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 과외해보신 분에게 묻습니다.

답답한 맘 조회수 : 3,098
작성일 : 2011-10-10 15:37:07

형님이 학교 다닐 때 수학 좀 하셨던 분이십니다. 그렇다고 평소에 나 잘한다고 하시는 분이 아니신데 울 아들(중2)땜에 너무 답답해서 상담을 드렸더니 우리 애처럼 어설프게 잘하고 고집 센 애들이 수학 점수가 안는다고 하네요

>>>>점수가 80점대 초반이에요.

시험시간은 한정되 있는데 괜히 어렵게 푸는 아이들.

이렇게 해도 답이 나오거든요 하면서 자기 방식만 고집한데요. 그게 우리 애래요.

그렇다고 수학적 머리가 있는 것도  아닌데...

본인이 자기의 부족한 걸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하는데 사춘기라 힘들다는거에요.

누가 옆에서 고치게 해줘야 하는데 그건 학원으로 힘들다고 하시네요.

 

제가 궁금한 건요. 형님의 충고를 믿고 과외를 해야하는 지에요.

형님을 불신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예민한 문제라 돌다리도 짚고 가고 싶어요

 

IP : 125.181.xxx.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지패밀리
    '11.10.10 4:09 PM (1.252.xxx.158)

    네..마자요.
    그런애들 더러 있어요
    아드님이그런유형인지 제가 직접못봐서 뭐라 못하겠지만
    형님이 아이에 대해 알고 말했다면 맞을가능성이 높아요
    어른들만 모든걸 비우는게 아닙니다.
    애들도 비워야해요.
    스폰지 같은 애들이 잘 담아요
    선입견이라던지 자기주장 자기의견이 너무 강한애들이 그래요
    자기가 배운 어줍잖은 능력치에 과잉기대를 하는거죠.
    사춘기라서 그런건 아니예요
    아이의 기질과 기존에 답습해오던 버릇들이 잘못든경우에도 그래요.

    제가 중딩때 그랬어요
    성적은 전교권이였는데 제 스탈대로 풀었어요
    선생님이 정석대로 가르쳐주면 저선생 실력없네 하고 제가 그냥 그 선생님에 대해 판단해버리고 안받아들였어요
    그래서 저혼자 제 방식대로 했는데 제가 좀 돌아서 간게 아닌가해요결과적으로 성적은 좋았지만
    그건 제 머리라던지 뭐 다른변수가 잇었던거고
    만약 머리가 그렇게 좋지 못한데 자기방식고수하고 다른방법이나 다른사람의말을 안듣는다면
    힘들어요
    그런데 이건 과외로 돌린다고 해결되진 않아요
    애 성격을 어느정도 바꿔놓고 해야되요.
    아니면 그애가 선생님을 완전히 신뢰하도록 만들던가.
    저 일하러 가야해서 여기까지만 달께요

  • 답답한 맘
    '11.10.10 4:16 PM (125.181.xxx.5)

    형님 말씀이 푸는 걸 자세히 보라고 하시더군요.분명히 버릴게 있대요. 하지만 내가 그걸 지적하면 안된대요.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못해서요. 요즘 제가 하는 말은 다 잔소리로 들리는 지 성질만 부리거든요.

  • 2. min
    '11.10.10 5:01 PM (14.39.xxx.61)

    투잡으로 합니다. 전업 선생님들에 비해 견해가 부족한 점은 있을 거예요. 제가 겪은 아이들이 대게 80점 전후였습니다.

    우선 질문하신 것 중에 어설픈 고집 부분은, 고집 없이 공부 잘 하는 아이 못 봤습니다. 중요한 건 학생 자신이 장단점으로 지적된 부분을 공감하고 선생님과 함께 수정하는 데 믿음을 갖고 따르느냐 문제겠지요.

    공부에 있어 자기 주관이 있는 고집의 장점이 단점을 개선하는데 장애가 되는 건 당연한 거고요. 어느 부분이 개선점이고 또 살릴 점인지는 학생과 세밀하게 합의를 보는 과정이 있어야 합니다.

    무조건 선생 따라와 주고 열심히 하는 아이야 말로 스스로 학습에서 한계점에 반드시 도달합니다. 자신의 고집이 어느 정도 유효하고 다만 보완해가면서 스스로의 공부법을 발견하는 과정이 있어야지요.

    물론 학생마다 다르기에 맞춤형의 교육은 학원보다 과외를 추천합니다.

  • 3. 맞아요
    '11.10.10 5:06 PM (58.233.xxx.47)

    형님 말이 맞아요.
    수학이든 뭐든 자기 고집이 있어서(일명 똥고집) 선생님 말씀을 못 받아들이는 아이는 성적이 오르지 않습니다. 수학이 특히 그렇긴 하지요 푸는 과정이 중요하니까요.
    저도 과외하면서 아이들에게 항상 하는 말이 나한테 배우려고 한다면 사소한 거라도 내가 하는 방식대로 따라하라고 합니다. 그러면 꼭 죽어도 제 말을 안듣고 자기 고집대로 하는 아이가 있어요.
    그런데 그런 아이들을 바꾼다는게 쉽진 않습니다.
    성격을 바꾸어야 하는데 성격 바꾸는 게 말처럼 쉬운 건 아니니까요.
    이런 애들은 과외해도 잘 안바뀌고요~
    과외를 한다면 진짜 누가봐도 학벌로 기가 죽는 스펙최고의 선생님을 붙이셔야 자기 습관을 좀 버릴까..
    암튼 힘든 스타일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012 베스트글의 일부 미신이야기... 14 글쎄요 2011/11/17 3,616
39011 7개월 좀 지난 아기와 호텔패키지가 좋을까요? 레지던스가 나을까.. 2 2011/11/17 2,419
39010 백화점 갔다가 맛젤 고구마라고....먹어보구선...헉 2 2011/11/17 4,422
39009 사주볼때 연애나 결혼운 대강 맞으셨나요? 8 확인사살 2011/11/17 8,046
39008 '가카'의 해외 나들이엔 뭔가 특별한 게 있다 5 광팔아 2011/11/17 2,088
39007 자기의 생일선물을 산다면, 뭘하고 싶으세요? 12 ㄴㄴㄴ 2011/11/17 3,258
39006 정앵커의 정문일침!! sukrat.. 2011/11/17 1,573
39005 마담알렉산더 인형 수집하시는분들께 질문이요~ 3 마담인형 2011/11/17 3,792
39004 일산 사시는 분들~ 맛있는 식당 추천좀 해주세요 5 일산 2011/11/17 2,099
39003 살돋에"10만원으로 시작하는 비상금관리꼼수!!!"-풍차돌리기인가.. 6 은행활용 2011/11/17 4,436
39002 구멍가게에서나 단식부기 쓴다고 하던 박원순 2 허걱 2011/11/17 1,737
39001 82메인화면에 있던 의류쇼핑몰 주소... 이구아나 2011/11/17 1,483
39000 쌀뜨물은 꼭 백미로만 만들 수 있나요? 4 현미먹는 집.. 2011/11/17 2,162
38999 가산 디지털단지 아울렛 아이들 옷살려면 어디로.. 4 2011/11/17 2,847
38998 SBS게시판 난리도 아니네요! 12 참맛 2011/11/17 16,666
38997 아딸튀김이 그렇게 맛있나요? 18 ... 2011/11/17 4,758
38996 스탠드형 김치냉장고...어디에 두셨나요? 자리가 만만하지 않네요.. 김냉 2011/11/17 1,896
38995 닭볶음탕할 때 닭 껍질은? 14 저녁반찬 2011/11/17 5,841
38994 오늘저녁 백분토론, 유시민대표vs퍼런당 원희룡 맞짱토론 5 저녁숲 2011/11/17 1,803
38993 아이가 3초정도 멍때리는데 어디가서 진료받아야 하나요? 11 사랑이 2011/11/17 5,221
38992 새로산 김치냉장고, 안에 김치통 세제로만 닦으시나요? 식초로 닦.. 김치냉장고 2011/11/17 2,640
38991 정봉주 "미국갔다 안 올까봐? 밀항해서라도 온다" 4 세우실 2011/11/17 2,449
38990 전 어제 짝에서 벌레 잡던거 인상 깊었어요 1 ... 2011/11/17 2,486
38989 뻘질문 죄송)조선족은 한국사람이에요? 16 2011/11/17 3,254
38988 MINIHILL 이라는 브랜드 아세요 4 여성의류 2011/11/17 2,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