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무것도 못 버려요. 이거 병이죠?

버릴까말까? 조회수 : 1,332
작성일 : 2007-02-23 00:37:45
애 둘있는 집이 정말 짐이 너무나 많아요.
혹시 몰라서 안 버린 짐이 어찌나 많은지...

큰애 8살/ 둘째 10개월인데  혹시 몰라 가지고 있는 큰애 육아용품/장난감도 한짐이구요.
옷등등도 잘 못버려요.

일단 제가 고민하는 물건 몇개만 이야기 할게요.  버려도 될지 고민좀 해 주세요.

1.  유아용 책상/의자(플라스틱으로 된것, 사은품으로 받음)
    여자아이들은 미끄럼틀 별로 잘 안 갖고 논다면서요?   유아용 책상 의자는 굳이 없어도 될것 같아요.

2.  미끄럼틀 (비싼거 아님.  플라스틱 나사 하나 부러짐)

3. 전공책 (회계학 전공책)

4. 결혼당시 했던 새색시 한복 (빨간 치마, 초록 저고리...ㅠ.ㅠ)

5. 1년이상 입지 않은 옷들...

더 많지만 일단 이것만 여쭤볼게요.  나중에 혹시 쓸모가 있는 물건 있을까요?
IP : 210.126.xxx.7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7.2.23 12:49 AM (61.66.xxx.98)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살게 된다고 하죠?
    보고 있으면 마음이 무거워지는거 다 버리세요.
    그게 기준같아요.

    저도 못버리고 별거별거 다 끌어안고 살았는데요.
    '아무것도 못버리는 사람'이란 책을 읽고 와장창 다 갖다 버리기 시작했어요.
    처음이 너무 어렵죠.버리기 시작하면 그것도 가속도가 붙는지 점점 과감해져요.
    전 책은 평생 끼고 살 줄 알았는데 책도 엄청버렸어요.

    비싸게 준 교재들...조카들 주면 될거 같아서 모셔둔거...
    요새 더 좋고 간편한게 많이 나왔는데
    만약 내가 이런거 물려받으면 좋을까?하고 생각해보니 답이 나오데요.
    버렸죠.

    옷들도 쓰레기봉투 큰거로 10개 이상 버렸는데요.
    좋아하는 옷만 남아서 그거 몇벌로 버티는데...
    가끔 버렸던 옷이 생각나긴 해요.
    가디건 같은거 다 버렸더니 어중간 한 날씨에 입을게 마땅치 않더라고요.
    그래도 헐렁한 옷장보면 기분이 좋아져요.

    집이 넓다면 다 갖고 있어도 좋지만,
    일단 숨이 탁 막히는 기분이 드는거 부터 버리시고요.
    있으면 다 쓰게 되겠지만,없어도 다 살게 된다고 생각하세요.

  • 2. ..........
    '07.2.23 12:55 AM (61.66.xxx.98)

    처음 시작은 아주 작은 공간 부터 치우세요.
    서랍이던가,옷장 한켠이라던가....
    깨끗하게 치워지면 공기가 달라지는 기분이예요.
    성취감도 생기고 치워야 할 다른 곳이 눈에 들어오지요.
    그러다 보면 점점 는답니다.
    예전에는 감히 버릴 생각조차 못했던것도 버릴 용기가 나지요.

  • 3. 제 기준으론
    '07.2.23 12:56 AM (222.234.xxx.58)

    쓸만한것은 내다 팔고 그렇게도 안되는건 버린다...
    특히 1년이상 입지 않고 돌아오는 해에도 입지 않을 옷들은 버리는게 상책입니다

  • 4. ^^
    '07.2.23 1:04 AM (58.77.xxx.136)

    저희집도 정말~~ 안버려서 묵고 묵은게 그 기운에 눌려서 전체적으로 컴컴하고 답답해지는 느낌 들어서
    제가 날잡고 다 버렸거든요.
    괜찮은 옷 같은건 아름다운** 보내구요. 어머니 시집올 때 해오신 그릇 같은 것도 쓰실일 없다시길래 다 보냈어요...
    이제 정말 후련하고 어른들이 더 좋아하시던데요. 결단이 필요한 듯 합니다 ^^

  • 5.
    '07.2.23 6:56 AM (220.71.xxx.26)

    3번과 5번은 미련없이 버리세요.
    4번은 한복 입으실 일이 가끔 있으시면(명절 등) 저고리만 새로 해서 입으세요. 명절에 한복 안입으시면 버리세요.
    1번과 2번은 둘째를 위해 놔 두셔도 될 거 같아요. 저희 집은 유아용 책상/의자 유용하게 썼거든요.

  • 6.
    '07.2.23 7:02 AM (71.234.xxx.82)

    너무 잘 버려서 병이에요 ^^ 울 집은 무쟈 정리 착착착 가끔 식구들이나 직장에서도
    원망들어요 가끔은 한 번 씩 뭐가 필요할 때가 있잖아요 그래서요
    그래도그 정도면 싸악 치웁니다
    버리고 나면 넘 시원해요

  • 7. 어째요
    '07.2.23 9:09 AM (211.215.xxx.36)

    ^^
    저희 시집 유전병인데...그거 고치기 정말 힘들어요
    우리 남편 12년정도된 핸드폰부터 시작해서 보상교환 한거 제외하고는 전부 끼고 있다가 작년에 버렸어요 프린터랑 카세트도 고물상 수준으로 쌓여있고 서울 첨 올라올때 그때 당시도 한 20년된 가방도 작년에 버리구요 ^^;;; 그외에도 엄청 많았지요

    어떻게 버렸냐면 이사하면서 제가 거의 발#을 하면서 싸웠죠
    그 고물들 다 끌고가기 싫어서요

    저희 시집이요?
    아직도 전부 이고지고 살고 있어서 80평짜리 아파트가 고물상이에요
    그걸 검소하다고 착각하면서 살고 있죠 한번도 쓰지도 않으면서 버리지 않는 걸 자랑으로 아세요
    유통기한이 3년지난 카레도 제가 이번 설에 버렸거든요 ^^;;

    저희 시어머니처럼 사시기 싫으시면 지금부터 빨리 고치셔요~~~

  • 8. 잘버리기병
    '07.2.23 10:38 AM (210.219.xxx.123)

    저도 정말 잘버려요. 울 엄마가 너 버리는 것 가지고 살림해도 되겠다고 하실 정도로.....
    그런데 지금까지 버린 것중 후회하는 것은 딱 두가지예요. 물론 가격도 비싸진 않지만 요긴했던 것.
    그 외엔 기억도 안나구요. 집이 늘 깔끔해서 좋아요.

  • 9. .......
    '07.2.23 11:03 AM (59.4.xxx.164)

    세월이 가면 어느새 고물상으로 되어갑니다. 저희 친정엄마가 그러세요.하다못해 면봉하나까지도 안버리고 십년전 살림이 고대로 있답니다. 버리라고 하면 절대 네버 사용할데가 있다고 손도 못대게 합니다
    날잡아서 몰래 버렸더니 그걸 모르시네요.솔직히 사용할일도 없는 고물덩어리들 왜저리 끼고 집은 엉망인지.....꼭 시골할머니들 바닥에 줄줄히 온갖 살림들 두고 살림하듯하니 저도 갈때마다 속상해요.
    효율성도 없고,동선도 엉망인데.......

  • 10. 답답
    '07.2.23 5:10 PM (219.249.xxx.167)

    저희 시집도 그렇답니다...
    맘 같아선 제가 다 싸그리 버리고 싶은데...속만 퍽퍽하죠...
    장롱안엔 쓰지도 않는 이상한 이불이며 옷가지들 때문에 장롱문은 한 번 열지도 않은채
    자리만 차지하고 있구...옛날 책들에...
    케케묵은 서류봉투들까지..

    정말 보고 있음 한숨만 나온답니다..
    안 그래도 좁은 방이 미어터지지요..
    게다가 결혼안 한 시누들도 정리하기보단 쓰지도 않는 물건들 갖다
    쟁여놓는 게 일이어서 답답하기 그지없네요...

    안 그래도 가기싫은 시집
    더 가기 싫답니다ㅎㅎㅎ

  • 11. 나도 못 버리는 여
    '07.2.23 7:07 PM (121.131.xxx.127)

    다 치우셔도 될 것 같은데요

    단 녹의홍상은 두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4371 벨기에에서 사올만한 거 있나요? 16 냐앙 2009/07/01 667
334370 靑 "<대한늬우스>, MB 아이디어 아니다" 7 세우실 2009/07/01 512
334369 '띠'는 입춘이 기준인가요? 구정이 기준인가요? 5 궁금 2009/07/01 951
334368 매실장아찌가 이상해요 민아 2009/07/01 245
334367 mp3음악 다운이요 3 ^^ 2009/07/01 399
334366 집 주인이 은행에 대출 신청하면. 5 나는나 2009/07/01 403
334365 백화점 이탈쇼파 4 사고는싶은데.. 2009/07/01 657
334364 분당에 침 잘놓는 한의원 아시는분? 3 분당 2009/07/01 642
334363 '피아노 공부'라는 교재 아세요? 3 피아노레슨 2009/07/01 254
334362 어제 <몽크> 보다보니,, 2 밍키 2009/07/01 384
334361 홈플러스PB상품기저귀 이물질 하얀호랑이 2009/07/01 254
334360 아동바우쳐 작년에 신청하면 2만5천원 지원금 맞죠?급... 우울맘 2009/07/01 177
334359 장터에 색조화장품... 10 화장품 2009/07/01 708
334358 실비보험에 입원 하루당 얼마 나오는 거 있잖아요... 3 보험문의 2009/07/01 401
334357 여름밤 저층에서 문열고 살려면... 2 관음증싫어 2009/07/01 589
334356 공짜 핸드폰이 없어진다는데..진짜인가요? 16 .. 2009/07/01 1,411
334355 왜 일본에서 한국 문화재가 발견 되는지? 2 안타까움 2009/07/01 240
334354 李대통령 "정책, 서민정서 이해가 우선" 3 세우실 2009/07/01 283
334353 휴가 로 북경에 갈까합니다 14 휴가 2009/07/01 710
334352 타지역에 전입신고 하였을때 초등학생의 전학문제 도와 주세요.. 3 전원주택이 .. 2009/07/01 317
334351 40대인데 소녀시대 멤버랑 닮았데요. 21 흐흐흐 2009/07/01 1,640
334350 엄마가 흑마늘 만들었다고 가지고가라고 전화왔어요. 7 엄마땡큐.... 2009/07/01 750
334349 며칠전에 아프다던 아가에요~ 11 사과맘 2009/07/01 727
334348 양배추 다이어트 실패,,, 11 살이 왠수 2009/07/01 1,237
334347 왜 베란다에서 핸드폰을 할까요? 9 왜그러지? 2009/07/01 1,166
334346 이런 보이스 피싱도 있네요 5 당할뻔 했네.. 2009/07/01 803
334345 영어 원어민 그룹과외 해보신 분 1 애미 2009/07/01 347
334344 마트에도 없고... 어디서 구입해야 5 기름병 2009/07/01 409
334343 헤밍사회탐구,,,,궁금?? 엄마 2009/07/01 161
334342 쵸코칩 쿠기 만들때, 인도네시아산 초코칩 인터넷구매 괜찮나요? 1 . 2009/07/01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