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하이브리드(?)채권이 뭘까요 ??
대구은행의 하이브리드채권이 매진되었는데
요번 달에 또 상품 나온다고 뉴스에 나오네요
어떤 상품인가요 ??
대구은행에서만 판매하는지.......
매력있는 투자가 될지 여러가지 궁금합니다.
1. 펀드주식반타작中
'09.1.7 10:18 PM (58.225.xxx.94)이번에 부산은행이 발행한 채권형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30년, 발행금리는 연 8.8%, 3개월마다 이자가 지급되는 이표채이며, 발행후 5년 경과시점에 은행이 조기상환권(Call Option)을 가지는 조건부채권이다.
.
.
.
이 부분이 읽어봐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어요
(위에 복사해서 옮긴 글은 곧 지우겠습니다)2. 브렌다
'09.1.7 10:24 PM (222.112.xxx.109)채권형 신종자본채권이라고 하니..
원래 채권이라는 것은 자기자본 계산에 포함되지 않아요. 타인에게 빌린 돈이기 때문이지요.
자기자본 계산 시에는 주식만 들어가거든요.
이 때 말하는 하이브리드 채권은 정해진 날짜에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하는
채권형 성격과
자기자본 계산에 포함될 수 있다는 주식형 성격이 합해졌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채권이라고 하는 듯합니다.3. 펀드주식반타작中
'09.1.7 10:35 PM (58.225.xxx.94)하이브리드채권이란 채권처럼 매년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고 주식처럼 만기가 없으면서도 매매가 가능한 신종자본증권을 말한다. 하이브리드채권은 유상증자보다 발행이 간편하고 기본자본으로 인정으로 받을 수 있어 은행들의 자본확충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예금자 보호 되는 걸까요 ??
된다면 5천만원만 ??
5년이 지나면 찾을 수 있고 30년까지 둘 수 있다는 건가요 ?
후순위채처럼 복리는 없고 이자지급식인가요 ??4. 브렌다
'09.1.7 10:43 PM (222.112.xxx.109)사실 계획이신가봐요^^;
주식으로 간주된다는 걸로 봐서 예금자보호는 안될 것 같구요.
(은행 채권이라 해도 예금자보호대상 아닙니다.)
만기가 30년이지만 은행이 콜옵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은행측에서 중도에 원금을 돌려주고 채권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3개월마다 이자지급식이라고 기사에 나와있군요.5. 찾아보니..
'09.1.7 10:53 PM (219.251.xxx.237)주의할 점이 있네요..
투자시 유의할 점
우선 하이브리드 채권은 만기가 없는 영구채의 성격이 있어 환금성이 떨어집니다.
외환은행 하이브리드 채권의 경우 만기가 30년으로 정해져 있지만 만기연장을 할 수 있는 권한은 은행에만 있으며, 별도의 통지나 공고를 하지 않고 연장할 수 있습니다.
즉, 중도상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투자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유통시장에서 팔아야 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은행측은 하이브리드채를 증권거래소에 상장할 것이기 때문에 만기 이전에 언제든 자금을 현금화할 수 있다고 하지만 개인들만 갖고 있는 채권은 유동성이 떨어져 현금화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약속된 이자를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만일 은행이 부실은행으로 지정되거나 적기 시정조치를 받게 될 경우 지정된 기간동안 해당하는 이자를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정지사유가 해소된다고 할지라도 그 동안 미지급한 이자에 대해서도 은행은 이자를 주지 않습니다.
또 은행이 보통주에 대한 배당을 하지 않으면 하이브리드도 이자의 전부나 일부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는 조항도 약관에 포함돼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은행이 채권발행 5년후부터는 상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보유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산건전성이 호전되면 조기상환을 통해 고금리 배당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자기자본 수준이 취약한 은행은 고금리 부담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는 악순환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