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애 낳으려면 일정 교육받고 자격증 취득하게 하면 좋겠어요

.. 조회수 : 2,126
작성일 : 2011-10-13 21:52:55

결혼이야 둘이 좋아서 하더라도 제발 아이는 시험이라도 보고 통과한 사람만 낳았으면 좋겠습니다

제 나이가 50 가까이 되어가니 아이 어릴때 부터 알고 지내던 사람들 아이들이 성장을 해서~

이제 사회에 적응도 하고, 직장을 잡은 아이도 있고, 학교에 다니는 아이도 있습니다.

최근 며칠 마음이 참 어둡네요

 

결혼하고 알게된 친구는 자영업을 합니다. 아침 7시부터 밤 12시까지 매장이 열려있는데 오후 7시 넘으면 알바생이 옵니다. 아들과 딸이 있는데 쉬는 날 없이 1년 내내 부부가 같이 일을 하는 탓에 아이들이 어릴때부터 많이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가까이 사는 제가 수시로 밥도 먹이고 늦는 날에는 제 집에 데리고 있었습니다

이 부부의 양육방식은 아이들에게 돈을 주면 안되고, 잘못하면 맞아야 하고 엄하게 키워야 한다입니다

걸핏하면 쫓겨나고, 밥도 굶기고,그러는 와중에 순딩이 큰애는 자기안으로 파고 들며 매사에 거짓말을 일삼고

억센 작은 아이는 죽을만큼 맞고도 물러서지 않는 바람에 부모가 나가떨어져서 아이가 원하는 것을 그냥 들어주게 되었습니다.

 

지금 큰아이는 극심한 불안으로 직장생활을 두달 이상 하지 못하고, 억세서 자기 앞가림 할거라는 작은 아이는 공황장애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런데도 부모는 자식 탓이지 부모탓이 아니라고 합니다

어릴때 확 잡았어야 하는데 시기를 놓쳤다고 합니다

작은 아이는 우울증에 심각한 죄의식에 시달리고 있다고 했다네요.

친구가 자기 아이가 절 좋아하니 내일은 만나서 이야기 좀 해보라고 전화가 왔는데 한대 패주고 싶은 마음입니다

 

다른 친구 아이는 부모가 매사에 계획된대로(부부가 저명까지는 아니지만 자기 분야에서 떠들썩한 분들) 아이 인생을 계획하고 아이도 잘 따라갔습니다. 엄친아로 잘 자랐지요. 모두들 부러워 하는 그런 가정입니다

그런데 아이가 원인모를 어지럼과 두통을 호소합니다

몇년째 계속입니다. 병원에서 신경정신과로 보냈고 정신과 약을 먹어도 전혀 호전되지 않아서 친구 부부 패닉상태입니다. 그런데도 이 아이 앞날을 어떻게 새로 계획해 주어야 하나 고민하고 있습니다

병원에서 아이보다 부부가 먼저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이게 뭥미????  이럽니다

자기 아들이 부끄럽다네요.

 

제 동창중에 아이가 너무 영특해서 초2때 6학년 공부를 하더니(동창의 자랑이었습니다) 중학교때부터 조금씩 반항하다가 지금은 도저히 아파트에서 못살고 주택으로 이사갔습니다. 동창이 외출하고 돌아오면 교자상을 잘라서 썰매를 만들어 놓고 아끼는 오디오를 죄 분해해 놓고 날마다 컴퓨터 게임에만 빠져있습니다. 아이에게 날마다 공부공부~ 공부때문에 깔려죽을것 같다고 했다더군요.

병원에 입퇴원을 반복합니다.

 

아직 어린 자녀를 키우시는 분들, 육아관련 서적도 많고 부모역할 훈련도 많습니다.

제 주변의 몇명의 이야기지만 부모의 공통점은 자녀를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하고 내가 이끌어가야 한다는 생각 같습니다.

하다못해 전자기기 하나만 사도 설명서를 숙지해야 하고, 운전면허를 따려고 해도 공부해야 하고 시험봐야 하는데

아이는 왜 그냥 키우는지, 왜 부모 욕심으로 아이를 이끌어가는지...(이 망할놈의 세상이 그렇기도 하지요. 살아남기 위해 산다는 말도 실감이 납니다)

 

새삼스럽게 있는 그대로 받아줘라 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IP : 14.55.xxx.16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0.13 9:55 PM (210.205.xxx.25)

    그럼요
    말도 안되는 부모 많아요.
    부모학교
    아버지 학교가 생기고 있어요.
    얼마든지 둘러보면 있더라구요.

  • ..
    '11.10.13 10:01 PM (14.55.xxx.168)

    제가 대학에서 강의하시는 수녀님 논문 도와드리면서 겪은 사례 보면 대학교수 아들이 공부를 못해 얼마나 구박을 받고 맞았는지 이 녀석이 군대가서 수녀님께 편지를 보냈는데 읽으면서 수녀님도 저도 같이 울었어요
    '수녀님, 전 군대가 너무 좋아요. 여기 아이들은 집에 가고 싶다 힘들다 하는데 왜 힘들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전 대학다니면서 집에서 쫓겨나 생활비 벌어가며 죽을만큼 힘든 생활 겪어서인지 군대는 편하고 재미있어요. 휴가 나가면 수녀님께 제일 먼저 가고 싶어요. 수녀님은 보고 싶은데 집에 갈 생각하면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라고요.

  • ........
    '11.10.13 10:47 PM (125.134.xxx.176)

    아이고 님 글만 봐도 마음이 너무 아파요. 그 아이를 어쩐대요.

  • 2. 좋은 글입니다..
    '11.10.13 10:05 PM (14.42.xxx.47)

    정말, 자격없는 부모들 많아요........

    저 또한,다시금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글 감사합니다..

  • 3. .......
    '11.10.13 10:15 PM (211.246.xxx.253)

    글의 주제에는 공감하지만

    지인이라면서 남의 집 안좋은 이야기 이런데 올리는건 보기 안좋군요

  • ..
    '11.10.13 10:22 PM (14.55.xxx.168)

    그렇지요. 님 같은 댓글 달릴것 같아서 고민하고 올렸습니다

  • 4. 저 역시
    '11.10.13 10:16 PM (121.185.xxx.72)

    한때는 부모가 되기위해서는 어떠한 절차를 밟아 자격증을 취득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얼마전 아이 학교에서 강의를 받는데 부모자격증이란 말을 듣고

    다시한번 그런 제도가 있었음 좋겠다는 생각을 했답니다.

  • 5. 교육으로
    '11.10.13 10:25 PM (112.169.xxx.27)

    감화되나요??
    자식이 장애인인데도 장애인과 저런 사진을 연출하는 정치인도 있는데요,그게 교육이나 체험으로 알게되는게 아닌가 봅디다

  • 6. 공감합니다만
    '11.10.13 10:49 PM (125.134.xxx.176)

    저도 부모자격증 생각한 적 있는데요.
    문제는 그 자격증을 누가 주고, 그 기준을 누가 만들 수 있을까 생각하니
    그 또한 갑갑해 지더군요.

  • 7. 자격증~ㅋ
    '11.10.13 10:58 PM (112.153.xxx.36)

    원작자가 앤 타일러였던가
    미국에서 퓰리처 상 받든 작가라던데 암튼
    부모자격증 이런거 생각나는 소설이 있었죠.
    미국원어로 숨쉬기 연습이란 책이었는데 그게 바로 그런 내용이었어요.
    우리나라에건 종이시계라는 원작으로 나왔을거예요.

    왜 하찮은 자격증은 다 시험보고 거르면서
    정작 인생에 결정적인 중요한 일엔 연습도 없는데 자격증도 없냐 이런걸 은유적으로 얘기하죠.
    이를테면 부모가 된다거나...

    제 생각도 그래요. 원글님에 백퍼센트 공감합니다

  • 8. 공감합니다.
    '11.10.13 11:06 PM (112.187.xxx.237)

    아이를 키워보니까 아이를 키우는것만큼 어려운 일이 또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곤해요.
    부족한 인간인지라 아이에게 잘못하는것도 많고 또 후회하면서 눈물흘리고
    그리고 또 아이에게 상처를 주고 그러고 나서 또 후회하면서 가슴을 쥐어뜯고.....

  • 9. 공감 백배
    '11.10.14 12:19 AM (218.54.xxx.178)

    아이가 자라서 이제 스물을 넘기고 군대도 갔다왔습니다
    가끔씩 옛날 생각하면 아이에게 함부로 대햇던것,
    맘 아프게 햇던것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상처 받게 햇던것....
    등등이 떠올라 괴롭습니다
    그와중에도 위안이 된다면
    남편과 제가 그나마
    아이를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대하려고 노력햇던 점인데요
    제가 늘 생각하는게
    원글님과 같은 겁니다
    저부터도 그렇고
    부모로써의 자격이 없는 어른 ,많습니다
    성인되었다고 무조건 결혼하고, 아이 낳는거....전 반대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684 왜 그러는 지 알 수가 없어서요.. 5 조언구합니다.. 2011/10/20 1,239
25683 핸드폰으로 노래 저장하려면 어찌해야 하나요...? 2 질문좀.. 2011/10/20 1,038
25682 1억이면 이렇게 된다고 어디 사이트에 잇네요 13 ㅋㅋㅋ 2011/10/20 3,378
25681 나경원측 " 피부클리닉? 아이 피부 치료차" 41 나마네기 2011/10/20 7,881
25680 아기가 잠드는 시간때문에 저까지 너무 힘들어요...ㅠㅠ 10 엄마좀 살려.. 2011/10/20 1,562
25679 기미가 스물스물 생겼어요. 피부과 치료 받아보신 분 조언 좀.... 5 제라듐 2011/10/20 2,578
25678 저 이번선거 걱정되요!! 1 아놔... 2011/10/20 1,136
25677 교재추천해주세요.. 영어어휘 2011/10/20 761
25676 절친 결혼 축의금??(추가) 9 축하한당~ 2011/10/20 2,435
25675 맛없는 사과 한박스 9 어떻게 2011/10/20 1,841
25674 정치관련 자유게시판이 따로 있었음...하는분 계신가요??? 59 40대소심녀.. 2011/10/20 2,090
25673 아니,왜, 나경원이 **학교 이사였다는 거 언론에 안나오죠? 7 둥둥 2011/10/20 1,841
25672 솔직히 나경원은.., 4 ..., 2011/10/20 1,403
25671 11월 야외 음악회는 너무 추울까요? 3 11월 2011/10/20 983
25670 그 말린명란젓 같은거 저민음식 이름 아시는분계셔요? 5 ^^ 2011/10/20 3,494
25669 나경원, 본인이 쓴 책에 "법학 박사" 허위학력 명시 - 프레시.. 8 무크 2011/10/20 1,815
25668 새집증후군에 젤 효과있는 방법이 뭘까요? 1 냄새ㅠㅠ 2011/10/20 1,568
25667 기자분들,, 82에서 죽치고 있으면, 2 나기자 2011/10/20 1,784
25666 정봉주 전의원과 진성호 엠비엔 토론이 유튜브에도 올라왔네요. 3 Youtub.. 2011/10/20 1,725
25665 중국집 만원 이하 시키면, 좀 그런걸까요? 4 ㅇㅇ 2011/10/20 1,579
25664 아이패드 용량 16기가 사면 너무 적을까요? 10 ... 2011/10/20 1,815
25663 지 팔자 햄스터 후기~ 13 ^^ 2011/10/20 3,151
25662 엘지 스마트폰인데요, 사진과 동영상 메모리 복구 가능할까요? 1 ..... 2011/10/20 1,520
25661 나경원 전 보좌관 “나경원 시장으로 부적절” 4 ㅎㅎ 2011/10/20 2,012
25660 사진 어떻게 보관하세요? 3 지니지니 2011/10/20 1,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