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음식물 탈수기 쓰시는분요?

플라워 조회수 : 3,535
작성일 : 2008-07-24 17:41:05
혹시 싱크대 배수구에 바로 부착해서 쓰는 음식물 탈수기 쓰시는 분 있으신가요?
어떻게 쓰는 건지 궁금하구요, 불편한 점도 부탁드립니다.
그냥 부착안했을때 배수구와 비교해서 다른 점은 무엇인지도요..
지금 달까말까 망설이고 있거든요. 할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요..
IP : 218.236.xxx.8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옐로켓
    '08.7.24 5:46 PM (152.99.xxx.137)

    저 아파트 입주할때 달았는데.. 뚜껑닫으면 돌아가서 물기빼주는건데.
    썩 시원치않아요..
    전 안쓰고 신랑이 설거지할때는 꼭 사용하더라구요.
    해도 별반 차이 못느끼고..전 요즘 나오는 루펜이나 웅진에서나온 가루로 만들어주는거
    그거 살까 고민중이예요.

    여름철 배수구냄세..넘 싫어요.
    매일매일 음식물쓰레기 버리러나가기 은근 귀찮더라구요.
    전 사용을 잘안해서 그런지 비추예요..

  • 2. 덮개
    '08.7.24 5:48 PM (124.62.xxx.72)

    배수구 덮개가 따로 있어요. 이번 입주한 아파트 음식물 탈수기 있네요.
    덮개 덮고 덮개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탈수 됩니다.
    부착했을때와 안했을때 다른점 전혀없습니다.(안쓰면 그만!)
    불편함보다 편리함이 많은데 전기절약 차원에서 코드 뽑았습니다.
    전기료가 얼마나 나오는지는 잘 모르지만요^^
    참, 분쇄는 아닙니다, 온리 탈수...(한일꺼 같던데...한일짤순이~~~~~~~)

  • 3. 전..
    '08.7.24 6:01 PM (220.126.xxx.186)

    저희집도 그런게 있지만 다른점은 모르겠어요..
    차이가 없습니다...
    그래서 전 그냥 외출할때 양 손에 비닐장갑 끼우고 검정 비닐봉투 들고 나가서 버립니다.
    이게 냄새도 없고 바로 바로 버리니 가장 깨끗합니다.....

  • 4. 플라워
    '08.7.24 6:10 PM (218.236.xxx.80)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제가 지금 가지고는 있는데요, 안달고 방치된지 몇달이 되었어요..
    그럼 탈수를 하고 나면 거름망이 두개로 되어있던데 안쪽 거름망에 찌꺼기가 탈수되어 붙어있는 것인가요? 그것만 빼서 찌꺼기 버리면 되는 것인지요?

  • 5. 찌꺼기
    '08.7.24 6:21 PM (124.62.xxx.72)

    전 두개다 털어서 버려요.
    어차피 바깥쪽거에 음식물 잘게 묻어요.
    두개 다 빼서 음식물 털고
    그 참에 배수구도 손닫는 곳까지 닦고
    탈수기도 락스물에 담궈주고요~

  • 6. 사용자
    '08.7.24 6:30 PM (121.152.xxx.63)

    아파트에 빌트인 된 건데, 단점도 있지만 그래도 없는 것 보다는 좋아요.
    모양은 일반 배구수 걸름망과 다를 바 없는데, 전용뚜껑을 덮어서 돌리거나 누르면 세탁기 처럼 윙~탈수됩니다.

    - 물기 흘리면서 찌꺼기 비우지 않아도 된다는 게 젤 큰 장점이겠죠. 일단 탈수된 걸 루펜에 탈탈 털어 넣으면 확실히 빨리 말라요.

    - 탈수기다 보니 작동될 때 개수대 전체가 작게 또는 크게(뚜껑을 잘못 닫으면) 진동이 있어요.
    - 이왕이면 걸름망이 스텐이고 구멍이 작게 뚫린 걸 하세요. 저희집에 설치된 건 2겹으로 된 플라스틱망에 세로로 죽죽 갈라진 홈인데, 물때도 많이 끼고 틈이 넓어서 찌꺼기가 많이 빠져나가요. 대안으로 양파망 씌워서 쓰고 있는데, 암튼 전에 쓰던 스텐걸름망이 너무 그리워요

  • 7. 사용자
    '08.7.24 6:37 PM (121.152.xxx.63)

    이미 갖고 계시는군요, 2중으로 된 플라스틱망으로.
    원심력 때문에 찌꺼기가 전부 바깥으로 달라붙게 돼요. 그래서 둘 다 털어줘야 됩니다.

    걸름망 안에 작은 앙파망 하나 넣어 씌워서 써보세요. 탈수할 때는 양파망 자락을 모아 안에넣고 뚜껑 꾹~. 그담에 양파망을 탈탈~털어내면 훨씬 수월해요.

  • 8.
    '08.7.25 12:55 PM (58.232.xxx.241)

    댓글이 너무 늦었지만..
    이번에 탈수기만 구입해서 씽크대에 부착했어요.
    저는 생각보다 좋던데요.
    전에는 아무리 물기를 턴다고 털어도 비닐봉지에 담으면 물기가 생각보다 많이 나와서 그거 버리러 갈때마다 비닐봉지 구멍날까봐 조심하고..
    간혹 구멍난 비닐봉지에 담았을때는 물기가 줄줄 새서 정말 난감했는데요.
    탈수기로 한번 탈수하고 비닐봉지에 음식물 쓰레기 넣으니 물기가 거의 없어서 버릴때 편했어요.
    제꺼는 거름망이 구멍이 아주 작은 스텐인데, 탈수후 밖으로 빠지는 음식물은 거의 없어요.
    저는 씽크대 안쪽에 전원코드가 없어서 씽크대 위 벽쪽에 있는 전원으로 쓸때마다 연결해서 쓰는데, 그것만 조금 귀찮고, 탈수기 용도 자체는 만족해요.
    솔직히 저는 음식물 분쇄까지는 바라지도 않고 물기만 제거되도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적은 비용으로 효과대비 괜찮은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9021 여름에 침대커버는 얼마나 자주 세탁하세요? 4 여름 2008/07/24 942
219020 조선일보를 합법적으로 폐간시킵시다!! 4 공미화 2008/07/24 471
219019 이미 재산세 다 납부한 사람들은 어쩌라고??? 6 나원참 2008/07/24 1,783
219018 저는 주경복후보를 이렇게 홍보합니다.^^ 5 가끔은 2008/07/24 572
219017 어느정도실력인지.. 궁금맘 2008/07/24 262
219016 JJ가 말하는 광주 북한 배후설기사에 대해서. 12 아직도 2008/07/24 467
219015 알기 쉬운 국가기록원의 입장<<펌>> 1 은실비 2008/07/24 262
219014 급! 이거 왜케 언론에 안나오죠!? 12 sadang.. 2008/07/24 892
219013 이혼후 창업 아이디어 좀 주세요 9 새로 날다 2008/07/24 1,104
219012 결국 부동산 카드 꺼낸 '강부자' 정권 2% 부자 세금 깎아서 98% 국민 희생? 1 2008/07/24 457
219011 신용카드 쓸 때 잘 봐야겠어요. 8 신용카드무섭.. 2008/07/24 2,283
219010 ▒22일 벙개 후기입니다.▒ 1 deligh.. 2008/07/24 595
219009 장하다 대한민국, 무디스 집계 1등 먹었다 6 귀성 2008/07/24 786
219008 오늘 14 ㅡㅡ 2008/07/24 807
219007 전북 전주에요..혹시 부업없을까요? 3 . 2008/07/24 979
219006 교6감 주경복 후보 지지하시는 분들, 꼭 보세요. 7 알립니다. 2008/07/24 670
219005 읽어보고 같이 생각... 5 그리니 2008/07/24 280
219004 역시....역시...역시.. 11 빨간문어 2008/07/24 1,026
219003 건국일 기념 국가만족도 여론조사? 3 ㅁㅓㅇ ㅁㅣ.. 2008/07/24 236
219002 삼겹살 구울때 사용하는 무쇠팬..어디서 구입하나요? 7 삼겹살 2008/07/24 807
219001 노무현 대통령 공격-인간이 얼마나 악해질수 있는가? 3 여울마루 2008/07/24 674
219000 너희애가 더 거지같애 79 이해불가능 2008/07/24 6,853
218999 남의 뒤통수를 쳐가면서 보험영업을 하네요 9 혈압올라서 2008/07/24 949
218998 하나은행 직원... 정중하게 사과하라!!!!! 9 코스코 2008/07/24 1,035
218997 음식물 탈수기 쓰시는분요? 8 플라워 2008/07/24 3,535
218996 저녁메뉴 공개해요 30 주부 2008/07/24 1,436
218995 쌍제이 나간것 같아 ..잠잠해서.. 밥하러가야쥐~~ 6 부산맘 2008/07/24 448
218994 "깨끗한 물은 질병을 예방하는 지름길" 지알파 게르.. 2008/07/24 142
218993 공무원들은 출산휴가 규정이 어찌 되나요? 4 출산준비 2008/07/24 510
218992 피곤해하는 아이 7 자녀사랑 2008/07/24 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