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논술은 어떻게 평가를 할까요

조회수 : 1,561
작성일 : 2025-11-16 01:26:13

수백대1인 과는 3000명넘게 지원한 학교도 있는데

 

그걸 다 어떻게 보고 고를 까요?

조교가 거르고 최종적인거 몇개만 교수가 보나요?

인문 논술

IP : 124.49.xxx.188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1.16 1:40 AM (114.206.xxx.18)

    수학은 풀이과정
    인문은 키워드를 본다는 말이
    있어요 근데 참.. 논술이라는게 그래요

  • 2. ..
    '25.11.16 2:25 AM (175.119.xxx.68)

    악필 거를까요
    알아보기 힘든 글씨 등이요

  • 3.
    '25.11.16 4:29 AM (218.150.xxx.232)

    키워드채점이요

  • 4. ㅁㅁ
    '25.11.16 7:30 AM (211.36.xxx.51)

    일단 최저부터 거르면 확 줄지않을까요

  • 5. 연대 논술 합격맘
    '25.11.16 7:55 AM (61.72.xxx.209)

    연대의 경우 지문이 5개 나왔었어요..
    국어2, 영어1, 수리1 문항.
    먼저 수학 오답자 3분2 이상 걸러낸 후에 키워드로 추리고,
    거기서부터 정밀 채점.

    아무리 논술을 기가맥히게 써도 수학 오답이면 그냥 걸러진다네요.

  • 6. .....
    '25.11.16 8:28 AM (175.193.xxx.138)

    모르는 사람들은 논술 로또라고 하지만,
    논술 준비하는 사람들은 정답이 있고 공부해야한다고 하네요.
    울 아들은 수리논술 학원 1달 다니다 거부, 못 하겠다고 했어요.
    대학 입시 뭐하나 쉬운거 없지만, 논술...어려워요.

  • 7. .....
    '25.11.16 9:55 AM (112.186.xxx.241)

    오죽하면 답안지 던져서 멀리가는 답지 부터 추린다는 말이 나올까요
    입시때마다 논술전형비로 학교 건물 하나씩 세운다잖아요
    키워드나 대충 뭐 보는 나름의 벙법이 있겠지만 문과논술은
    특히 운이 많이 적용한다고 생각해요

  • 8. .....
    '25.11.16 9:56 AM (112.186.xxx.241)

    적용 -----작용 오타

  • 9. 수리논술
    '25.11.16 10:19 AM (211.220.xxx.34)

    악필인데 합격했어요
    같은 학교 두번 쳤는데 둘다 잘 봤어요
    현역땐 풀이과정 부분점수에서 깍인거 같았어요. 예비번호보니…
    재수때는 풀이과정 신경 더 썼어요

  • 10. 합격자맘
    '25.11.16 10:34 AM (61.72.xxx.209)

    우리 아이는 인문 논술 연대 고대 모두 합격했어요.

    답안지 던질 때.두 학교 다 우리 아이 답지가 유독 멀리 떨어진 걸까요? ㅎㅎ

    참고로 수능 언외수 111이었어요.

  • 11. ...
    '25.11.16 10:47 AM (221.149.xxx.56)

    논술은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냅니다
    인문 논술을 썰푸는 거나 운으로 되는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건 공부 이전에 입시를 전혀 모르는 사람 생각이에요
    입시는 공정성 시비가 생기면 감사에서나 법적으로 큰일이 날 수 있어서 아무렇게나 못 합니다
    각 대학 사이트마다 논술 기출문제와 평가 기준 공개돼있어요
    논술 준비하려면 이거부터 모아서 분석하세요
    요구하는 답이 있는 거니까 그게 없으면 탈락 여부 판단하는 게 어렵지 않죠. 답안지 멀리 던지는 거 아닙니다

  • 12. 저는 연고대 자랑
    '25.11.16 11:10 AM (124.49.xxx.188)

    듣고 싶은게 아니라
    그많은걸 어떻게 추려낼까 묻느거에요..

  • 13. . .
    '25.11.16 11:26 AM (180.83.xxx.253)

    일단 최저 못맞춘 애들 안왔고 또 수학 오답자 떨구고 나면 얼마 안남아요. 남편이 교순데 이 학교는 교수 다섯명인가가 채점하고 최고 최저 점수 준 교수건 제외하고 나머지 세명 평균이 수험생 점수래요. 결론은 다 읽는다고 글씨 반듯하면 더 집중해서 읽게 된다고 저희 아이들도 논술때 글씨 단정하게 쓰라고 하더라구요

  • 14. ㅇㅇ
    '25.11.16 11:38 AM (118.235.xxx.216)

    고대 논술이 수능 ‘언외수 ’로 치던 시절엔 없었을텐데요?

  • 15. 어휴
    '25.11.16 12:42 PM (49.164.xxx.30)

    위에 모지리 한명있네

  • 16. oo
    '25.11.16 1:35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 만으로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은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17. ㅇㅇ
    '25.11.16 1:50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 만으로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벆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은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18. ㅇㅇ
    '25.11.16 1:56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19. ㅇㅇ
    '25.11.16 2:14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0. ㅇㅇ
    '25.11.16 2:16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1. ㅇㅇ
    '25.11.16 2:23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2. ㅇㅇ
    '25.11.16 2:25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3. ㅇㅇ
    '25.11.16 2:30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4. ㅇㅇ
    '25.11.16 2:34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5. oo
    '25.11.16 3:32 PM (117.111.xxx.135)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당시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681 남편 대학시절이 저랑 너무 차이가 나서 한번씩 부아가 21 이러면안되는.. 15:59:12 2,071
1773680 펌) 담임을 하며 내 아픈손가락이던 아이 5 T 15:58:53 1,101
1773679 중학생이 교사에게 흉기협박, 욕설 후 되려 쌍방 고소… 2 티니 15:56:39 603
1773678 adhd 문의 5 ㅇㅇ 15:48:23 360
1773677 타코에먹는 사워크림 냉동해도될까요? 2 dddc 15:46:04 144
1773676 피부 화장 어떤걸로 하세요? -- 15:42:12 199
1773675 대성 아트론같은 분쇄기에 물 넣고 갈면 5 ... 15:37:48 280
1773674 월배당 etf 추천해주셔요 4 퇴직후 15:37:23 802
1773673 알고리즘이 다 친구없다는 영상 ㅡㅡ 2 A 15:36:43 751
1773672 인하대 소비자학과, 국민대 동아시아 국제학부 중에 어디가 나을까.. 6 대학 학과 15:34:55 600
1773671 아파트값이 올라도 다들 행복하지 않은 듯 18 늘보 15:34:34 1,588
1773670 상생 페이백 10만원 들어왔어요 7 ... 15:33:07 1,497
1773669 소방공무원과 코레일중 고민.. 3 ㅇㅇ 15:29:19 716
1773668 ‘항소 포기’ 반발 집단행동 검사장 전원 ‘평검사’로 전보 검토.. 16 ... 15:24:31 1,066
1773667 조국혁신당, 김선민, 지방국립대학병원 복지부이관, 더이상 미룰 .. 3 ../.. 15:22:16 393
1773666 Sk하이닉스에 물렸어요 22 ㅇㅇ 15:17:18 3,322
1773665 구세군택배. 뭐지? 15:16:32 172
1773664 이사하면서 밀폐용기세트 새로 살거예요 요즘 뭐가 좋나요? 3 ... 15:12:37 802
1773663 "쇼닥터 여에스더의 몰락 14 .. 15:05:41 6,270
1773662 친정엄마 돈에는 인색한데 푸성귀는 넉넉한 인심 4 ... 15:02:20 1,580
1773661 고지혈로 스타틴 처방 받았는데 8 약이뭐이래 14:57:33 1,640
1773660 주제파악하고 사는 사람이 드문거 같아요 특히 여자들 14 14:55:34 1,453
1773659 일본 중국 지금 둘이 난리인 시점..윤석열 아닌게 천만다행 9 그냥 14:55:27 1,129
1773658 성균관대논술왔는데 사람진짜많아요 7 논술 14:52:54 1,717
1773657 지금 러닝 나가도 될까요? 3 레베카 14:51:29 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