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돌잔치를 하는 이유?

궁금 조회수 : 1,993
작성일 : 2009-01-19 09:02:05

순수하게 정말 궁금해서 여쭈어요.^^;

부페나 호텔같은데 빌려서 여러손님들 초대해서 하는 돌잔치요.. 하는 이유가 뭔가요?

아이의 첫생일을 많은 사람들이 축하해주기 바래서인가요?

아님 돈때문인가요? (남으니까 하지 안남는 장사면 안한다는 지인말을 들어본적이 있어서;;;;)


임산부카페에 물어보려다 거긴 돌잔치 준비하고계신 분들이 많아서 왠지 무서워서 여기에 여쭈어요.

IP : 121.169.xxx.21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축하
    '09.1.19 9:13 AM (58.77.xxx.122)

    님 말씀대로라면 결혼식은 왜 하고 장례식은 왜 할까요?
    예전에 첫돌 넘기기도 무지 힘들어서 그거 축하해주려고 시작했다는 말도 있더군요.
    축하가 우선이고 상부상조가 관습인 이 나라에서 그래도 마이너스나지 않으면
    고맙다는 뜻을 그렇게 하겠지요

  • 2. 저도..
    '09.1.19 9:15 AM (203.244.xxx.6)

    저도 돌잔치 하는거 별로 안좋하는 사람입니다.
    하고싶으면 그냥 가족끼리 하면 될것을...(가족끼리 호텔서 하든 간소하게하든 상관없고)
    굳지 직장동료까지 부르는지..
    솔직히 결혼하고, 돌잔치 하는 시기가 몰려있어서..그 나이때에 있는 사람은 정말 부담되더군요

    전 첫째아이 가족끼리 호텔서 식사하는것으로 대신했고, 둘째도 그렇게 할 생각입니다.
    그래도 초대하니깐 기본 10만원은 내야하니 참 부담되네요..

  • 3. 궁금
    '09.1.19 9:18 AM (121.169.xxx.213)

    결혼식, 장례식과는 좀 다르게 생각하지만........
    암튼 첫생일이기때문에 의미가 있는거지요? 돌잔치라는게 다른나라에도 있는건가요?

  • 4. 보통은
    '09.1.19 9:29 AM (121.139.xxx.156)

    보통은 돈이 오고가기때문에 내가 부주받았으면 또 줘야하는게 인지상정이라
    잔치형식으로 된거같아요
    그런데 정말 돈때문에 잔치를 하는 사람은 별로 없죠..
    저만해도 그냥 다들 하니까 으레 하는거겠거니...싶어서 했고
    막상 해보니 애는 애대로 고생하고 손님들 초대하는 자리니 준비할것도 많고
    (뭐 흔히들하는 이벤트나 무슨 덕담보드 이런건 안했지만 옷을 빌리느니 부페를 예약하느니 그런 준비요)
    이래저래 고생하고 정신없었던거같아요. 또하라면 안할거같네요

  • 5. 돌잔치
    '09.1.19 9:41 AM (119.65.xxx.120)

    요즘 같이 자식이 귀하고 나 밖에 없는 소중한 자식인데
    세상에 태어나 한 살 먹었으니 세상에 널리 알려 축하해 주고
    여러사람 불러 축복해 줘야지요
    그렇게 귀한자식 생일인데 어떻게 그냥 보낼수가 있겠는지요
    못하는 사람이 억울한 거죠
    근데 아무리 돈이 많고 자랑도 하고 싶지만 주의 해야할 점이 있더라구요
    돌잔치 잘못하면 아이가 잘못 될 수도 있다는 걸 아셔야 해요
    아무래도 여러사람이 오다 보니까
    아이 만지고 뽀뽀하고 너무 이뻐하다보니 사랑이 넘쳐
    아이가 아프게 되더라구요
    귀한 자식일수록 그냥 평범하게 키우세요
    가족과 조촐하게 검소하게

  • 6.
    '09.1.19 9:53 AM (221.161.xxx.100)

    돌잔치는 나름 뜻깊은 날이지만

    10만원짜리 부페에 애들까지 데리고 와서 5만원 부주했네....
    뒷담화하는 엄마들이 말많고 탈많은 돌잔치로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 7. 그러게요
    '09.1.19 10:03 AM (116.127.xxx.122)

    왜 할까요 ㅎ
    우리나라 전통적으로 내려오던거고...
    요새는 아이 하나인 집고 많고 ...귀한 내자식 생일 축하해주고 싶은 마음이겠죠.
    단 귀찮아하지 않고 진정 축하하는 마음으로 기꺼이 와줄 사람만 부르면 되겠지요.

  • 8. 미국인들은
    '09.1.19 10:12 AM (220.126.xxx.186)

    돌잔치 남한테까지 돈 받으면서 안 하겠죠?
    그 들 문화가 내 자식 내가 이뻐해주고 내가 주면 된다고 생각하지 남에게 돈 돌반지 받는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할 것 같아요.
    돌잔치가 한국 일본 중국에만 있는 풍습으로 알고있는데...

    외국은 외식문화보다 집 안에서 가족끼리 먹고 즐기는걸 중요시 여기지
    발렌타인데이날이라고 직장사람들까지 초콜렛을 챙기지는 않잖아요

  • 9. 돌잔치
    '09.1.19 11:24 AM (118.221.xxx.23)

    우리나라 풍습이지만,
    우리옛어른들도 아기돌때는 귀신이 노여움한다고 해서
    가까운 친척이외에는 잘 알리지 않았다고 하네요.
    돌잔치 그냥 빈손으로 와서 진심으로 축하만 해주는 문화라면
    과연 손해보면서 돌잔치 하는 분들이 몇이나 있을지 궁금하네요.

  • 10. 돐이나
    '09.1.19 11:44 AM (120.50.xxx.222)

    환갑이나 옛날에는 살아남기가 힘들어서
    무사히 살아남은것 축하하려고 했던거죠
    결혼도 그렇고 돐잔치도 초대받는사람이 고역스럽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나 싶어요
    결혼식처럼 각종 부대사업자만 배불리지 않나 싶기도 해요
    저 둘째임신중인데 사진만 찍고 잔치대신 여행갈거에요

  • 11. 돐잔치
    '09.1.19 11:45 AM (120.50.xxx.222)

    돌잔치로 정정합니다

  • 12. 저는
    '09.1.19 11:59 AM (118.32.xxx.118)

    저는 누구 돌잔치 하면 좋아라 잘가는 사람입니다..
    다녀보니.. 아주 가까운 친구 아니면 잘 못보는데 아기는 더욱 못보죠..
    친척인 경우도 칠순이나 환갑 돌잔치에서 만나면 좋구요..
    명절과는 또 다른 반가움이 있더라구요..
    그냥 아기가 어떤가.. 보기도 하고.. 거기서 친구들도 만나기도 하구요..
    아기 축하의 의미보단 아기를 보러갑니다..

    남의 돌잔치 다니는거 좋아하면서도 제 아기는 안하려고 했거든요..
    아기 낳고 안하겠다고 하니.. 주변반응 별로 안좋아요....
    저희는 가까운 친척과 친구 불러서 합니다..(정기적으로 만나는 사람만 불러서 해요..)

    요즘 안 가까운 사람은 돌에 안부르지 않나요??

    돈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긴데요..
    직장 동료부르면 부주보다 식대가 더 많이 나갈걸요??

    왜 하느냐.. 물으신다면... 그냥이라는 대답밖에는^^

    저는 안친한 사람들 돌잔치에 초대된 적이 없어서 이런 소리를 할지도 몰라요~

  • 13. 저는
    '09.1.19 12:00 PM (118.32.xxx.118)

    그리고 만약에 축하에 의미를 둔다면..
    그건 아기의 축하가 아니라.. 낳고 키운 엄마에 대한 축하겠죠..
    ㅋㅋㅋ.. 결국 저는 저를 위한 돌잔치입니다..

  • 14. 옛날엔
    '09.1.19 1:25 PM (61.99.xxx.142)

    영아사망률이 워낙 높아, 돌까지 살았음, 이제 죽을 일 없이
    살 수 있겠구나 해서 잔치를 했다지만
    요즘은 진짜 왜 하는지..?@.@
    본전 생각나서 하시는건지, 누굴 위한 돌잔치 인지...
    어느 돌잔치를 가봐도 애는 지쳐 찡찡대거나, 자거나 하고 있드만..--;;;

  • 15. 저는
    '09.1.19 8:54 PM (60.240.xxx.140)

    그래서 돐잔치같은 건 안 했어요.
    그냥 식구들끼리 간단하네 저녁해서 먹었네요.

  • 16. 그래서
    '09.1.19 9:21 PM (90.240.xxx.127)

    요즘 돌잔치 안하는 실속파 부모들 많은데...

    그래도 선물은 줘야될것같은 부담감은 생깁디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9785 백화점 세일 전시품과 인터넷 구매 중??(세탁기요) 6 ..... 2009/01/19 649
269784 40대 다시 가구를 마련한다면? 10 한밤에 2009/01/19 2,731
269783 구리,남양주, 하남, 성남 등으로 차로 출퇴근하기 가장 좋은 서울의 아파트 단지는요? 7 ^^ 2009/01/19 877
269782 설날에 개량한복을 입는데 신발은 대체 뭘로 신어야 할까요???? 2 개량 한복에.. 2009/01/19 683
269781 분당에서 집을 선택할때 동남향과 남향중 어디를 선택해야 하죠? 11 신분당선 2009/01/19 1,578
269780 킹 사이즈 침대 추천 해주세요~ 이사예정 2009/01/19 371
269779 방금 박중훈쇼 보셨나요? 8 전업새댁 2009/01/19 6,942
269778 드럼세탁기가 통돌이보다 더 많이 들어가는가요? 8 ^^ 2009/01/19 901
269777 아이 둘은 있어야겠죠? 37 아이 2009/01/19 2,193
269776 생활비 카드를 가족카드로 하면 좋을까요? 2 전업 2009/01/19 682
269775 혹시 아이한테 씽크빅 스마트 잉글리쉬 시키시는 엄마 있나요? 아이맘 2009/01/19 943
269774 美 "땅콩버터 제품 먹지마라 8 .. 2009/01/19 2,131
269773 아이(5세) 미술수업 환불문제.. 3 요요시러 2009/01/19 389
269772 신촌 근처의 특목고대비학원 추천 좀 해주세요.. 1 ciel 2009/01/19 404
269771 고부갈등+남편과의갈등..고민입니다. 조언좀해주세요. 4 하루하루가... 2009/01/19 1,733
269770 잠실~오리역 상설 할인매장 있나요?? 2 50대옷 2009/01/18 618
269769 세탁조 세정제 어떻게 쓰는 건가요? 3 으음.. 2009/01/18 510
269768 실내 식물잘키우는블로그 아시느분 3 뻥튀기 2009/01/18 700
269767 웨딩케익을 담을 수 있는 상자는 어디서 사야할까요? 3 케익상자 2009/01/18 418
269766 백화점에서 물건 교환시 값을 어떻게 처리해 주는건가요... 9 교환 2009/01/18 925
269765 요즘 잼있는 책 추천해주세여^^ 4 .... 2009/01/18 803
269764 점집 잘 다니시는 울 시엄니.. 어째야 하는지요.. 6 미신을 믿으.. 2009/01/18 1,215
269763 요즘 옷값 다 이런가요? 39 너무 비싸... 2009/01/18 9,345
269762 추억의 장소가 있으신지요? 3 우유 2009/01/18 498
269761 무가 너무 많아요 .ㅜㅜ 16 막막 2009/01/18 1,381
269760 전기 압력솥 2 검색불가ㅠㅠ.. 2009/01/18 392
269759 스피디에 어울릴만한 악세사리 5 스피디40 2009/01/18 956
269758 이집을 사야할지 이사를 해야할지... 8 에휴~~ 2009/01/18 1,621
269757 페라가모 구두 유광이 나을까요? 무광이 나을까요? 8 페라가모 2009/01/18 1,540
269756 그냥 내가 왜 그리 살았는지 9 아이맘 2009/01/18 2,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