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고졸친구가 어린이집 원장하네요 우와!!

궁금 조회수 : 2,957
작성일 : 2007-05-09 02:03:28
보육교사가 세명에 조리사까지..
몇년전 국립대학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1년간인가 듣고
실제로어린이집에서 1년인가 경험쌓고(과정은 언뜻들어서 잘 몰라요)
아파트 전세내어 열었는데 잘된다 하네요
대졸에 공부 좀했던 저는 음...인데
그친구보니 길은 여러모로 열릴수 있다는 생각드네요
아기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원장님 만나면 굽신굽신거리는데
그친구 떠올리면 조금 마음이 이상해져요
여하튼 교사들 월급은 80~90 밖에 안주고
정부보조금도 나오고
수입도상당한가봐요 월급쟁이보다 훨씬 좋은가보네요
은근히 부럽고 대단해보여요

  
IP : 58.140.xxx.236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님도 하세요
    '07.5.9 2:12 AM (58.141.xxx.212)

    님도 배우셔서 하시면 되지요
    고졸은 원장하면 안되나요?
    요즘은 학력파괴 시대 아닌가요?
    님도 공부 열심히 하셔서 수료증 받고 경험 쌓아서 어린이집 개원하시면 되죠

  • 2. 원글
    '07.5.9 2:16 AM (58.140.xxx.236)

    윗님!!
    수료증만 받으면 되는건가요?
    자격증시험 같은거 안봐도 되구요??
    그렇다면 해볼수도 있겠네요
    저는 대학에서 유아교육 전공하고 교사자격증(유치원교사??) 있는 사람만
    어린이집 개원할수 있는둘 알았거든요

  • 3. 학력파괴
    '07.5.9 2:18 AM (124.49.xxx.114)

    시대이긴 하나, 학력의 차이는 분명 있다고 봅니다^^
    학력의 차이는 곧 능력의 차이라고도 하겠구요..
    원글님 기분 충분히 이해가요~

  • 4. 수료증
    '07.5.9 2:33 AM (58.141.xxx.212)

    받구요 친구분 말씀대로 1년정도 경험 쌓으셔야 해요
    1년 경험 쌓을때 힘들죠
    하루종일 애들한테 부대끼고 게다가 야근수당 이런것도 없이 80~90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아는 사람 말로는 예전엔 벌이가 더 좋았는데 요즘은 그냥 그렇다라고들 말씀하시던데요

    그리구요 아침에는 전쟁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대부분 출근시간이 9시까지잖아요
    코앞에 회사 있는 사람 몇사람이나 되나요
    다들 전철타고 버스타고 출근하잖아요
    그럼 애 등원 시간은 몇시겠어요?
    어떤분은 직장이 멀어서 6시 30분 부터 등원시키러 오신다고 하더라구요
    말이 6시 30분이지..구립이나 그런곳은 당연히 안된다고 하겠지만 그런 아파트 단지내 놀이방이나 어린이집은 안된다고도 딱 잘라서 말하지도 못해요
    엄마가 사정하는데 안되요..하고 말하자니 소문 나쁘게 나면 큰 타격이잖아요
    게다가 그 시간에 선생님들은 당연히 출근 안하죠
    선생님들 출근할때까지는 모두 원장 몫입니다

    6시 30분부터 애가 와서 놀면 남편분 밥은 어찌 챙겨주며 애들은 어찌 챙겨주실건지 미리 다 생각해놓으셔야 하구요
    어린이집 규모가 어느정도 컸을때 교사들 월급 줄수 있으니 어린이집 규모가 작을때 생각을 해보세요

    어린이집에 원아가 5명인데 교사 부르기엔 뭣하잖아요
    근데 그 5명 원아들이 전부 6시 30분에서 7시정도 까지 등원한다고 생각하시면...게다가 님 아이들이랑 남편 출근까지...
    아침에 어떨지 상상이 가시죠?
    대부분 아파트 놀이방 어린이집은 7시부터 등원한다고 하더군요

    저 아는 분이야 남편분이 프리랜서라 그 일을 쉽게 시작하고 아침에도 그게 가능했던거구요..

    이거 저거 다 생각하고 굳게 맘 잡숫고 시작하시면 다 방법은 있는거지요

  • 5. 그냥
    '07.5.9 9:08 AM (211.53.xxx.253)

    학력의 차이가 능력의 차이는 아닙니다.
    대체로 학력이 높으면 능력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늘 그렇지는 않지요.
    공부 잘하는 능력이 모든 능력을 대표하는건 아닙니다.

  • 6. 고졸인데
    '07.5.9 9:15 AM (122.47.xxx.31)

    이말은 좀......
    윗님말씀대로 교육받고 1년동안 경력쌓으면 차릴수 있어요.

    저희 작은어머니두 그런케이스인데요.
    제가 보긴 나름 적성에 맞아야 되는듯 싶어요.
    원아들중에 형편이 어려운애는 가끔 집에두 데려다가 재워주고 애들을 이뻐하는 맘이 있어야 되더라구요.
    단순히 돈만 보고 절대 만족할수 없구요.
    아이들에 사랑이 있어야 되는것 같아요.
    저한테도 해보지 않겠냐고 하시는데..솔직히 전 애들한테 하루종일 시달리기 너무 힘들거든요. 성질이 괴팍하다보니..음.

  • 7. ...
    '07.5.9 9:57 AM (211.63.xxx.42)

    학력의 차이로 인해 페이의 차이는 있을수 있지만
    능력의 차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 친구 보면 친구들 대학다닐때 직장다니면서 새벽엔 학원다니고
    퇴근하고 또 여러가지 배우러 다니구요..
    오히려 더 열심히 자기 능력 개발하며 사는 사람 많습니다.
    고졸이 어린이집원장을 하는거라면
    그사람 그만큼 열심히 살아서 그런거겠지요..

  • 8. 베이비시터
    '07.5.9 9:58 AM (220.75.xxx.109)

    입주 도우미니 시간제 베이비시터분들 대부분 고졸 아닌가요??
    조선족들도 있고, 중졸이신분들도 있고
    솔직히 저희집에 오셨던 시간제 베이비시터분중엔 정말로 뭘 말씀드려도 제대로 이해 못하셨던분들도 있었지요.
    여하간 제가 알기로도 어린이집은 일정기간 수료받아 수료증 있으면 차릴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게 어린이집이 아니라 놀이방 아닌가요??

  • 9. 어린이집
    '07.5.9 10:11 AM (59.7.xxx.230)

    어린이집은 사실 유치원과 같은 유아 교육기관이라기 보다는 보육... 그러니까 교육보다는 돌보기에 힘쓰는 곳인지라 자격기준이 실제 약하더라구요. 더구나 보육교사 자격증 자체가 몇개월만 배우면 따니까요. 어린이집원장이 크게 대단도 하지 않아요. 님도 충분히 할수 있으실겁니다. 돈만 준비되면... 자격증있고.. 하면...뭐... 크게 어렵지 않아요.

  • 10. 세상
    '07.5.9 12:49 PM (59.29.xxx.125)

    고졸이면 그나마 괜찮죠..ㅡ.ㅡ
    제가 아는 어떤곳은(강남 한폭반에 시설 으리으리하고 잡지에도 자주 난곳)
    원장이 조폭;;;입니다..(남자) 부원장은 조폭마누라...
    돈세탁하려고 만들었다네요..영어 유치원비스무리하니 인가도 학원으로 났고요..

  • 11. ..
    '07.5.9 1:13 PM (211.229.xxx.56)

    아파트 1층에서 하는 영유아 대상 어린이집이야...아이를 사랑해주고 안전하게 돌보고 재미있게 놀어주면 되지요...
    저도 울아이 어렸을때 아파트1층에서 하는 놀이방에 보냈는데..선생님들 학벌 모르지만 성품에 대한 믿음이 있기땜에 고졸이라고 하더라도 상관을 안했을듯해요.

  • 12. ..
    '07.5.9 1:21 PM (211.229.xxx.56)

    그리고 아파트1층에서 하는 어린이집 힘듭니다...종일반 아이들도 있어서(직장맘의경우) 일찍 문열어야하고 하루종일 매이고...또 영아들 돌보는것도 장난 아니구요..
    아이들도 평수에 따라 교사수에따라 받을수 있는 인원이 정해져있어서 그렇게 큰돈을 버는것도 아닙니다...저는 하라고 해도 못합니다...그리고 요즘 아파트 전세도 비싸잖아요..그돈 투자해서 뭘한들 그만큼은 벌겁니다...

  • 13. 사회생활 해보니
    '07.5.9 6:27 PM (121.131.xxx.127)

    학력의 차이가 능력의 차이는 아니던데요

    저희 회사
    거개는 소위 sky출신이고,
    또 그들중 상당수가 석, 박사이고
    유학파도 많습니다만
    그 학력의 차이가
    일하는 능력과는 좀 다르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9871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하는데요, 처음이라 도움 요청합니다. 2 종합소득세 2007/05/09 601
119870 UV스마트 베이스에 대해서... 3 여름 2007/05/09 520
119869 어제밤 12시에 받은 카네이션 6 .. 2007/05/09 731
119868 사는지방이 다르다고 결혼반대하는 예비(?) 제부집 20 언니 2007/05/09 1,607
119867 하루만 아픈 병... 2 3년차 2007/05/09 930
119866 어느 아빠의 편지(펌) 3 곰돌이엄마 2007/05/09 722
119865 학교에서 다쳐서..지난번 글이어.. 7 초등 2007/05/09 573
119864 폴로나 빈폴에 대해서.. 13 궁금해요 2007/05/09 1,760
119863 간단한 출산선물 뭘로 할까요(산부인과 갈때) 8 ^^ 2007/05/09 825
119862 명품 밥솥과 냄비 사용하시는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요~ 6 환희 2007/05/09 850
119861 쌀이랑 콩등 냉동보관괜찮나요? 2 . 2007/05/09 458
119860 생일선물 줄 사이는 아닌데 생일 기대한다고 말하면? 4 dma 2007/05/09 525
119859 보험하는 후배한테 배신감이 드네요..쓰신분 1 보험 2007/05/09 1,110
119858 침대 메트리스도 청소기로 밀어줘야 할까요? @_@ 7 답글간절 2007/05/09 1,227
119857 웅진 마꼬랑 차일드애플 중에서 어떤걸 사야 할지... 7 바다새 2007/05/09 897
119856 이런 남편의 심리는 뭘까요? 자격지심일까요? 2 화나요 2007/05/09 892
119855 내남자의 여자에서 배종옥이 남편에게 한 대사중.. 11 궁금 2007/05/09 3,696
119854 흑염소 드신분들 어떠셨어요? 10 .. 2007/05/09 858
119853 배는 너무 고프고 소화는 너무 안되고.. 4 임산부 2007/05/09 770
119852 동유럽 여행에 대해서 여쭈어 봅니다. 6 동유럽 2007/05/09 692
119851 빌래로이 앤 보흐에 대해 여쭤봅니다. 2 궁금 2007/05/09 653
119850 어버이날 꽃만 들여 너무...죄송 5 찜찜 2007/05/09 708
119849 많이 우울 합니다. 3 ..... 2007/05/09 980
119848 아래 고졸 친구가 어린이집 원장 한다는 글 보고 18 아래글 2007/05/09 3,213
119847 흰머리가 나면 다들 가려운가요.. 7 흰머리 2007/05/09 1,041
119846 홍콩에서 겨울옷 사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1 나들이 2007/05/09 308
119845 라면 맛있는 가게 좀 알려주세요 7 창업준비 2007/05/09 663
119844 형님(동서지간) 생일 어찌 챙기시나요? 8 ?? 2007/05/09 1,337
119843 고졸친구가 어린이집 원장하네요 우와!! 13 궁금 2007/05/09 2,957
119842 식기세척기, 로봇청소기 쓰면 도우미 없어도 직장다닐수 있을까요? 5 궁금 2007/05/09 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