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승: 이게 요즘 꼭 읽어야 되는 필독서랄까요?.
<차별하지 않는다는 착각>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차별과 혐오의 시대에 안내서 같아요. 되게 쉽게 쓰였고요.
김어준: 노차이니즈존, 아 그 혐중.
정: 그래서 그런 카페가 나와 가지고 이제 굉장히 논란이 됐었고 중국에서까지도 화제가 될 정도로 논란이 됐었고.
김: 화제와 논란은 적당하지 않고요. 비난을 받고 있다고 해주세요.
정: 비난을 받고 그걸 철회하긴 했어요.
근데 이 과정에서 이런 것들이 왜 등장하지?
그리고 사장님이 이거 영업의 자유야라고 했을 때 이거 뭐라고 얘기해 줘야 되지?
그리고 이건 역차별이라고 할 때 뭐라고 우리가 설명을 해 줘야 될까?
김: 우리가 사실은 거의 단일민족처럼 여겨졌고,
다인종 사회를 겪어 보지 못하다 보니까 뭐가 차별인지도 잘 몰라요.
실제로 배운 적이 없어요 제대로.
그래서 그게 아무것도 아닌 줄 알아요. 엄청난 일이거든요.
노 차이니스존이라니.
정: 상상을 못했던 일이 갑자기 일상으로 훅 들어온 느낌.
그러니까 갑자기 요즘 그런 거 이상해진 거예요.
김: 미국의 마가(MAGA), 그거 수출해 가지고 우리나라 극우 개신교가 지금 퍼트리고 있는 거거든요.
정: 그래서 이게 종교의 자유라고 할 때 우리가 뭐라고 얘기를 해야 될지.
이게 괜찮아, 사적 영역에서 있을 수 있지라고 할 때. 뭐라고 해야 될지.
그런 걸 아주 가이드처럼, 이렇게 이야기해보면 되는구나, 라는 책이구요.
김: 예수님이 어디서 중국인 차별, 혐오하라 그랬어.
정: 처음에는 편견을 가질 수 있고... 혐오의 피라미드라는 게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편견은 피라미드 누구나 원래는 편견 가질 수 있죠.
그다음에 갑자기 그게 혐오 표현으로 넘어가고.
그다음에 차별 그다음에 이제 교육과, 고용에 있어서 차별로 가고.
그다음이 혐오 범죄로 가고 그다음이 제노사이드.
이게 건너뛸 수도 있고 순식간에 훅 갈 수도 있고.
그러니까 우리가 편견과 혐오 표현이 있을 때 이거를 이정도면 괜찮지 이거 표현의 자유 아니에요.
김: 그 히틀러가 그렇게죠 예.
정: 그 다음에 이 책을 쓰신 홍성수 교수님을 북토크하면서 제가 너무 재밌었던 표현이 뭐냐면.
혐오는 굉장히 쉬워요. 3초컷이야.
3초만에 노 차이니즈존. 너희 집에 가라.
이런 얘기를 할 수가 있는데.
이게 왜 안 되는지 설명하는 건 5분 이상 걸려요. 복잡해요.
이거를 그러니까 3초컷 현수막 하나하면 되는 거,
한 마디 한줄 그게 왜 틀렸는지를 얘기를 하고.
우리가 밑빠진 독에 물 붙는 마음으로 계속 물을 부어야만 된다는 거예요.
….
김: 그리고 법으로 만들어야 돼요.
정: 차별금지법...
김: 그 정도로 안 되고. 예를 들어 축구 선수가 조금의 냄새가 나는 발언이라도 하잖아요. 경기에 못 나와요. 아예.
정: 그건 각 영역에서 룰과 규칙이 있어야 되는 문제고, 그 기준이 되는게 차별 금지법이더라고요.
김: 그렇죠. 이거 그냥 두면은 말씀하신 대로 제노사이드로 가는 거거든요.
독일은 무식한 사회라서 거기로 갔나요?
철학자 제일 많이 배출한 사회에요 독일이. 그쵸? 순식간에 가버릴 수 있거든요.
여기에 맞는 지도자가 나오면 거기로 가버리는 거예요. 순식간에.
그러니까 그러지 못하도록 빨리 뿌리부터 뽑아야 되는 문제에요.
정: 예, 이 문제는 그래서 우리가 가볍게 볼 문제 절대 아니고 우리나라가 갑자기 막 바뀌고 있는데 제동을 걸어야 된다. 이런 얘기를 하는 책이고.
이거 굉장히 쉬워요. 밑빠진 독에 물 붙는 마음으로 계속 얘기를 해야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