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자차부담금을 꼭 들어야 하나요?
인터넷으로 보험 견적을 몇 군데 받아보니
보장대비 보험료 설정이 가장 높은게
자차부담금 이네요?
전 대인, 대물 뭐 이런게 가장 높은 줄 알았는데.ㅎㅎ
자차부담금에 대한 보험료가 상당히 높더라구요.
근데 이 자차부담금도 4월부터 본인부담금 20% 정율제로 바뀐다고 하던데
아니. 사고나서 자차에 대한 본인부담금을 20% 무조건 적용시켜서
그 외의 금액중 한도액에 해당되는 금액만 보장한다는 건데
그러면서 보험료는 또 왜케 비싼지..
20% 정율제가 또 없으면 몰라도 말이죠.
이거 뭐 자차부담금 들어놓고도 기분 썩 유쾌하진 않을 거 같아요.
그렇다고 안들 수는 없지만.
한도를 어찌 정할까 고민이네요. 그냥 가장 낮은 걸로 할까..
한도에 따른 보험료가 큰 차이가 없으면 모르겠지만요.
근데 이 정율제가 4월부터 바뀐다고 하는데
3월에 계약해도 보장 시작 기간이 4월부터 시작하면 바뀐 걸로 적용될까요?
1. 저는
'11.3.23 10:22 AM (115.41.xxx.10)자차를 아예 빼요. 그리고 조심운전해야죠.
2. .
'11.3.23 10:24 AM (180.228.xxx.178)구입한지 얼마안되는 차라면 그래도 들어야 할것같은데요.
전 신랑차는 오래되서 자차 빼고 제차는 작년에 구입한거라 자차 포함했습니다.
앗 본인부담금 적용이 종전과 좀 다르군요.
종전에는 5,10,20만원... 이런식으로 본인이 정하는 걸로 알았는데...3. 원글
'11.3.23 10:29 AM (112.168.xxx.216)저희 2006년도 출고된 차량 2010년에 중고로 샀어요.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님 종전과 같이 일단 보장한도 선택 하는 건 있어요.
5-50, 10-100, 20-200 뭐 이런식으로요.
다만 기존에는 5만원에서 50만원 한도로 내가 보험을 들어놓고
차자사고가 나서 30만원이 나왔다고 하면
그전에는 보장한도 내의 금액이므로 무조건 보험사에서 보장을 했잖아요.
근데 이번에 바뀌는건 30만원이 나오면
여기서 본인부담금 20%는 무조건 본인이 부담하는 거에요.
30만원에서 본인부담금 20%에 해당하는 6만원은 본인부담
6만원을 제한 나머지 금액은 보험사에서 보장이죠.
보장한도가 5-50으로 되어 있어서 한도 금액 내의 금액이라도 본인부담금 20%는
무조건 빼고 보장을 해준다는 거죠.4. 원글님
'11.3.23 1:24 PM (58.237.xxx.121)차량가액이 얼마인가요? 1000만원이면 500으로 해달래서 반만 들어도 된답니다. 얼마전에 알게된 상식입니다.
5. .
'11.3.23 2:20 PM (110.14.xxx.164)우리도 뺏어요 근데 사자마자 누가 다 긁어놔서 도색 새로 다하고 수시로 사고내고...
그게 그거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