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에서 방사능흡착제거에 관해
아시다시피, 지금 일본원전에서 방수포로 덮느니, 수장시키느니 하고 여러 각도로 연구하고 고심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그러나 만약 수소폭발이니 뭐니 해서 방사능이 대량으로 방출되어서 난리가 나지 않는다고 볼 수는 없는데요. 그리고 우리도 원전이 적지 않으니 나중을 위해서라도 생각해봐야 겠다 싶어 두들겨 봅니다.
저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조심해서 나쁠 건 없다. 피랗수 있으면 피하자. 그러나 피할 수 없으면 최대한 조심하면서 여유를 갖자"는 겁니다. 각자 상황을 정확히 알고, 할 수 있는 최대한 방비를 하는 등 최선을 다해 재앙을 방어하자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가장 걱정하는 것들은 크게 한 가지인데요.
먹거리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느냐? 는 겁니다.
1. 생선, 농산물 등은 수입을 규제하고, 국내 농수산물도 전수검사로 대응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지 싶습니다.
2. 음용수, 즉 물인데요. 수돗물과 지하수를 동시에 해결하는 방안으로 "방사능흡착제거"에 관해 연구를 해달라고 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다시마, 미역, 김, 스피루나, 해바리기등을 흡착제로 해서 물을 한번 걸러 주면 어떨까 합니다. 뭐 연구해 달라는 거지요. 정부에서 이런 연구나 실험만 한다고 해도 국민들은 상당히 안심이 될 겁니다. 물 맛을 위해 비린내 제거등도 해야겠지요. 염소살포 전에 이 단계를 거친다던지.
즉 간이 정수기처럼 흡착층을 하나 추가한다는 개념입니다.
*참고 간이 정수기: http://k.daum.net/qna/view.html?category_id=QFK&qid=2fGgV&q=%B0%A3%C0%CC+%C1%...
이런 실험 중에 일본에서 예기치 않은 사태가 발생시에는 긴급히 방사능흡착제거제를 수돗물에 투입하는 것도 한 방편이 될 겁니다.
3. 대기 중의 방사능에 대해서는 일단 모자와 마스크로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니까 거의 필수품이고요. 창문의 커턴도 활용하면 되고. 식물 중에 방사능을 흡수하거나 견제하는 것을 찾아서 실내에 화분으로 들여 놓는 것도 한 방법이겠네요.
해바라기를 작게 키운다던지.
저의 의도는 82에서 여러분들이 이런 아이디어나 정보를 끌어 와서 모은다면, 하지 않은 거 보다는 나을것도 같습니다. 또 그러다 보면 시민단체들이나 정부에 좋은 건의를 하는 셈도 되지 않을까요?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수돗물에서 방사능흡착제거에 관해
참맛 조회수 : 1,381
작성일 : 2011-04-09 12:10:51
IP : 121.151.xxx.9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참맛
'11.4.9 12:11 PM (121.151.xxx.92)*참고 간이 정수기: http://k.daum.net/qna/view.html?category_id=QFK&qid=2fGgV&q=%B0%A3%C0%CC+%C1%...
2. 동감입니다
'11.4.9 12:21 PM (125.176.xxx.188)현명한 차선책이 지금으로선 최선인듯해요
여길 떠나지못하는한 ㅜㅠ3. 참맛
'11.4.9 12:30 PM (121.151.xxx.92)동감입니다/ 뭐 할 수 있는 최선은 다해 보자는 거지요.
"안전"드립은 그냥 안드로메다로 갔고요, 그렇다고 무셔서 벌벌 떨 것도 없고요. 강하게 그리고 슬기롭게 대응해야 할 때인거 같습니다.
모두가 조금씩 머리를 쓰고 잊고 있던 지식들과 상식들을 동원해서 머리를 짜내면 일본의 그 의사처럼 뭔가 나올 것도 같습니다.
각자가 생각나는 걸 부끄러워 말고 일단 올려 부는 겁니다. 그러다 보면 뭔가 나오겠지요.4. 마키아또
'11.4.9 2:17 PM (210.97.xxx.7)훌륭하신 생각에 멋진 적극성이십니다. 혹시 직장생활하시는 분이라면 아마 직장에서도 엄청 인정받으시지 않을까...생각해봄.
5. 청산avec..
'11.4.9 6:59 PM (123.99.xxx.182)좋은 아이디어네요 ..수돗물에 대해서 저 역시..조금 ..약간의 .. 공포심이랄까..
이런 방법도 있었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