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경제주장) 조심스러운 몇가지 예측들... 외 1편.

verite 조회수 : 701
작성일 : 2009-03-03 10:25:05
아고라 경제방에서 할발히 활동하는 논객중에 한 명이죠.....
항상 말씀 드리지만,,,,
논객의 주장이니 만큼,,,
긍정이든, 부정이든,,,,, 글을 읽는 님들의 권한입니다....
좋은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

조심스러운 몇가지 예측들...   [상승미소]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569...

1. 추가적인 금리인하를 예상합니다.
2. 실질금리의 상승은 계속될 것 같습니다.
3. 정부 대책은 안내놓은게 나을 것 같습니다.
4. 한국 종합주가지수의 방향성에 주목할 시점
5. 헤지로서의 엔화
6. 부동산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만지작 거릴 몇가지 정책들


--------------------------------------------------------------------------------------------


외채규모 논란, 진짜 중요한 것은??    [상승미소]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573...


2008년 9월, 리만 브라더스가 파산하기 직전 대한민국 금융시장이 아노미에 휩싸인 적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와 한국의 강만수 기획재정부간에는 여러가지 논쟁이 있었습니다.
한국 경제가 힘들다고 주장하고, 한쪽에서는 절대 그런 일없다고 방어하고...누구말을 믿어야 할지 고민한 적이 있었습니다.
물론 전 개인적으로 둘 다 믿지 않았습니다. 한 쪽은 과장하고, 한쪽은 축소하느라 정신없었으니까요.
그런데 이런 비슷한 일이 6개월의 시간이 흐른 최근에 다시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공통점이 있다면 위기설이 재 등장했고, 원달러 환율은 요동을 치고 있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번에 논란이 되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지 일단 한 번 보시도록 하시죠.

(중간 생략)

일단 윤장관은 기존의 환율상승이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발언을 하셨네요.
이는 수출기업 측면만 본다면 당연히 맞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는 수출기업만 있는 것이 아니지요.
우리처럼 신흥경제국은 기술 자립기반이 약하므로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환율상승으로 인한 이익은
다른 원자재 수입으로 인하여 상쇄되는 것입니다.
또한 외화 채무를 많이 갖고 있는 국내은행권, 한국전력이나 대한항공 등의 항공사등의 재무구조에 치명타를 날리고 마는 것이기에
적정 환율의 유지가 중요한데 마치 현재의 환율을 용인하는 듯한 발언은 참으로 난감한 발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발언으로 역외 투기세력들이 더욱 심하게 원달러 환율을 공격하지는 않을 지 걱정이 앞서는 마음은
비단 저뿐일까요?

IP : 211.33.xxx.225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verite
    '09.3.3 10:25 AM (211.33.xxx.225)

    조심스러운 몇가지 예측들... [상승미소]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569...

    외채규모 논란, 진짜 중요한 것은?? [상승미소]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573...

  • 2. ^^;
    '09.3.3 10:27 AM (210.91.xxx.157)

    박복 방지위원회 회원 출동.
    좋은 글 전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3. verite
    '09.3.3 10:39 AM (211.33.xxx.225)

    휴,,,,,,,,,,,, 감사합니다,,,,,,,,,,,,,,,,,,,,
    조마조마 했어요,,, 아직 자는지,,,,, ^^

  • 4. 준비
    '09.3.3 10:46 AM (121.161.xxx.164)

    위기관리 헷지에서 투자관리로 넘어갈 준비를 해얄 거 같네요.

    다들 전화위복하시길...

  • 5. 인천한라봉
    '09.3.3 10:48 AM (211.176.xxx.44)

    투자관리라..

  • 6. 에효~~
    '09.3.3 10:59 AM (220.75.xxx.179)

    아는게 없어서 걍 현금만 보유하고 있는데..투자관리 뭘 어찌해야 하는건지..

  • 7. verite
    '09.3.3 11:10 AM (211.33.xxx.225)

    글 올리는 저도 마찬가지 입니다,,,,,
    재테크 방법은 몇가지 알지만,,,,,,,,,, 무서워서 손도 못대고 있지요....
    그냥,,, 몇푼 안되는 재산이지만,,,,, 꼭 잡고 있는 관리^^하고 있는 중입니다 ;;;

  • 8. 구름이
    '09.3.3 11:14 AM (147.46.xxx.168)

    제 의견을 좀 덧붙이겠습니다.

    2. 실질금리(국고채 금리)는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럴 수 밖에요. 정부가 재정적자를 키워가고 있고 올해에는 예측하기 힘들정도로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세수는 빤한데 삽질에 엄청 돈을 퍼붓고 있거던요. 부채가 많아지면 돈 빌리기 힘들어지지요. 그러면 금리 올라갑니다. 금리가 더 올라갈 것 같은데 누가 돈을 빌려주려 하겠습니까? 그러니 국고채 가격이 떨어지고 그러니 금리는 올라가는 것이지요. 이말은 결국 앞으로 실질금리는 올라갈 것이라는 것이지요.

    5. 헤지로서의 엔화: 엔화강세에 대해서는 작년에 말씀드린대로 입니다만, 지금은 유럽과 일본도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어서 좀더 안전한 자산인 달러를 요구하는 수준이 당분간 유지될 것입니다. 또한 일본도 엔고로 수출길이 막히고 있어서 걱정이거던요. 따라서 엔의 약세가 점쳐졌었습니다. 실지로 그동안 엔화가 달러대비 약세를 보였구요. 하지만 달러강세는 하반기 이후 사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무엇보다도 달러를 찍어내는 이국의 재정적자가 워낙크고, 대외부채도 만만치 않은데다, 더우기 통화량은 기준금리 인하로 엄청 증가되었거던요.

    마지막으로 유동성, 즉 현금확보를 강조하신 부분에 100% 동의합니다.

  • 9. verite
    '09.3.3 11:31 AM (211.33.xxx.225)

    구름이님의 깔끔한 정리,,,,,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ㅎ
    아는거도 없는 제가 오지랖 넓게 펼쳐만 놓고 걱정합니다,,,,,,,,
    구름이님,,,,
    부족한 펌질에 단비를 내려 주세요,,,,,, ^^;

  • 10. 구름이
    '09.3.3 11:40 AM (147.46.xxx.168)

    상승미소님이 걱정하신 부동산세제 대폭완화는 기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그리될것입니다.
    오늘 윤종현이가 모조리 다 풀겠다고 하는 내용의 발표를 하였습니다.
    근데 지말로는 정상화라고 하는군요. 아무튼 이정부는 사기치는 모습은 위나 아래나 똑 같습니다.

    http://realestate.daum.net/news/news_content?type=main&sub_type=&docid=MD2009...
    윤증현 장관 “부동산세제 정상화하겠다” 2009.03.03 10:09 | 헤럴드경제

  • 11. verite
    '09.3.3 12:55 PM (211.33.xxx.225)

    강만수나,,,, 윤증현이나,,,
    어청수나,,,,, 김석기나,,,
    어쩜,,,, 그 동네에는 그런 애들밖에 없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5433 미등기 아파트에 전세드는거 괜찮나요? 4 영주 2004/08/09 917
285432 십대의 자녀들을 망가뜨리는 말들.....뜨악!!!! 8 인디언핑크 2004/08/09 1,645
285431 다 읽긴 했는데ㅠㅠ 2 아름다운그녀.. 2004/08/09 906
285430 어느 보험에 가입해야 할지... 3 익명(죄송).. 2004/08/09 905
285429 자동차보험 어떤 것이 조을지..... 6 아이리스 2004/08/09 884
285428 교육, 고민입니다. 5 귀여운토끼 2004/08/09 883
285427 불미나리를 아시나여? 1 캔디 2004/08/09 907
285426 수입냉장고 좋은가요? 17 삼마니아 2004/08/09 983
285425 일산에 어른들 모시고 가기 좋은 식당 추천 요망....... 7 blueju.. 2004/08/09 1,057
285424 요즘 저의 고민 5 달개비 2004/08/09 1,140
285423 [re] 프로방스요... 예진모친 2004/08/09 883
285422 프로방스요... 10 plumte.. 2004/08/09 1,417
285421 왜 지워졌는지 모르겠네요.. 2 ㅠ,ㅠ 2004/08/09 880
285420 네살된 애가 손톱을 물어뜯어요. 2 beroni.. 2004/08/09 897
285419 애기 가구를 살려고 하는데요... 4 bimil 2004/08/09 878
285418 의견물어볼께요-명절에 여행가는 것 12 코알라 2004/08/09 1,055
285417 기도해주세요 8 민유정 2004/08/09 893
285416 직장을 계속 다녀야 할까요?? 7 직장맘이고픈.. 2004/08/09 1,329
285415 먹고시퍼라..먹고시퍼.. --; 26 깜찌기 펭 2004/08/09 1,535
285414 나도 한번 막말을 해볼까? 5 익명 2004/08/09 1,312
285413 늦은휴가 어디로 가면 좋을까요?? 3 마리 2004/08/09 885
285412 아무래도 저 옹녀(??)인것 같습니다..ㅋㅋ 18 소금별 2004/08/09 1,850
285411 잠실쪽 전세금저렴한 곳 ? 7 헤리 2004/08/09 822
285410 생활비 얼마를 써야 적당할까요? 9 익명일수밖에.. 2004/08/09 1,991
285409 둘이서만 한 번개! 8 청포도 2004/08/09 1,058
285408 잠이 안 와서 잡담... 2 생크림요구르.. 2004/08/09 1,046
285407 여자로 수십년 살아온 중 가장 비참할 때 4 너무 허무해.. 2004/08/09 2,165
285406 저 미혼인데요.. 23 쑥쓰러워 익.. 2004/08/09 2,047
285405 아마인유 김미숙 2004/08/08 893
285404 제주알뜰여행 1 어.... 2004/08/08 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