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수입의 몇퍼센트를 저축하세요?
요즘 가계부를 열심히 쓰면서 자주 드는 의문인데
여러분들은 수입의 얼마를 저축하시나요?
보험도 저축으로 생각하구요, 얼마나 저축 하시는지 한 번 나누어봐요..
저는 양가 부모님 용돈 드리고, 따로 기부하는 것도 있는데요..
맞벌이 이고 애기 하나 있답니다.
한 30~40% 정도 되는 것 같아요..
리플 많이 달아주세요..
좋은 하루 되시구요..
1. 저희는
'05.3.28 3:53 PM (61.73.xxx.63)보험 포함해서 60%정도 저축합니다.
목표는 73%인데.. 어렵네요...
뱃속에 아가 태어나기 전까지 70%이상씩 저축하려 노력해야죠..
참.. 저희는 양가 부모님 용돈은 따로 안드려요..
명절, 생신, 어버이날만 챙깁니다.. ^^;2. 지나가며..
'05.3.28 3:57 PM (61.32.xxx.33)저희는.. 양가부모님 용돈, 저희용돈, 관리비, 보험료 빼고 얼마냐.. 50~55% 정도 순수저축하는것 같아요.
그런데 월급이 얼마냐에 따라 많이 달라지지 않을까요? 1000만원 버는 사람은 웬만큼 쓸거 다쓰고도 60% 저축할 수 있고, 300만원 버는 사람은 40% 저축하기도 힘들겠죠. 퍼센테지와 금액을 다 봐야 알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금액 자체를 밝힌다면 게시판이 너무 시끄러워지겠죠? ^^3. 하루나
'05.3.28 4:02 PM (211.217.xxx.89)수입에 따라 다르겠죠. 백만원 버는이는 그에 따라서 못할수도 조금이라도 할수도 있고, 이백만원 버는이는 아마 2~40%정도나 더할수도 못할수도 있고, 삼백이상은 또 다르겠죠...제 친구들의 수입들을 보면 많이 번다고 많이 저금하지도 않아요. 집이 있다면 덜할수도 있구요. 적게 벌어도 집이 있다면 적게 적금들수 있구요.
4. 그냥
'05.3.28 4:51 PM (219.254.xxx.2)보험 포함해서 65% 전후...예전 설계사가 "저축 많이 하시네요." 하긴 하더군요.
그래도 월급이 늘면 저축의 절대금액이 늘어야할것 같은데, 애도 생기고 이것저것 살림살이도 바꿀때가 되어가고... 앞으로는 집 대출금에 애 교육비에, 노후생활대책에... 여전히 걱정스러워요.5. 45%
'05.3.28 5:01 PM (203.244.xxx.86)보험 포함해서 46%정도 되네요. 일년에 2번 돈이 좀 들어오면 그때 좀 더 합니다.
맞벌이라고 해야하나... 남편 수입이 일정치 않구요. 어린이집에 애 둘 보내고, 집은 자가입니다.
시가에 매달 60만원씩 보내고... 쓰기도 많이 쓰네요.
벌써 노후를 생각하면 뒷골이 땡기는 군요. 자식한테 손 안벌리고 살아야 할텐데...6. 혀니
'05.3.28 5:21 PM (219.251.xxx.172)평소 월급의 절반 좀 못미치게 저금하네요..정기적으로 저금하는 것만..
갑자기 과외수입 생기면 그건 그대로 예금...
그러구 또 몰래 비자금 챙기고...
큰애 초등학교 들어갔는데...아직 사교육을 안시켜서 그런가...
오히려 유치원 떄보담..월..낫네요..^^
아참..저흰 아직 양가부모님 용돈 안드려요..양쪽 다 아직 돈 버시니까...
근데..내년에 시아버님이 정년 퇴직이시라서..음..내년부텀은..좀 드려야 할 듯...
용돈 드리기 시작하면 지금만큼 못 모을 거 같네요..아무래도..7. ...
'05.3.28 5:22 PM (211.179.xxx.202)기본 생활비야 다들 비슷할껀데 몇 %가 말이 되나?
1억받는 사람이 90% 저축하는거랑
1000만원받는 사람이 60% 저축하는거랑
800만원받는 사람이 40% 저축하는거랑 액수는 미슷할런지는 모르지만
%는 다르지 않을까요?8. 월급여부
'05.3.28 7:40 PM (211.224.xxx.80)와 상관없이 맞벌이신데
30~40%는 적다고 보여지는데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