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난방이 전혀 안되요!!

중앙난방 조회수 : 658
작성일 : 2005-12-08 13:03:55
몇일전에 중앙난방 2층 너무 춥다고 글 올렸던 사람입니다.
이젠 난방이 아예 안들어와요.
작년까지는 미지근하게나마 난방이 들어왔구요.
올해는 날이 따뜻한날엔 더울정도로 난방이 잘 들어오다. 날이 추워지면 난방이 약해지더라구요.
지난주 일요일부터 난방이 아예 안들어오더군요.
관리사무소에서 해볼만한건 다 했답니다. 에어빼고, 관 청소하고, 위에 층들 벨브 줄이고, 압력 높이고
지금 5일째 저희집 거실 바닥은 차디차요. 현관바닥 수준.욕실 라지에이터도 차갑고요.
난방 담당자분들이 원인 찾으려고 매일 저희집 방문중이지만 아직입니다.

복도식 아파트라 같은층 8가구와 같은 라인 아래층과 윗층을 방문해봤어요.
1층은 1층만 따로 수평으로 들어오는 난방공사를 올 여름에 해서 따뜻하답니다.
작년엔 1층도 추웠데요.3층도 따뜻하다고 하고요.
저희 2층 다른가구를 방문해보니, 다들 작년보다 많이 춥다고 답하네요.
기존에 따뜻했던 집들은 작년 저희집 처럼 보조난방기 없으면 안되는 수준이고
저희집처럼 보조난방기 사용했던 집들은 난방이 이젠 거의 안되고.
해서 2층 다른가구들과 합의해서 저희도 수평 난방공사를 해야할 지경인거 같아요.
문제는 이게 여름에나 가능하답니다. 올 겨울을 이렇게 지내야하는데.

지금 전기보조 난방기구에만 의지해서 지내는데 전기 누진세가 만만치 않거든요.
작년에 난방이 약하게 들어올때도 겨울철엔 한달에 전기세만 10만원 가까이 내구요..
물론 난방비도 7-8만원 냈지요..23평 아파트 한달 관리비가 25만원이예요. 그것도 춥게 살면서요.
지금은 전기난방기구에만 의지해서 사니 한달 전기세만 20만원 가까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이거 관리사무소에 뭘 어떻게 요구해야할까요??
난방비는 당근 낼 필요 없어보이고, 전기세도 우리가 다 부담하기엔 좀 억울해요.
난방을 책임져야하는 관리사무소가 제역할 못해서 전기난방에 의지하는 바람에 누진세까지 물어야 하니까요.
제 생각엔 두가지인데 전기세를 보조 받거나, 가정용전기가 아닌 전기선을 끌어달라고 하는거요.
전기세를 보조 받는다는건 관리사무소도 돈이 갑자기 어디서 나올데 없을테구요.
가정용 전기가 아닌 아파트 공용 전기선을 끌어오는 방법이 가능할까요??
관리사무소나 저희도 손해 안보려면 방법은 이것밖에 없어 보여서요.

정말 이렇게 추운 겨울 지내보긴 태어나서 처음이예요. 결혼전엔 아파트에 살아본적이 없어서요.
어린시절 연탄 보일러 살던 시절에도 부모님들이 따뜻한 자리를 막내인 제게 항상 내어주셨는데
아직 돌도 안된 우리딸래미 하루종일 현관바닥 마냥 차가운 거실바닥 기어다녀요.
소파나 의자에 앉는 어른인 저도 반나절 난방없이 지내면 한기를 참기 힘들어 보조난방기 틀어버리거든요.
중앙난방에 대해 잘 아시는분들 조언과 리플 부탁드려요.
이럴 경우 관리사무소와 어떻게 조정해 나가야 할까요??

IP : 220.85.xxx.11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두요
    '05.12.8 1:13 PM (211.255.xxx.114)

    저희집도 추워죽겠어요
    전 작년에 결혼해서 겨울을 나보긴했는데 올해는 유독 추운거 같거든요
    따뜻한집은 난방공사를 따로 한거라고 하더라구요(저희 아파트 지은지 대략 30년-_-)
    관리비 아까워 죽겠어요

  • 2. 원글이
    '05.12.8 1:20 PM (220.85.xxx.112)

    저희집은 개인이 따로 난방공사해서 되는게 아니라고 관리사무소에서 얘기해요.
    그게 가능한거면 당연히 하지요. 전기세가 얼마나 드는데요.
    일층만 위에서 난방이 내려오는게 아니라 1층으로 바로 들어오는 수평난방공사를 한거구요.
    저희집인 이층이 또 문제가 된거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7085 전학가는 학교에 아이들이 적어요. 3 시골로.. 2005/12/08 282
297084 서울이나 서울근교 꾸덕꾸덕 말려서 만들은 대구찜하는곳 있나요? 1 식당문의 2005/12/08 151
297083 초1 딸이랑 6살 아들요.방학때 같이 배울수있는거 머있을까요? 2 알차게. 2005/12/08 220
297082 무통분만이 그리 좋은가요? 8 .. 2005/12/08 712
297081 운전연수비용 학원하고 김영희샘하고 차이가 있나요? 13 초보 2005/12/08 823
297080 옷에새겨진 페인트글씨 지우는 방법이.... 방법 2005/12/08 308
297079 버려질 찻잔이요. DIY 아이디어 좀 주세요~ 5 재활용 2005/12/08 365
297078 양문형 이냐 김치냉장고냐 고민 3 냉장고 2005/12/08 394
297077 혹시 싱가폴 살다오신분 싱가폴사시는분 1 싱가폴문의 2005/12/08 293
297076 일본 사시는 분들이나 잘 아시는 분들... 2 일본연수 2005/12/08 256
297075 김치냉장고 온도 조절이요~ 2 김치 2005/12/08 281
297074 선배님들.. 7살에 해두면 좋은게 뭐가 있을까요? 8 ... 2005/12/08 748
297073 고래잡은이야기...여쭙니다. 13 ** 2005/12/08 830
297072 외국계IT쪽 회사는 많이 받나요? 2 궁금 2005/12/08 401
297071 저 서울가요... 7 상경 2005/12/08 432
297070 제주도여행 1 제주도 2005/12/08 211
297069 코엑스 그렌드 컨퍼런스홈 찾기쉬운가요 dddd 2005/12/08 69
297068 각막염 앓은 후 앞이 뿌옇게 보이는건 왜죠?ㅠㅠ 3 각막염 2005/12/08 271
297067 1학년 때 좀 못해도 성적이 좋아질 수 있겠죠? 12 1학년 맘 2005/12/08 889
297066 제왕절개시 전신or부분마취에 대해 궁금해요 8 임산부 2005/12/08 464
297065 크기가 작은 김치냉장고도 성능은 문제없나요? 3 살림살이 2005/12/08 375
297064 컴의 글씨가 깨져서 나와요-_- 2 컴퓨터 2005/12/08 110
297063 서울시내 좀 깔끔한 찜질방 어디 있을까요 2 찜질방 2005/12/08 430
297062 수영복도 맞출 수 있나요? 2 수영복 2005/12/08 216
297061 지각 대장 엄마 5 휴우 2005/12/08 715
297060 시어머니땜에 깡패같은사람들이... 3 겁나서 2005/12/08 1,142
297059 어럴땐 어찌해야 하나여... 2 완모맘 2005/12/08 491
297058 비중격 만곡증 아시는 분 도와주셔요 4 걱정한가득 2005/12/08 290
297057 롯데백화점 본점 이용 자주 하시는 분덜 갈켜주세용~ 4 현대고객 2005/12/08 801
297056 초콜렛맛 좀 알려주세요 ^^; 3 어떨까 2005/12/08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