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 광우병 한눈 도표 문제 해결책 (퍼왔어요)

광우병막자 조회수 : 335
작성일 : 2008-05-10 22:13:44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01&articleId=163...

◆ 광우병 한눈 도표 문제 해결책 (베스트요청) [8] 무상 번호 1634618 | 2008.05.10 조회 615  







◆ 가장 위험한 문제:


1. 30개월 이상 소를 허가하고 양국 민간업자들에게 선택을 맡김으로써,          
돈에 눈먼 업자들이 미국이 처리 곤란한 30개월 이상소를 중점적으로, 값싸게 구입해 한국에 비싸게 판매할 가능성 높음.



미국소 수량: 약 1억마리. 30개월 이상 소 수량:  3%가정시 300만마리 8%가정시 800만마리 (추정)        
한국 한우 수량: 200만 마리 (2007년 정부 통계)    




2. 30개월 미만소의 SRM도 위험하지만, 더우기, 협정상 수입 금지품인 극히 위험한 30개월 이상 소 SRM이 수입되어, 그것이 30개월 미만 SRM처럼 팔려도, 현실적으로 30개월 미만인지 몇개월인지 식별 불가능함.
게다가 몇 달 후엔 월령표기 의무도 사라져서, 월령구분의 의미도 없음.

    




3. 광우병이 발생해도, 국제수역사무국(OIE)가 미국의 지위를 하향 조정하지 않는 한 한국이 수입을 중단 할 수 없음.
(OIE가 과연 그렇게 해줄지, 해준다면 얼마나 걸릴지 모름)
        



4. AMR은 미국 학교 급식에도 금지되었으나, 손석희의 백분토론 중 한국에도 수입된다고 미주 한인 주부가 그러더군요.


◆대책: 이런 위험성은 협정으로 사전에 막아야 했으나 그렇게 하지 못해서 재협상이 필요.

      

◆안정적인 수입 조건:
1. 20개월 미만만 수입.
2. SRM 원천봉쇄

3. AMR 수입금지
4. 미국의 검역 체제 안전성 확립 후에 수입.
5. 광우병 잠복기간 관찰 후에 수입.

6. 한국이 독자적으로 수입중단 권한을 가져야 함.



도표는 눈길을 끌 수 있고, 한눈에 파악이 되어서 좋아요.



청문회나 뉴스 보면 국회의원들조차 설마 위험하겠나하고, 안이하게 생각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우선 님들 지역구 국회의원들님께 많이 알려주세요.

그 분들이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아야 합니다.



언론, 신문, 방송, 라디오, 파출소, 법원, 회사, 가족, 친구, 많이 알려야 합니다.

아무리 법이 통과되고, 효력이 발생하더라도,

사람들이 많이 나서면, 고쳐야 할 건 고칠 수 있습니다.

특히 국회의원요.



많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IP : 220.238.xxx.13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