨죠. 개같이 벌어서, 자식들에게는 정승같이 대해주셨어요. 좋은 옷 입히고, 좋은 학교 보내주시고, 시집 장가 다 보내주시고요. 회사직원 자녀들도 대학까지 전부 학자금 대주시고요. 정작 본인은 2만원짜리 티셔츠도 벌벌 떨며 못사입으시면서요.

  • 13. 카후나
    '09.3.8 11:01 PM (119.70.xxx.187)

    아... 역시 그냥 우리 주변에 평범하면서도 진실되게 성공하신 분들이 많으시군요...
    우리 아버지, 이웃, 할아버지,

    그런 분들이 우리사회의 지도층이 되었어야 마땅하지 않을까 해서 다시 한 번 답답해서요.

  • 14. 울엄마
    '09.3.8 11:03 PM (210.92.xxx.3)

    친구들이 다 부자인데요...하나같이 죄 부동산으로 부자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공통점이 열혈 기독교인이고 하나같이 자기 밖에 모르는 싸가지(?)
    할머니들입니다....맨날 남 욕이나 하고 아직도 푼돈 가지고 벌벌 떨면서
    백화점에서 수백만원짜리 옷 사고 맨날 교환에 환불...점원 괴롭히기...
    한마디로 자기한테 쓰는 건 평펑 쓰고 남한테 쓰는 건 벌벌..교회에는 펑펑...
    정말 존경하고 싶어도 존경할 만한 구석이 없어요..최고대학 나오고 가진 것도
    많은 사람들이 도대체 왜그렇게 사시는지 모르겠어요..하루종일 남 욕하는 재미로
    사시니.....

  • 15. 1000만원 이상
    '09.3.9 2:00 AM (211.54.xxx.138)

    고액 기부자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하네요. 아직은 다른나라에 비해
    턱도 없이 부족하지만요. 아래 기사에 원글님이 찾으시는 착한 부자가
    한분 나오시네요.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8&no=557173

  • 16. 저희 부모님이요..
    '09.3.9 10:53 AM (115.136.xxx.131)

    부자라곤 할 수 없지만.. 남들이 부자라고 합니다 ㅋ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7803 성인사이트 아이콘이 컴에 계속 있어요. 5 안나비니 2005/01/31 900
287802 분당 구미동 치과, 추천해 주시겠어요? 2 초이youn.. 2005/01/30 1,018
287801 경상도 지역 여러분!! 대구 코스트코 번개합니다 54 beawom.. 2005/01/19 2,861
287800 여러부~~ㄴ.. 잘들 지내세요~~~ 5 안나돌리 2005/01/30 889
287799 유통기간 지난 홍삼파우치.. 버리나요? 4 게으른주부 2005/01/30 1,184
287798 요리책 7 진진 2005/01/30 1,056
287797 도와 주세요! 14 걱정 2005/01/30 1,194
287796 <질문>서버증설작업 정확한 시작시간을 알고 싶어요. 9 J 2005/01/30 1,178
287795 주근깨 뺄까요? 2 깨순이 2005/01/30 918
287794 신기한 아기나라 vs 프뢰벨 3 레드레몬 2005/01/30 918
287793 떡 만들기 배울 수 있는 학원은 없나요? 5 짱구사랑 2005/01/30 948
287792 2개월 아기 예방접종 질문 - 폐구균 11 아직 유령 2005/01/30 944
287791 유명한점집? 3 간절한마음 2005/01/30 1,059
287790 너무 엉망이군요 25 익명 2005/01/30 2,655
287789 곧 출산인데 산후도우미 부를려면요? 모유 119는요? 5 AKA 2005/01/30 946
287788 로또 4 오대양 2005/01/30 900
287787 동서끼리 호칭 4 막내동서 2005/01/30 1,012
287786 신사동 금도암 작명소 연락처 아시면 좀 알려주세요 1 복만이네 2005/01/30 952
287785 아기 치과 치료(수면요법에 대해) 8 질문 2005/01/30 985
287784 창전동은 치과 좋은데가 없나요??? 2 takuya.. 2005/01/30 905
287783 울아기 세상 보기까지.. 13 배추흰나비 2005/01/30 1,104
287782 처음 6 꽃향기 2005/01/30 892
287781 자동차 사고 합의금 어떻게 받나요? 1 2005/01/30 946
287780 거실확장 해보신분!! 10 케이시 2005/01/30 921
287779 내 남자친구 이야기 - 부모님 인사드리기편 11 나나언니 2005/01/30 1,009
287778 과외경험많으신분들..아님 학부모님.질문이요 6 kko 2005/01/30 939
287777 아마츄어로 악기 하나 배우고 싶어요 12 소박한 밥상.. 2005/01/30 971
287776 악기 개인지도 10 클라리넷맘 2005/01/30 973
287775 강남구 괜찮은 치과 추천부탁드립니다. 7 황수경 2005/01/30 918
287774 인덕션용 냄비를 가스렌지에 써도 되나요? 4 냄비부인 2005/01/30 17,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