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엔 병원은 높아도 집에선 120,130이랬는데
갱년기후 이번달 보니까
138~90 ~145~90 집에서도 이러네요.
다음달 국가 건강검진 잡혀 있어서
이거저거 하려 했는데 혈압약 당장 안먹음 안되나요.
작년엔 병원은 높아도 집에선 120,130이랬는데
갱년기후 이번달 보니까
138~90 ~145~90 집에서도 이러네요.
다음달 국가 건강검진 잡혀 있어서
이거저거 하려 했는데 혈압약 당장 안먹음 안되나요.
집에서 그정도면 병원가세요. 동네 내과가서 진료받으세요. 작년에도 고혈압 전단계였네요
그냥 원하는 대로 하세요
며칠전에도 의사항 상의하라는 댓글 많이 받으셨는데 아직 안가신 걸보니 안먹어도 된다는 답을 원하는 듯
지금 상태로 건강검진 가시면 수면내시경은 불가능 할 것 같아요. 제가 몇 년 동안 약 안먹고 버티고 건강검진 가서 수동으로 혈압 4~5회씩 해서 혈압이 좀 잡히면 수면내시경하고 했는데 약 먹게 된 계기가 검진 가서 아무리 혈압을 여러 번 재도 언전권이 안나와 수면내시경 못하고 그 후부터 약 먹게 됐어요. 혈압이 높으면 당뇨, 고지혈증도 같이 오는 경우가 많으니 안내키시면 건강검진 결과 보고 하세요.
저탄고지해서 살을 빼시면 혈압도 낮아질수 있는데 철저하게 하실 자신 있으시면 해보세요.
담달 검진때 가려고 했던가라서요.
피검사까지 해서 이거저거 다 보려요.
살은 안빠지네요.
내시경이 혈압 몇인데 안되신건가요
약 먹기 전에 운동과 식이요법부터 하세요. 그래도 혈압이 안잡히는 경우는 극히 드무니까요.
검진 때 혈압 140 이상 나오면 수면내시경 어렵다고 해요. 수면내시경 때 먹는 약이 혈압을 불안정하게 해서 위험하대요.
혈압 135만 넘어도 수면내시경 못하죠. 계속 거절당하고 다른 검사 먼저 하고 오라고 하고.. 왜냐면 혈압때문에 큰일 날수 있어요. 집에서 그정도 수치면 상당히 높아서 병원에서 긴장하고 재면 160 180도 나올수 있어요. 제가 집에서 재며ㄴ 135 140 정도 나왔는데 병원서 재니 180도 나와서 당장 약을 먹었어요. 약먹으면서 살빼던지 해야지,, 혈압은 약 안먹으면 예측불가하다고 의사가 경고하더라구요.
전엔 140-80이 기준치였는데 120-80으로 바뀌었단말도 있어요.
혈관건강이 물론 중요하지만 의사들의 약처방 이유도 한몫했다고 하더군요.
140 1차고혈압으로 정해졌어요
약 드시길 권해요 저희 남편도 145인데 1차고혈압이라고 내과약 먹네요
괜찮을 것 같은뎅
거기서 혈압 안잡히고 더 올라가면 약드시면 되지 않을까요?
저 같으면 그렇게 할 것 같은데
집에서 140 이면 높은건데...
약드세요 기준낮아졋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