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잘못알고있는자동차상식12가지.유용합니다.

둥이맘 조회수 : 701
작성일 : 2007-08-07 23:50:19
카페에 올라와 있는 유용한 정보예요.. 퍼와써요.

잘못 알고 있는 ‘자동차 상식’ 12가지

‘Car~ 더라’ 속설에 차 수명 단축 ‘꺅~’


잘못된 상식은 잘못된 습관으로 이어진다. 자동차 관리와 운전도 마찬가지다. 차의 수명 단축과 괜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이고 자칫 대형 안전사고를 불러올 수 있는 ‘나쁜 자동차 상식’들을 추려 봤다.



1) 연료를 아끼려면 에어컨을 약하게 튼다





차량 에어컨은 운전을 시작하고 2∼3분이 지난 뒤에 시속 40㎞ 이상 속도에서 켜는 것이 좋다. 이때 연료를 아낀다고 에어컨을 살살 트는 사람들이 있지만 현명한 행동이 아니다. 과감하게 처음부터 4단(최고)부터 틀고 냉기가 차 안에 퍼지면 1단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실험결과 이렇게 해야 연료를 10∼15% 정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컨을 끄고 차창을 여는 것도 애용하는 방법이지만 사실 별 효과가 없다. 배기량 2000㏄ 차를 시속 80㎞로 몰 경우,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1∼2단으로 켜면 평소보다 6% 정도 연료가 더 든다. 하지만 에어컨을 끄고 창문을 열고 달려도 강력한 공기저항 때문에 연료가 5%가량 더 소모된다.



2) 에어백은 모든 충돌사고 때 작동한다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시속 30㎞ 이상에서 정면으로 충돌할 경우에 작동된다. 그러나 ▲후방충돌 ▲측면충돌 ▲차량 전복 ▲전봇대 등 일부분 충돌 ▲앞차의 밑으로 들어가는 사고 등에서는 대개 터지지 않는다. 안전벨트보다 더 믿을 만한 안전장치는 없다.



3) 광폭 타이어를 끼우는 것이 무조건 좋다

광폭 타이어는 일반 도로에서의 코너링, 주행 안전성, 제동력 등은 좋지만 빗길에서는 노면에 닿는 면적이 넓어 ‘수막현상’(물로 인해 얇은 막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특히 시속 70㎞ 이상에서는 주행 안전성과 제동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또 타이어의 폭이 넓기 때문에 엔진출력과 승차감, 조향성 등도 다소 떨어지고 연료 소모도 많아진다. 결론적으로 최초 자동차 출고 때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나중에 타이어가 닳아 교체를 할 때에도 먼저 것과 똑같은 것으로 하는 것이 최적의 선택이다.



4) 머플러서 나오는 물은 엔진냉각수가 새는 것이다

기온이 떨어져 엔진이 냉각됐을 때 시동을 걸면 머플러에서 많은 물이 나온다. 연료가 연소되면 탄화수소가 산소와 결합해 물을 생성한다. 연소실이나 머플러가 뜨거울 경우에는 수증기로 변해 증발되지만 냉각된 상태에서는 그대로 물의 형태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머플러에서 물이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무조건 냉각수가 새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5) ABS 브레이크는 제동거리를 줄여준다

지금은 보편화된 ABS(Anti-lock Brake System)는 제동 때 각 바퀴에 장착된 센서들이 상태를 감지해 컴퓨터에 정보를 보내고 운전자가 밟은 힘을 골고루 분산 조절함으로써 미끄러짐을 억제하고 직진성과 조향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다. 하지만 ABS는 기본적으로 제동거리를 짧게 하는 장치가 아니라 제동 때의 직진성을 최대한 유지시키고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여 추돌사고를 방지한다는 게 기본 기능이다. 때문에 ABS에 대한 과신은 절대 금물이다. 눈길·빗길 등 노면 상태가 좋지 않은 도로에서 속도를 낮추고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차분히 운전하는 것 이상의 안전장치는 없는 셈이다. 비슷하게 4륜 구동 차량이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것도 잘못된 상식이다.4륜 구동차는 산악지대나 사막에서의 주행성을 높이기 위해 4개의 바퀴 모두에 힘을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지 악천후에서의 제동력까지 통제하는 것은 아니다.



6) 자동변속기車 주차 때 핸드브레이크를 채운다

변속레버가 ‘주차(P)’ 위치에 있으면 변속기 내부의 기계적인 작동으로 기어가 풀리지 않아 더 이상의 안전장치는 필요없다. 겨울에는 브레이크 패드, 디스크, 드럼, 라이닝 등이 얼어붙을 수 있으므로 안 채우는 게 좋다.



7) 새 차에 코팅광택 하면 도장 수명이 오래간다

광택을 내는 것은 도장 표면을 미세하게 벗기는 작업이다. 출고 후 3개월까지는 미미하게나마 도장 면의 건조가 지속되므로 이때 광택작업을 해선 안된다.1년 뒤쯤 찌든 때를 벗겨낼 때 광택 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신차일 때에는 세차 후 왁스칠을 해주는 게 도장의 수명을 연장하는 길이다.



8) 새 차는 고속주행으로 달려야 길이 잘 든다

차를 사면 일단 고속도로로 나가 시속 100㎞ 이상으로 달려 주어야 한다는 것은 엔진 재질과 가공기술이 낙후돼 있던 시절의 얘기다. 기술이 첨단화된 요즘은 오히려 차에 손상이 올 수 있다. 새 차는 처음 시동을 걸면 실린더와 피스톤 그리고 각종 기계 작동부의 맞물리는 부분들이 탄력을 받으면서 길들여지기 시작한다. 이때 서로 어긋나는 소리를 내며 자리 다듬기를 한다. 이때가 아주 부드러운 주행이 필요한 순간이다. 출고 뒤 주행거리 1000㎞까지는 과속이나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야 한다. 엔진 회전수도 4000rpm이 넘지 않는 범위에서 운전해야 한다. 주행거리가 5000∼6000㎞에 이를 때까지는 어린아이 다루 듯 조심조심 운행하는 것이 좋다.



9) 새 차의 엔진오일은 1000㎞에 교환해야 한다

과거에는 엔진 가공 기술이 떨어져 가공면의 미세한 쇳가루 때문에 일찍 엔진오일을 교환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기술과 재질이 발달해 일찍 교환하는 것은 경제적인 손실이다.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차 회사에서 추천하는 주행거리별, 기간별 중에서 먼저 오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비포장도로, 산악지역, 혼잡한 시내 주행 등 악조건으로 운행한 차는 이 주기보다 20∼30% 일찍 갈아주어야 한다.



10) 겨울에는 공회전을 길게 해야 한다

요즘 차량은 전자제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최적의 연료량·점화시기에 따라 시동이 이루어진다. 여름에는 1분, 겨울에는 2분 정도면 충분하다. 과도한 공회전은 기름을 낭비하고 공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엔진오일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겨울철 차 부품들이 냉각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자마자 가속페달을 밟으면 기계 작동에 무리를 주고 비정상적인 엔진소리가 나게 된다.



11) 운전대에 손잡이를 달면 방향전환이 쉽다

최근 들어 쉽고 빠른 방향전환을 위해 운전대에 작은 공 모양의 액세서리 손잡이를 달기도 한다. 이는 감각을 둔화시키고 순간적인 비상대처 능력을 떨어뜨린다. 급정거 등 사고 때 운전자의 가슴부위를 때리는 무기로 변할 수 있어 위험하다. 또 액세서리 자체 무게로 운전대가 한쪽 방향으로 쏠릴 수도 있다.



12) 배터리는 한번 방전되면 못 쓴다

배터리는 한번 방전되면 사용하지 못한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배터리는 반영구적인 부품이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면 수명은 크게 떨어지지만 7.5v 정도의 기본 잔류전압만 유지되면 재충전으로 정상 기능을 되찾을 수 있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최소 2년 정도의 수명을 가진 자동차 배터리는 잦은 방전에 주의하고 배터리액의 수위를 정상으로 유지한다면 이보다 훨씬 오래 쓸 수 있다. 방전됐더라도 나중에 배터리가 제 기능을 낸다면 굳이 배터리를 바꿔야 한다는 정비업소의 말을 들을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IP : 222.237.xxx.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7.8.8 12:54 AM (116.34.xxx.156)

    8년된 차의 밧데리는 한번쯤 바꿔줘야 한다는데...맞는 말일까요?
    8년동안 저는 밧데리 한번도 안바꿨는데 ....

  • 2. ^^
    '07.8.8 1:50 PM (124.51.xxx.43)

    <내차 요모조모 돌보기>란 책 선물받았는데요.
    한번 읽어보면 기본개념이 잡힙니다.
    에세이처럼 재미있게 넘어갑니다.
    여성운전자들도 차에 대해 좀 알면 좋을듯..

    그전에 저도 와셔액 넣을때 빼곤 본넷 한번 열어본 적 없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6311 지금 고속도로 운전 어떨까요? 4 고속도로 2007/08/08 507
136310 만능양념.. 2 솝리 2007/08/08 587
136309 부산으로 휴가 다녀오려고요.. 어디가 좋은가요? 9 샬랄라 ^^.. 2007/08/08 497
136308 영어 문장 알려주세요^^;; 6 영어 2007/08/08 228
136307 우리나라사람들은 서울외지역은 다 지방인가요? 26 좁은나라 2007/08/08 1,332
136306 걸을때 마다...오른쪽 갈비뼈 아래가 당기면서 아픈데요... 3 걱정거리.... 2007/08/08 543
136305 (급질문)보험가입시 의무고지에 대해서..... 보험 2007/08/08 174
136304 어디 물어볼 때도 없고 해서... 2 euju 2007/08/08 647
136303 아로마 경락맛사지 3 익명 2007/08/08 486
136302 전기밥솥으로한 밥에서 냄새가 나요.. 5 2007/08/08 552
136301 남편의 카드내역 알아내는 방법 9 답답녀 2007/08/08 2,682
136300 1층으로 이사가는데요 방범창이 없어도 괜찮을까요?(새집이라 센서가 있대요) 2 1층 2007/08/08 751
136299 새로 바뀐 홈페이지 너무 어지럽지 않나요..? 12 82cook.. 2007/08/08 999
136298 아기 이유식 소고기 부위? 4 안심이외에 2007/08/08 1,126
136297 시누의 말 한마디에 잠이 안오네요 29 무슨뜻일까?.. 2007/08/08 4,614
136296 서울에 주차하려면 5 서울에 2007/08/08 483
136295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 10 종교의 역사.. 2007/08/08 775
136294 그저께 올라왔던 파파이사 글... 파파이사 2007/08/08 514
136293 담배, 술 다 좋아하시는 분께;;; 좋은 음료는 뭐가 있을까요?^^; 2 cami 2007/08/08 311
136292 요즘 맛있는 과일요?? 4 .. 2007/08/08 1,063
136291 영화제목 좀 알려주세요. 3 영화제목 2007/08/08 500
136290 시내 면세점 이용할 때에는? 2 면세점 2007/08/08 514
136289 9개월 아기 빈혈검사... 많이 힘들까요 18 2007/08/08 801
136288 너무 외로워요 흑흑 8 에효 2007/08/08 1,527
136287 아빠가 알레르기비염인 아기.. 이유식할때 가려먹어야할거 알려주세요 4 2007/08/08 210
136286 임신 10주... 캐러비안은 무리일까요? 8 음매 2007/08/08 550
136285 닭조림 하는 레시피 어디있나요? 3 닭조림 2007/08/07 997
136284 잘못알고있는자동차상식12가지.유용합니다. 2 둥이맘 2007/08/07 701
136283 "탈레반, 인질들에게 이슬람 개종 권고" 11 아리쏭 2007/08/07 1,759
136282 이번주나 다음주에 코스코 갈려고 해요 14 코스코 2007/08/07 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