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부모님 장례식이요

부모님 조회수 : 5,085
작성일 : 2025-11-16 21:26:52

형제들은 외국에 있고 주부인 저만 한국에 있어서 올 손님도 거의 없거든요. 

다행히 아버지가 넉넉하신 편이라 유산도 넉넉할것 같은데 장례식을 장례식장에서 안해도 될까요?

 

그냥 좋은 식당빌려서 정말 친했던 아버지 친구나 친지분들 자유롭게 식사하고 가시고 아버지가 마지막으로 식사 한번 대접하는걸로 조의금 화환은 사절하구요.  아빠 살아생전 친구들에게 하시고 싶었던말도 찍어두고 함께 여행갔던 좋은추억들 영상상영같이 틀어두고 메모리얼 사진들 아빠의 일생같은것도 전시해놓구요. 남은분들이 기억하고 행복하게 보내드리면 좋겠어요. 

 

저희는 기독교라서 장례치뤄도 천국환송파티같이 기쁘게 하고싶거든요. 아버지도 장수하셨고.  고인 시신은 법적으로 3일동안 보관해야하는걸까요? 화장해서 가족납골당으로 가실거에요. 아버지 의견도 친척분들 의견도 아직 모르지만 제뜻대로 할 수 있다면 제 장례도 저렇게 하고싶어요. 

IP : 140.248.xxx.0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25.11.16 9:34 PM (220.118.xxx.69)

    아닌것같아요 제생각

  • 2. .....
    '25.11.16 9:35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부모님이 장수하고 가시면, 중년의 자식들이 조의금 안 받더라구요. 우리도 그랬구요. 하지만 다 장례식장에서 했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못 봤네요

  • 3. ..
    '25.11.16 9:36 PM (119.203.xxx.129)

    외국에있어도 장례식엔 다 와야죠.
    님이하고자하는 대접을 장례식장에서 하면 돼요.

  • 4. ....
    '25.11.16 9:36 PM (112.155.xxx.247)

    원글님이 하고자 하는 걸 식당이 아니라 그냥 장례식장에서 하면 될 거 같아요.

  • 5. ..
    '25.11.16 9:38 PM (58.238.xxx.62)

    생각은 좋을지 몰라도
    시신은 어찌 하시려고

  • 6. .....
    '25.11.16 9:39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문득 이 노래가 생각나네요.
    댓글중
    아버지가 죽으면 이 노래를 틀어달라셨는데, 어제 아침 암으로 가셨고 난 지금 이 노래를 듣고있다..
    https://youtube.com/watch?v=nqTbjKZviIA&lc=UgzMANKrxnXkJ9LTT-h4AaABAg&si=34GiE...

  • 7. ..
    '25.11.16 9:41 PM (125.248.xxx.36) - 삭제된댓글

    저희는 장례식 음식에 외부 음식 과일 문어 빵 등 추가로 외부에서 반입했어요. 시아버지가 아는 부대 사병들 밥 다 먹이고 친구분들 나중에 밥 한번 드시라고 300 드렸어요. 오신 분 모두 답례품 5만원씩 드리고 멀리서 온 분들은 호텔 잡아 드리고 5일장 했어요.

  • 8.
    '25.11.16 9:42 PM (104.28.xxx.44)

    윗님 좋네요. 외부음식반입이 되는굼요

  • 9. 현실적인
    '25.11.16 9:43 PM (112.154.xxx.177)

    저도 획일화된 장례식 문화가 좀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원글님의 구상은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요
    일단 괜찮은 식당을 급하게 섭외하기가 어려워요
    장례가 예약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보니
    음식점에서 재료수급이나 장소 대여를 급하게 준비해야하잖아요 그걸 해줄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을 것 같아요
    조문객 입장에서도 급하게 가다보니 평일 저녁에 회사일 마치고 가기도 하고 멀리서 가기도 해서 도착하는 시간도 제각각이라 시간을 너무 짧게 잡기도 어렵죠 3일장이어도 마지막날은 새벽같이 나가니까 조문 받는 날은 하루나 이틀이에요
    장수하신 분 장례에 갔을 때 영상 만들어서 틀어놓으신 건 본 적 있어요 호상이라 분위기도 가볍고요
    원글님 생각하신 방식으로 장례식장에서 하시는게 여러모로 편하실 거예요

  • 10. ...
    '25.11.16 9:43 PM (58.78.xxx.169)

    장례식장에서 조의금만 받지 마시고 그렇게 하시면 되지요. 부의함 입구 막아놓고 '이런이런 취지에서 부의금은 정중히 사양한다, 찾아주신 마음만 감사히 받겠다'고 적어두면 됩니다.
    조의금과는 별개로 고인을 알았던 분들께 정식으로 이별하는 기회를 드리는 게 고인과 지인 모두에 대한 마지막 예의가 아닐까 합니다. 그런 형식을 갖추기에 가장 적당한 곳이 장례식장이죠.

  • 11. 그러네요
    '25.11.16 9:44 PM (140.248.xxx.1)

    역시 여쭤보길 잘했어요. 제가 원하는 방식으로 장례식장에서 정말 좋아했던분들과 감사를 나누고 대접해드리고 추모하는 방법을 찾아야겠어요

  • 12. sidi
    '25.11.16 9:47 PM (58.123.xxx.67)

    저도 원글님 같은 생각 많이해요. 결혼식 문화가 많이 바뀐것처럼요. 결혼식이 예전엔 부모님의 잔치 같았는데 요즘은 혼인 당사자들이 기획해서 특색있는 결혼식이 많더라구요.
    저도 우리 부모님 장례식은 좀 다르게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데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겠더라구요. 이런 생각들이 모이고 모여서 서서히 변화하겠죠?

  • 13.
    '25.11.16 9:51 PM (211.243.xxx.238) - 삭제된댓글

    어떤 식당에서 장례문상객 받는거 좋아하겠습니까
    그리구 일단 친구가 친척이 돌아가셔서 오신분들에게
    어찌 파티형식으로 한단 생각을 하세요
    물론 천국 가신건 좋은일입니다
    하지만 정든 사람 떠나갔는데
    울지는못할 망정 이런 생각하심 뒷말 들어요
    그냥 남들 하는대로 하세요
    돌아가신분 옛날 영상 틀어서 좋을 사람 없지않나요
    괴롭지요 떠난분을 보아야하다니요
    너무 선넘은,
    하나의 행사로 치르는것같네요
    일단 그리구 아버지 돌아가심 슬퍼서
    이리 못해요 지금이니까 이러죠

  • 14. 외국에
    '25.11.16 9:53 PM (59.1.xxx.109)

    있어도 장려식엔 와야죠
    자식이라면

  • 15. ...
    '25.11.16 10:07 PM (182.221.xxx.38)

    외국 사는 자식들이 섭섭하게 했나봐요 무심하거나.
    일률적인 한국식 3일장 장례식이 안맞는 소수의 사람들이 있어요
    단 한번 뿐인 인생인데 원글님 생각대로 실현해보는게
    좋아요 상황은 개개인이 가장 잘 알거든요

  • 16. 그런데
    '25.11.16 10:08 PM (122.34.xxx.60)

    아버님 형제 자매 일가친척 아무도 생존해계신 분들이 안 계시나요?
    아버님 천국 가셨다 생각해도 생전의 이별이 슬퍼서 원글님도 많이 힘드실겁니다
    입관식을 해야 여국에서 장례식 오는 자녀들이 마지막 얼굴을 뵙지요
    .외부 음식 반입되도 장례식 음식을 사야할 수도 있고요ᆢ 외부음식을 갑자기 출장서비스를 할 수도 없고, 파티음식을 주문할 수는 없잖아요;;;;
    그리고 장례식이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듭니다. 다른 형제자매들이 아버지 유산을 왜 저리 쓰나 할 수도 있어요.
    서울에서 장례 치를 때 두 번 다 3천만원 정도 들었었어요. 지방여서도 2천만원은 들었었구요. 저희가 손님이 많긴 했었지만ᆢ
    그런데 그 많은 손님들 출장 음식까지 따로 하고 영상에 ᆢ

    형제 자매들과 꼭 의논하세요

  • 17.
    '25.11.16 10:15 PM (211.243.xxx.238)

    아버님 돌아가심 슬퍼서 이런저런일 하긴하지만
    그랗게 남들 신경쓸 정신적 여유 없어요
    그냥 돌아가신분 생각하며 조촐하게 지내심 되지요
    떠나보냈는데 어찌 천국 가셨다해도 기쁘게 하겠습니까 ......

  • 18. 123
    '25.11.16 11:04 PM (59.14.xxx.42)

    저도 원글님 같은 생각 많이해요. 결혼식 문화가 많이 바뀐것처럼요. 결혼식이 예전엔 부모님의 잔치 같았는데 요즘은 혼인 당사자들이 기획해서 특색있는 결혼식이 많더라구요.
    저도 우리 부모님 장례식은 좀 다르게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데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겠더라구요. 이런 생각들이 모이고 모여서 서서히 변화하겠죠?
    2222222222222222222222

  • 19. 그냥
    '25.11.17 8:29 AM (203.142.xxx.241)

    장례식장에서 하세요. 그러면 아버님 시신은 장례식장에 안치되어있고 그 인근 식당 잡아서 잔치하듯 치루고 싶다는 말씀 같은데, 원글님이 죽거든 그렇게 해달라고 자녀들한테 유언하시고, 아버님은 그냥 남들 하듯이 하세요. 그게 뒷말없습니다. 친인척들이나 해외에 있는 형제분들이 원글님의 그런 결정을 이해해준다면 모를까. 내 부모 내 맘대로 보내겠다..이건데, 그냥 남들 하듯이 하세요. 부모님 돌아가시면 마음도 몸도 힘듭니다. 그냥 의례를 따라가기도 힘들어요

  • 20. 장소섭외
    '25.11.17 9:33 AM (14.35.xxx.114)

    장소 섭외 힘들 것 같은데요.
    그냥 장례식장에서 하세요. 님이 하고자하는 거 장례식장에서 다 가능해요.

  • 21.
    '25.11.17 10:24 AM (49.172.xxx.18)

    조문객입장에서 엄숙해야할 장례식에 저런 이벤트
    별로입니다.
    결혼식은 각양각색으로 해도 무난하지만
    장례는 다릅니다.
    장례치뤄보면 장례식장이 고맙게 여겨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870 유기견보호소 문의합니다 4 써니맘1 2025/11/17 345
1773869 순두부찌개육수를 매콤 샤브샤브 육수로 사용해도 될까요 2 급질 2025/11/17 384
1773868 김치 담그고 얼마나 있다가 냉장고에 넣어야해요? 4 ㅇㅇ 2025/11/17 933
1773867 국힘 대변인, 같은 당 김예지를 향해 "피해 의식 똘똘.. 6 2025/11/17 901
1773866 둘째 핸드폰 잃어버림 4 초등둘째 2025/11/17 795
1773865 히트텍 같은거.. 13 궁금 2025/11/17 1,513
1773864 오세훈은 못쓰겠네요. 광화문광장에 무슨 짓이래요. 19 왜저러나 2025/11/17 2,514
1773863 성당 다니는 시조카에게 마리아 믿는 성당 다니지 말라는 큰엄마는.. 28 .... 2025/11/17 3,328
1773862 진짜 말많은 사람을 겪어보니 10 새콤달콤 2025/11/17 2,146
1773861 순천 숙박, 볼거리, 맛집 문의 입니다. 2 보온 2025/11/17 252
1773860 방배동 아파트 추천( 서울고 상문고 주변) 5 오히히히 2025/11/17 838
1773859 남자중학생들 패딩 20 중학생들 2025/11/17 1,532
1773858 유플러스에서 저도 모르는 유료부가서비스가 가입되어 있다는데 5 ㅇㅇ 2025/11/17 506
1773857 냉장고 소음이 심한데 정상제품들 이렇진 않죠? 4 .. 2025/11/17 408
1773856 외투 뭐 입으셨나요 7 2025/11/17 1,676
1773855 큰 덩어리로 대장동 사건 1심 검찰의 항소 포기 7 .. 2025/11/17 255
1773854 금요일에 대장내시경인데 오늘 마라탕 먹어도 될까요 3 고민 2025/11/17 492
1773853 대학 (사회복지학과) 좀 봐 주세요~ 5 ... 2025/11/17 777
1773852 통찜용 오징어 해동해서 찌나요? 3 ..! 2025/11/17 321
1773851 날밤을 까서 냉동실에 두었는데 3 2025/11/17 871
1773850 전장연 때문에. kTX 타고 올라와 서울대병원.. 23 2025/11/17 2,959
1773849 50대초 여성 사무직 취업이 가능할까요? (지방광역시) 10 현실 2025/11/17 1,792
1773848 중2 남아 잠 잘때 코피가 나요 13 코피등 2025/11/17 760
1773847 내란재판부는 왜 안만들고 있죠? 7 아직도 2025/11/17 479
1773846 주말근무/평일 휴무/이거 시급 자체가 다르지 않나요? 9 ... 2025/11/17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