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주부들의 김장부심도 사라질 거 같아요

곧겨울 조회수 : 5,111
작성일 : 2025-11-28 06:55:42

어릴 때 할머니랑 같이 살아서

김장철이면 고모들도 오시고 무슨 잔치마냥 왁자지껄 속에 김장하고,

돼지고기 살이 야들야들해질 정도로 삶아서 김장김치에 수육을 싸서 먹곤 했지요.

옆집 아무개네도 나눠주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어요.

결혼하고 시댁과 친정에 가서 같이 김장하고 김장비도 드리고 했는데.

직장 다니기 시작하면 평일이나 주말에 김장 참석도 귀찮아지기 시작하고 몸도 피곤하고,

김장은 알아서 한다고 선언했죠. 

하나 있는 아들도 이제 독립해서 나가서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기도 하고.

남편과 저만 남았는데 김장 안 하고 주위에 가끔 김치 받으면

집집마다 젓갈 종류와 젓갈 양도 다르고 특유의 젓갈 냄새도 그렇고요.

제가 유일하게 담는 김치는 간단하게 각 한단 씩 열무얼갈이 김치, 깍두기, 배추 겉절 정도는 하는데

이제 김장은 안 합니다. 사 먹어요. 대기업 제품이나 김치만 전문으로 하는 회사꺼 사서

맛없으면 익혀서 김치찌개나 김치찜 정도 해서 먹는데 맛은 괜찮네요.

핵가족화, 일인가구 증가 등의 이유로 겨울철 김장 문화도

현 주부들의 50,60,70대가 사라지면 없어질 문화가 될 지도 모르지요.

김장부심도 한 세대를 상징하는 희귀처럼 느껴지지 않을까.

주위에 말을 많이 하는 직업을 가지신 분은 김치 먹고 나면 젓갈 땜에 김치를 몇 년째 안 먹는 사람도 있네요. 요즘에 들어 밥상에 꼭 김치가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인가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IP : 211.234.xxx.192
3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네요
    '25.11.28 7:01 AM (223.38.xxx.10) - 삭제된댓글

    점차 사라지겠죠

  • 2. 세상을
    '25.11.28 7:08 AM (112.169.xxx.252)

    세상을 자기 기준으로 보니 김장부심이라고 하지
    가족들이 먹는 겨우내 맛있는 김치 담그는게 주부로서는
    너무 힘든일이지 부심이라고 까지 할게 있나요.
    가족들에게 맛있는 김치 먹이고 싶어서 하는거지
    님은 그냥 사 드시면 되는거고
    대기업이라도 믿을수 있나 하는 사람들은 담궈 먹는거고

  • 3. ㅇㅇ
    '25.11.28 7:13 AM (119.195.xxx.137)

    김치부심은 아니고 제가 한 게 맛있어서 합니다ㅋ
    어른들이랑 같이 엄청난 양 해보기도 했고 초보라 헤매기도 했는데 식구들 잘먹고 맛까지 있으니 하게 되네요
    이 계절 배추 무 맛도 있으니 간단히 해도 맛나요
    사먹고싶음 사드시는거고 할 사람 하는거죠

  • 4. 절임배추
    '25.11.28 7:19 A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사서 하면 부심이라고 할게 없어요. 수술하고 한달된 환자인데 절임배추 10킬로 사서 저혼자 담갔어요.

  • 5. 우리는
    '25.11.28 7:23 AM (118.235.xxx.209)

    김치 단체로 협동해서 하는거 싫다 난리치는데
    프랑스에서 김치의날 하면서 김치는 여러사람이 협력해서 하는 최고의 음식이라고 인터뷰 하는 외국인 있고 ㅎㅎㅎ

  • 6. 김치부심은 무슨
    '25.11.28 7:24 AM (49.161.xxx.218)

    김장김치가 제일맛있어서
    혼자서라도
    해마다 20키로 김장합니다
    얕은맛의 대기업김치가 비교가되나요

  • 7. 플랜
    '25.11.28 7:30 AM (125.191.xxx.49)

    사먹기도 해봤는데
    김치는 만들어 먹는게 끝까지 맛있게 먹을수 있더라구요

    그래서 김장합니다
    세포기씩 하면 큰통 하나 나오니 힘들지도 않아요
    여러번 나눠서 해요

  • 8. …….
    '25.11.28 7:33 AM (210.223.xxx.229)

    하고싶은사람하고
    안하고싶은 사람안하고

    대신 안하고싶은 사람 하게하는 문화는없어져야죠

  • 9. 작은 양
    '25.11.28 7:35 AM (122.102.xxx.9)

    무슨 부심요, 재료 가장 맛있는 철에 본인 입맛에 맛있는 김치 먹고 싶어 담는 거죠. 가족도 참가시키면서요. 저는 집에서 담는 김치가 좋아요. 사먹을 사람은 사먹고 담아 먹을 사람은 담아 먹고.

  • 10.
    '25.11.28 7:36 AM (211.104.xxx.83)

    제철 배추. 제철 무. 제철 재료가 제일 맛있어서 힘들지만 합니다.
    하루 힘들면 일년내내 김치찜.찌개. 고등어조림등 맛있게 먹을 수 있으니까요.
    또 김장날 먹는 수육, 동태찌개를 가족들이 무척 좋아합니다.
    김장부심 아니고 올 사람만 오게 합니다.
    또 먹고 싶네요 절인배추에 속얹고 굴보쌈 올린 집에서 한 맛

  • 11. ...
    '25.11.28 7:37 AM (1.227.xxx.69)

    저도 한참은 해마다 김장을 했었어요. 엄마가 해온거 보고 자랐으니 당연한줄 알고..
    언제부턴가 혼자하게 됐지요. 그런데 맛이없어요. 아무리 여기저기서 주워들은대로 해도 맛이안나서 이젠 안해요ㅋ
    그런데 맛이있으면 힘들어도 했을거예요.

    기사에서보니 외국 어느 나라에서인가에서(프랑스였나?) 외국인들이 김장 담그는 날을 지정해서 그 날은 휴일로 정해서 김장을 하는것 같던데요.
    외국에서는 우리걸 가져가 지키고 정작 우리는 없애려고 하는것 같아 좀 씁쓸하네요.

  • 12. 우리의
    '25.11.28 7:44 AM (39.7.xxx.187)

    고유문화인데 식문화가 왜 김치부심인지 이해할수 없는 발언이네요
    김치로 성공해서 돈버는 사람들 다 김치부심인가요?
    님이 사드시는 김치도 다 누군가의 노력의 댓가로 돈 긁어모으는건데요.
    맛네기가 쉽지 않잖아요.
    김치, 된당, 고추장,청국장 등 시판것이래도 다 김치 잘담그던
    사람들의 작품이에요. 회사가 김치 비법 노하우를 돈주고 산거잖아요.
    현재는 시판 것들이 너무 달거나 맛도 밍숭밍숭
    니맛도 내맛도 아닌 왠 외국애들 입맛에 맞게
    변질된거 같아 우리나라 특유의 맛이 없어 저는 몇포기래도 꼭
    김장 담아 먹어요. 사먹는 김치들 맛도 밍숭한데 미원이 너무 들어갔어요ㅠ김치가 맵고 깨운하던가
    약간 매우면 시원하던다 해야는데 미원 들이부어 익혀
    찌개거리지 속이 니글대요.
    김치 한가지만 잘담아 돈벼락 맞은 사람이 한둘이 아나에요.
    식당이 왜망하고 손님 없게요?
    중국산김치 때문이에요.
    중국산 장류로 찌개 끓이고
    중국산 장아찌류 내놓고
    장사하니 누가가요? 이집 저집이 미원만 넣는다고 음식이
    되는게 아닌데 맛에 대한 노력보단 조미료로 맛해결보고
    이집저집 비슷하고 가격만 올려받고 비싸니
    특별런거 없음 집에서 먹고 말잖아요.
    전 김치랑 특이한 오징어 무침 때문에 명동 충무김밥
    비싼 김밥으로 돈지랄도 해요ㅠ

  • 13. 부심이
    '25.11.28 7:44 AM (211.234.xxx.23)

    어디있나요
    각가정마다 필요하니까 담는거죠
    김장이 무슨 인류공영에 이바지 하는것도 아닌데요
    부심 같은거 없어요
    이때 재료들이 좋아서 이때 담아두고 먹는게 부심은 아니죠

  • 14. 70대이상
    '25.11.28 7:46 AM (211.48.xxx.185)

    할머니들의 김장부심이 사라진다는게 정확할듯요.
    윗 댓글들처럼 가족을 위해 20킬로 이내로 혼자 김치
    담그는 건 유지될거고

    원글님은 시어머니 진두지휘에 며느리가 큰 일꾼이 되어
    시누이네 김장까지 해야하는 그런 풍습을 말씀하신거겠지요.
    저도 여기에 공감하구요.

    여자들이 전업주부일때나 당연시했고 피할수도 없는거였지
    남편과 똑같이 돈 버는데도 쉬어야 하는 주말에
    며칠 몸살날만 한 80포기 100포기 김장에 노동력 제공은
    좋은 풍습이랄수가 없어요.

    제사도 마찬가지구요.
    대가족 농경사회 때의 풍습을 핵핵가족 첨단 산업사회에
    그대로 고수, 지키려는 건 모순이자 여자들에겐 폭력이나
    마찬가지예요.
    물론 며느리 당사자가 기꺼이 김장, 제사 치르는걸 좋아한다면야
    뭐가 문제겠어요?

    아무튼 나이든 사람들과 남자들 사고방식이 농경사회 때
    그대로인것부터 바뀌어야해요.

  • 15. ...
    '25.11.28 7:48 AM (118.235.xxx.70)

    김장 직접 하는사람들 좀 할일없고 무식해보여요
    100포기니 200포기니
    얼마나 편한시대에 살고있는데
    내세울게 그건거죠

  • 16. 어쩔수없는것
    '25.11.28 7:51 AM (221.138.xxx.92)

    여성이 사회생활 병행하려면 할 수가 없는 것 같아요.
    내 몸하나 간수하기도 힘든데 어떻게 김장을 하나요..
    가볍게 담가 먹을수는 있어도..이정도만 되어도 진짜 악을 쓴거죠.

  • 17. ㅡㅡ
    '25.11.28 8:00 AM (106.101.xxx.155)

    엄마랑 이모랑 항상 같이 김장하시다가
    작년부터 힘들어서 이제 안해요
    김치 사먹어요
    나는 할줄도 모르고 배울생각없어요

    미래에는 집안일도 더 줄어들어서 가정주부역할이 더 축소 될것같아요제사,김장 없어지고. 로봇청소기 식기세척기 건조기 ...

  • 18.
    '25.11.28 8:01 AM (61.75.xxx.202)

    이 세상에 태어나 가치있는 일이라면
    가족이 아닌 타인을 위한 희생 봉사 아닌가요?
    다 자기계발하고 돈 벌려고 일하는 거죠
    회사 다니는 것만 가치 있는 듯 주부의
    김장을 폄하하는 발언 납득하기 힘드네요

  • 19.
    '25.11.28 8:08 AM (125.137.xxx.224)

    외국의 무식하고 큰 100킬로그램 가까이되는 치즈덩이
    이 신선한 동물고기 24시간 언제라도 마트에서 살수있는 시대 딱히 제철동물 제철고기 개념도 없는데 동물내장에 다진고기 쑤셔넣고 훈연한 소시지장만
    하몽 훈제고기장만
    발로 포도를 밟아 와인만들고
    오크통에 위스키 저장하고
    외국집에서 외국인가정이 그러고있는건 신기하고멋진 외국문화고
    우리나라 김장은 미개한가
    외국살이해보고 오히려 김장 참여하게됐어요
    저도 김치안먹고 김장참가안한다
    하고싶으면 하시라 선언하던 30년전며느리입니다
    10년전부터 하기시작했어요
    제철음식장만 가족화합
    나이들고 은퇴해 사회적으로 적적한부모의 자존감 자조 세우고 외롭지않게하기 등등
    요양원 노치원비보다 싸게먹히고
    부모자식간 할게있다는게 중요하더군요
    배추농사 거의도와드리고 김장도 거의도와드립니다
    대신 남자도 앞치마입고 절이기 다하고 버무리기 나르기
    남녀노소 김치먹고싶고 받아가고싶으면 똑같이참여하고
    10살도 똑같이 참여합니다

  • 20. 김치유목민
    '25.11.28 8:09 AM (125.179.xxx.132)

    깔끔하고 손맛좋은 분들이 하는 김장김치
    한 10년 못먹었더니 그리워요
    시판 김치 죄다 먹어봐도 쨍하고 깊은 맛이 없어요
    익혀봐도 그냥 찌개에 넣을 정도는 돼도
    생으로 먹는 그 시원함을 못찾네요
    저는 관절염있고 일해서 엄두도 안나고
    친정은 이제 김장안하고
    어디서 주는데도 없고 ㅜㅜ
    조금씩이라도 내가 담글까 깊이 고민중입니다

  • 21. .ㆍ
    '25.11.28 8:18 AM (118.235.xxx.219)

    냉장고도 없던 시절
    먹거리도 다양하지 않았기에 그랬었지요
    할일이 없었다니요
    1년 먹거리 그 추운계절에 가족을 지켜준
    반찬이었는데요
    시절이 변했으니
    현실에 맞게 하면 되지요
    가족수에 맞게
    시부모 김장하는법 친정김장하는법
    인터넷방법 등에서
    나의 우리식구의 레시피를 만들어가는 것
    재미있어요
    깍두기도 좋고 열무ㅇ부추 갓 파김치ᆢ

  • 22. 딸엄마님들아
    '25.11.28 8:19 AM (221.138.xxx.92) - 삭제된댓글

    공부 열심히 한 딸이 어엿한 직장생활해서
    사회에서 자리잡았음 좋겠어요.? 아님
    매년 김장 담아 가족들 잘 챙기는 주부가 되었음 좋겠어요?

    답 나온거 아닌가요?
    사라질 수 밖에 없어요...

  • 23. 윗님아
    '25.11.28 8:23 AM (122.36.xxx.84) - 삭제된댓글

    그렇게 훌륭히 키운 딸,아들도 다 손수 담금 맛있는
    김치가 먹고 싶어요.
    못하니 못먹지 사람인데 어찌 김치없이 살아요?
    김치없인 난 못살아요
    김치는 사랑아네요.

  • 24. ㅇㅇ
    '25.11.28 8:24 AM (122.36.xxx.84)

    그렇게 훌륭히 키운 딸,아들도 다 손수 담금 맛있는
    김치가 먹고 싶어요.
    못하니 못먹지 사람인데 어찌 김치없이 살아요?
    김치없인 난 못살아요
    김치는 사랑이네요.

  • 25. 여성사회생활하면
    '25.11.28 8:25 AM (221.138.xxx.92)

    먹고 싶어도 사먹을 수 밖에 없다고요..

  • 26. ...
    '25.11.28 8:30 AM (106.102.xxx.130)

    정작 하는 사람들은 별 생각이 없는데
    안하기 찔리니 남들은 부심으로 모네요
    원글 꼬인 심보부터 해결하세요

  • 27. 부심이
    '25.11.28 8:34 AM (118.235.xxx.162)

    없진 않은거 같아요.
    같이 하기 싫은데 난리치니까 할수없이 도우러가요.

  • 28. ...
    '25.11.28 8:36 AM (39.114.xxx.243)

    윗 댓글님


    외국 가정에서 하몽 만들고 치즈 만들고 포도주 만들고 한다고요???
    어느나라가요????
    그 가정도 희귀하니깐 방송 탔나보네요. 서유럽, 미국 살이 하고온 사람입니다.

    그게 신기해 보일지언정
    멋져보이진 얂을거 같은데요???

  • 29. 그냥
    '25.11.28 8:50 AM (110.35.xxx.43)

    지금50~60대는 가계에 맞춰 하는거지 부심은 아니지않나요.. 저희 시엄니 70대후반..김장부심 컸는데 지금은 며느리들이 각자 담아서 한통씩 드려요.

  • 30. 가족관계
    '25.11.28 8:54 AM (58.124.xxx.75) - 삭제된댓글

    가조칸 갈등이 문제이지
    김치부심이라그ㅡ
    우리고유의 자산인 김치를 폄하하다니
    슬프다

  • 31. 김장
    '25.11.28 8:55 AM (39.7.xxx.91)

    좋은 국내산 재료로 맛있게 만듭니다
    부심없습니다
    요즘은 옛날같지 않아 많이 안먹기에 한박스나 두박스 하는데 별로 힘들지 않네요
    김치만큼은 내가 해먹고 싶어서요
    오늘은 동치미 담글까 싶네요

  • 32. 아니
    '25.11.28 9:15 AM (210.95.xxx.34)

    제철음식이고 뭐고
    그냥 김장이 맛있어요.
    바로 먹어도 맛있고 숙성돼서 김치찜이니 찌개니 끓이면 더 맛있구요.

  • 33. 김장
    '25.11.28 9:18 AM (59.8.xxx.75)

    그 맛을 기억하고 먹고 싶은거죠. 위에도 있지만 시원하고 쨍한 김치맛.. 사실 그 비법 중 하나가 땅에 독 뭍고 거기에 김장 김치 해넣은거 꺼내 먹는거에요. 한겨울에 눈 쌓인 뚜껑 치우고 손 시려워서 김치 꺼내러가기 너무 싫었는데 꺼내오면 맛은 진짜.. 거기다 김치 사이사이 석박지같은 모양의 무 박아 넣은게 익으면 또 그 아삭하고 시원한 맛이 김치랑은 달라서 저는 겨울에 간식처럼 하나 커내서 젓가락에 꽂아 먹기도 했어요. 동치미도 너무 맛있었고.. 친정엄마가 손맛이 너무 좋고 김치 담그는걸 좋아하셔서 어쩔땐 종류별로 김치가 넘치고. 친정멈마가 음력날 맞춰 집에서 된장 고추장도 만드시고 액젓도 달이시고.. 철인이셨죠. 문제는 김치를 너무 맛있게 담그셔서 맛보기로 나눠서 주면 그걸 더 드시고 싶어들 하니 퍼주다가 또 김장 하시고 김치 만드시고.. 겨울에 초입 한겨울 음력설전까지 세번을 하셨어요. 김장 하시던 엄마 너무 사랑해요..

  • 34. 김장안하지만
    '25.11.28 10:00 AM (116.32.xxx.155)

    김장 직접 하는사람들 좀 할일없고 무식해보여요
    100포기니 200포기니
    얼마나 편한시대에 살고있는데
    내세울게 그건거죠

    굳이 말하자면, 이 정도면 내세울 만하다 봅니다.
    무식하다는 건 너무 간 것 같고요.
    반대로 김장 안 한다고 유식한 거 아니잖아요.

  • 35. 그죠
    '25.11.28 10:01 AM (118.235.xxx.228)

    겨울내내 먹다가 묵은지로 찌개끓이고 하는거죠
    부심은 뭔가요
    해놓으면 든든하니 하는거죠

  • 36. 아프다고만 안하면
    '25.11.28 10:59 AM (116.47.xxx.78)

    70대 친정 어머니 꼭 김장 대량으로 하고 아프다고 하셨어요. 어릴땐 대가족이니 200포기 하는게 당연했고 땅에 독 묻은거 꺼내주시면 맛있긴 했는데 초등 겨울방학땐 김치 외엔 점심 반찬이 없던 기억이 많았네요.
    언니가 친정 가까이 살고 묵은김치 좋아하니 처음엔 김장김치 몇통 가져가고 돈 드리다 어머니 힘들다 하시니 언니와 형부도 같이 가서 버무리고 일하다, 하고나면 아프다 하시니 하시지말라고 나는 보내지 말라고
    해도 보내시다 이제 완전히 김장 안담그시네요.
    저는 워낙 멀리서 공부하고 일하고 결혼도 늦게하고 매운거 잘못먹고 신김치 싫어해서 보내지 말라고
    정말 보내고 싶으시면 조금만 보내시래도 택배로 비닐에 가득보내주는 김장김치가 일거리 같았어요. 다 먹지도 못한체 몇년 냉장고서 묵혀지다 남은건 자리 없어 버리기도 하고. 지금도 몇년된거 있어요.
    남편과 저와 아이 모두 새김치 좋아하고 신김치, 묵은김치 매운거 잘 못먹어요. 종가집은 고과당 들어서 너무 달아서 대기업 건 안사요. 디스크 안좋아서 대량 쭈그리고 일하는거 못하고요.
    그런데 요즘 김장 담그고 얼굴 퀭하고 아프다, 힘들다 며칠째 하시는 50대후반이상 분들 보면 좀 욕심이신가 싶어요. 그게 부심인듯 싶습니다.
    하고 나서 계속 아프고 힘들 정도면 안하거나 많이 줄이면 되지 시어머니도 이제 안계시는 분들이 시키지도 않았는데 왜 그러실까 싶어요.
    가족들, 자녀들 맛있는거 먹이고 싶지만 안아픈게 제일 입니다

  • 37. 동글이
    '25.11.28 11:05 AM (106.101.xxx.178)

    저희집은 한번도 날잡아 김장하고 그런적이 없어서

  • 38.
    '25.11.28 11:37 AM (118.235.xxx.228) - 삭제된댓글

    하고나서 아프다는것보다 그게
    가족들은안먹나요
    혼자먹슬려고 김장하나요??
    부심은무슨~

  • 39. 한국사람
    '25.11.28 3:49 PM (180.71.xxx.214)

    이면서 김장부심이란 말을 하면 될까 싶네요

    김치는 한국 음식의 기본인데요 된장 고추장 간장이랑요
    그건 기본 베이스인데
    그걸 부심이라고 하다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7042 어머...아침마당에 하정우가 나왔네요 9 ㅎ ㅎ 08:47:07 3,789
1777041 강남 살면 돈이 더 드나요? 23 ... 08:46:01 2,920
1777040 닷새 사이 물류센터서 노동자 2명 사망···쿠팡 ‘책임 회피’ .. 2 ㅇㅇ 08:45:58 682
1777039 국민연금 최고수령액 월 318만원 9 .... 08:45:19 2,770
1777038 변기가 왜 그럴까요? 6 답답해요 08:45:14 1,177
1777037 백령도 가보신분~ 5 .... 08:45:12 557
1777036 요즘 인테리어 정말 다 비슷하네요 5 ㅡㅡ 08:41:30 2,065
1777035 흡연자들 마인드 보통 이런건가요? 4 .... 08:38:55 755
1777034 마스크 유통기한 지난거 써도 되나요? 6 .. 08:38:08 1,387
1777033 kordex 금액티브, Gld ETF요 1 ddd 08:37:47 468
1777032 코팅 후라이팬 6개월~1년 주기로 그냥 싹 다 바꾼다고 하면요 19 ㅇㅇㅇ 08:36:18 2,200
1777031 오세훈 "특검, 명태균건으로 기소하면 뒷감당 어려울 것.. 11 왜울려고 08:35:42 1,331
1777030 Sk 하이닉 .. 08:35:01 1,009
1777029 변비로 고생하는 분들, 이거 드세요 13 ........ 08:32:43 2,874
1777028 맞벌이의 고단함이 5 성과급 08:25:08 1,776
1777027 "비트코인 급락 이유 있었네"…큰손들 역대급 .. ㅇㅇ 08:12:06 2,581
1777026 다이소 직원이 무릎 꿇고 빌기까지 하네요 28 ㅇㅇ 08:09:45 4,467
1777025 공모주 시초가 매도 6 주식매도 08:01:22 989
1777024 남편 출근시키기 ㅜㅜ 7 ooo 07:49:00 2,439
1777023 겨울이 너무 싫지않나요 ㅜㅜ 51 아휴진짜 07:48:04 3,910
1777022 Thanksgiving Day 퍼레이드 '골든' (NBC 라이브.. 5 ... 07:36:41 884
1777021 해남배추 일손이 없대요. 제 절임배추 무사할까요? 16 ... 07:35:46 2,808
1777020 오늘 민희진 재판에서 터진 폭로 28 그냥 07:33:17 6,584
1777019 노무사님 혹시 계시면 질문드립니다 4 .... 07:31:46 621
1777018 비혼 자매 병 수발 보다가, 결혼하고 자식 낳는게 46 .... 07:25:08 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