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대1인 과는 3000명넘게 지원한 학교도 있는데
그걸 다 어떻게 보고 고를 까요?
조교가 거르고 최종적인거 몇개만 교수가 보나요?
인문 논술
수백대1인 과는 3000명넘게 지원한 학교도 있는데
그걸 다 어떻게 보고 고를 까요?
조교가 거르고 최종적인거 몇개만 교수가 보나요?
인문 논술
수학은 풀이과정
인문은 키워드를 본다는 말이
있어요 근데 참.. 논술이라는게 그래요
악필 거를까요
알아보기 힘든 글씨 등이요
키워드채점이요
일단 최저부터 거르면 확 줄지않을까요
연대의 경우 지문이 5개 나왔었어요..
국어2, 영어1, 수리1 문항.
먼저 수학 오답자 3분2 이상 걸러낸 후에 키워드로 추리고,
거기서부터 정밀 채점.
아무리 논술을 기가맥히게 써도 수학 오답이면 그냥 걸러진다네요.
모르는 사람들은 논술 로또라고 하지만,
논술 준비하는 사람들은 정답이 있고 공부해야한다고 하네요.
울 아들은 수리논술 학원 1달 다니다 거부, 못 하겠다고 했어요.
대학 입시 뭐하나 쉬운거 없지만, 논술...어려워요.
오죽하면 답안지 던져서 멀리가는 답지 부터 추린다는 말이 나올까요
입시때마다 논술전형비로 학교 건물 하나씩 세운다잖아요
키워드나 대충 뭐 보는 나름의 벙법이 있겠지만 문과논술은
특히 운이 많이 적용한다고 생각해요
적용 -----작용 오타
악필인데 합격했어요
같은 학교 두번 쳤는데 둘다 잘 봤어요
현역땐 풀이과정 부분점수에서 깍인거 같았어요. 예비번호보니…
재수때는 풀이과정 신경 더 썼어요
우리 아이는 인문 논술 연대 고대 모두 합격했어요.
답안지 던질 때.두 학교 다 우리 아이 답지가 유독 멀리 떨어진 걸까요? ㅎㅎ
참고로 수능 언외수 111이었어요.
논술은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냅니다
인문 논술을 썰푸는 거나 운으로 되는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건 공부 이전에 입시를 전혀 모르는 사람 생각이에요
입시는 공정성 시비가 생기면 감사에서나 법적으로 큰일이 날 수 있어서 아무렇게나 못 합니다
각 대학 사이트마다 논술 기출문제와 평가 기준 공개돼있어요
논술 준비하려면 이거부터 모아서 분석하세요
요구하는 답이 있는 거니까 그게 없으면 탈락 여부 판단하는 게 어렵지 않죠. 답안지 멀리 던지는 거 아닙니다
듣고 싶은게 아니라
그많은걸 어떻게 추려낼까 묻느거에요..
일단 최저 못맞춘 애들 안왔고 또 수학 오답자 떨구고 나면 얼마 안남아요. 남편이 교순데 이 학교는 교수 다섯명인가가 채점하고 최고 최저 점수 준 교수건 제외하고 나머지 세명 평균이 수험생 점수래요. 결론은 다 읽는다고 글씨 반듯하면 더 집중해서 읽게 된다고 저희 아이들도 논술때 글씨 단정하게 쓰라고 하더라구요
고대 논술이 수능 ‘언외수 ’로 치던 시절엔 없었을텐데요?
위에 모지리 한명있네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 만으로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은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 만으로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벆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은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당시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당시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출제자는 명백한 출제 기준과 출제 의도가 있고,
채점자는 채점 기준표를 숙지한 다음에 채점해요.
대충 감으로 출제하고 채점하는 게 아닙니다.
문장빨 뛰어나서 그럴듯하게 써도 출제 의도를 빗나간 답은
좋은 답안이 될 수가 없어요.
학생 입장에서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학과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당시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함정 피하고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출제자는 명백한 출제 기준과 출제 의도가 있고,
채점자는 채점 기준표를 숙지한 다음에 채점해요.
대충 감으로 출제하고 채점하는 게 아닙니다.
문장빨 뛰어나서 그럴듯하게 써도 출제 의도를 빗나간 답은
좋은 점수 못 줘요.
학생의 진로와 인생이 좌지우지 될 수도 있는 건데
대충 채점하지 않아요.
학생 입장에서 합격하려면(채점자 입장에서는 채점 기준)
문항별로 요구하는 답을 정확히 제시해야 돼요.
그런데 이게 수학 답안지 같지가 않아서
전체 답안이 논리적으로 유기성을 갖춰야 해요.
큰틀에서 설명하자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학과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창의적인 것도 좋은데,
그렇다 하더라도 출제 이유이기도 한
핵심 키워드는 놓치지 않아야 하고
특정 문항이 필히 요구하는 바는 이탈하지 않아야 하고
창의성이 먹히는 구간에서는
본인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구체적인 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는 논리를 펼쳐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요.
단시간에 어려운 지문들을 소화하고 써내려가야 하는 만큼
큰 비중을 두지는 않지만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약한 것도 감점 요인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이 말은 대학이 논술 전형을 시행하는 이유가
전형료로 건물 짓기 위함이 아니라는 뜻인 거죠.
당시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함정 피하고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류,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출제자는 명백한 출제 기준과 출제 의도가 있고,
채점자는 채점 기준표를 숙지한 다음에 채점해요.
대충 감으로 출제하고 채점하는 게 아닙니다.
문장빨 뛰어나서 그럴듯하게 써도 출제 의도를 빗나간 답은
좋은 점수 못 줘요.
학생의 진로와 인생이 좌지우지 될 수도 있는 건데
대충 채점하지 않아요.
학생 입장에서 합격하려면(채점자 입장에서는 채점 기준)
문항별로 요구하는 답을 정확히 제시해야 돼요.
그런데 이게 수학 답안지 같지가 않아서
전체 답안이 논리적으로 유기성을 갖춰야 해요.
큰틀에서 설명하자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학과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창의적인 것도 좋은데,
그렇다 하더라도 출제 이유이기도 한
핵심 키워드는 놓치지 않아야 하고
특정 문항이 필히 요구하는 바는 이탈하지 않아야 하고
창의성이 먹히는 구간에서는
본인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구체적인 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는 논리를 펼쳐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요.
단시간에 어려운 지문들을 소화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분량 만큼 써내려가야 하는 만큼
큰 비중을 두지는 않지만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약한 것도 감점 요인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실제로 문과 출신이 선호하는 직장 시험 과목에 논술 포함된 데 많아요. 대학이 전형료로 건물 짓기 위해 논술 전형을 실시하는 게 아니에요.
아이 입시 당시
논술 시험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함정 피하고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류,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출제자는 명백한 출제 기준과 출제 의도가 있고,
채점자는 채점 기준표를 숙지한 다음에 채점해요.
대충 감으로 출제하고 채점하는 게 아닙니다.
문장빨 뛰어나서 그럴듯하게 써도 출제 의도를 빗나간 답은
좋은 점수 못 줘요.
학생의 진로와 인생이 좌지우지 될 수도 있는 건데
대충 채점하지 않아요.
학생 입장에서 합격하려면(채점자 입장에서는 채점 기준)
문항별로 요구하는 답을 정확히 제시해야 돼요.
그런데 이게 수학 답안지 같지가 않아서
전체 답안이 논리적으로 유기성을 갖춰야 해요.
큰틀에서 설명하자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학과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창의적인 것도 좋은데,
그렇다 하더라도 출제 이유이기도 한
핵심 키워드는 놓치지 않아야 하고
특정 문항이 필히 요구하는 바는 이탈하지 않아야 하고
창의성이 먹히는 구간에서는
본인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구체적인 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는 논리를 펼쳐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요.
단시간에 어려운 지문들을 소화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분량 만큼 써내려가야 하는 만큼
큰 비중을 두지는 않지만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약한 것도 감점 요인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실제로 문과 출신이 선호하는 직장 시험 과목에 논술 포함된 데 많아요. 그런 직장에서 살아남으려면 고난이도 고퀄리티 보고서 척척 써낼 수 있어야 하구요.
대학이 전형료로 건물 짓기 위해 논술 전형을 실시하는 게 아니에요.
아이 입시 당시
논술 시험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함정 피하고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류,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출제자는 명백한 출제 기준과 출제 의도가 있고,
채점자는 채점 기준표를 숙지한 다음에 채점해요.
대충 감으로 출제하고 채점하는 게 아닙니다.
문장빨 뛰어나서 그럴듯하게 써도 출제 의도를 빗나간 답은
좋은 점수 못 줘요.
학생의 진로와 인생이 좌지우지 될 수도 있는 건데
대충 채점하지 않아요.
학생 입장에서 합격하려면(채점자 입장에서는 채점 기준)
문항별로 요구하는 답을 정확히 제시해야 돼요.
그런데 이게 수학 답안지 같지가 않아서
전체 답안이 논리적으로 유기성을 갖춰야 해요.
큰틀에서 설명하자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학과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창의적인 것도 좋은데,
그렇다 하더라도 출제 이유이기도 한
핵심 키워드는 놓치지 않아야 하고
특정 문항이 필히 요구하는 바는 이탈하지 않아야 하고
창의성이 먹히는 구간에서는
본인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구체적인 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는 논리를 펼쳐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요.
단시간에 어려운 지문들을 소화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분량 만큼 써내려가야 하는 만큼
큰 비중을 두지는 않지만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약한 것도 감점 요인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 1773547 | 햅쌀 사 드시나요?? 7 | mmm | 2025/11/16 | 1,133 |
| 1773546 | 지방에서 올라와요. 4 | 경복궁 | 2025/11/16 | 1,011 |
| 1773545 | 국내 전기버스 업체가 다 사라졌어요 26 | ㅇㅇ | 2025/11/16 | 5,295 |
| 1773544 | 딸아이의 연애 스타일을 이제야 이해했어요 6 | ㅇㅇ | 2025/11/16 | 2,659 |
| 1773543 | 영국 사람들의 티타임 문화를 아는 분 계신가요 14 | ㅇㅇ | 2025/11/16 | 2,644 |
| 1773542 | 갑자기 운동하면 몸이 붓는거 맞나봐요 3 | ㅇ | 2025/11/16 | 1,104 |
| 1773541 | 노견이 새벽부터 못일어나네요 2 | 결국 | 2025/11/16 | 1,317 |
| 1773540 | 대기업 김부장 배경 회사? 7 | ㅇㅇ | 2025/11/16 | 2,489 |
| 1773539 | 이제 막바지 단풍일 것 같은데 4 | 돈의노예 | 2025/11/16 | 1,182 |
| 1773538 | 40대인데 제2인생으로 도슨트나 숲해설사 준비 어때요? 29 | 음 | 2025/11/16 | 3,654 |
| 1773537 | 부모랑 자식간 사이는 안좋고 8 | ㅇ | 2025/11/16 | 2,216 |
| 1773536 | 예금 금리 계속 오를까요? 6 | ... | 2025/11/16 | 2,714 |
| 1773535 | 할머니에 대해 생각할 수록 짜증나요 10 | ..... | 2025/11/16 | 2,474 |
| 1773534 | 낮에 사람도 없는데 개 키우는거.. 10 | ........ | 2025/11/16 | 1,564 |
| 1773533 | 포메들 말이에요 2 | .. | 2025/11/16 | 820 |
| 1773532 | 큰언니가 50대나이에 대기업 차장인데 32 | ........ | 2025/11/16 | 14,190 |
| 1773531 | 2스타 장군 “이런식이면 진급 안하겠다” 18 | 와 미친 | 2025/11/16 | 3,004 |
| 1773530 | 민주 "한강버스 운항 전면 중단하라" | ... | 2025/11/16 | 407 |
| 1773529 | 집값은 금리 올리면 37 | .. | 2025/11/16 | 2,962 |
| 1773528 | 위층 부부싸움하나봐요 7 | Sksksk.. | 2025/11/16 | 3,870 |
| 1773527 | 아들이랑 같이살면서 상처받네요 27 | ... | 2025/11/16 | 6,565 |
| 1773526 | 이런 남의편 있나요 5 | 방관자 | 2025/11/16 | 1,295 |
| 1773525 | “뽀뽀하자” 70대女에게 들이댄 80대男…거부하자 명치 ‘퍽’ 4 | 음.. | 2025/11/16 | 3,563 |
| 1773524 | 트라피스트 수녀원 딸기잼을 샀네요 4 | ㅇㅇ | 2025/11/16 | 1,982 |
| 1773523 | 빌라를 고쳐서 팔려고 하는데요 5 | ㅇㅇ | 2025/11/16 | 1,5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