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능 낮을수록 맥락보다 단어에 더 의존

음.. 조회수 : 3,016
작성일 : 2025-11-12 11:32:30

지능 낮을수록 

맥락보다 단어에 더 의존한다.

 

인지과학 연구에서 지능의 핵심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된 작업기억 용량(WMC)이 부족한 사람들은

글을 읽을 때 전체 문맥보다 특정 단어에 집착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심리학 연구진은 대학생 수백 명에게 긴 문장을 

읽히고 이해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WMC가 낮은 집단은 글의 흐름을 통합하지

못하고 단어에 매달렸으며, 문랙이 불분명할수록 차이가 두드러졌다.

 

반대로 WMC가 높은 집단은 긴 글에서도 전체 의미를

추적하며 맥락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집은 WMC가 단순한 독해력뿐 아니라 문제해결. 추론 같은

지능의 핵심 기능과도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언어 이해는 단어 해석을 넘어 맥락을

통합하는 능력"이라며, WMC가 이를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WMC를 늘리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 운동,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

또 메모와 시각화 도구를 활용하면 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일분 전문가들은 "뇌도 근육처럼 훈련과 관리로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연구는 엄밀히 말하면 문랙 이해에 관한 것이지만,

문맥을 파악하는 능력은 결국 일상 대화와 관계에서의 

맥락 파악 능력과도 연결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결국, '지능이 낮으면 단어에 더 의존한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다만 생활 습관과 훈련을 통해 인지 자원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생각해 보면 문장의 내용과 달리

단어에 꽂혀서 

그 단어만 계속 물고 늘어지는 사람들이나

말의 꼬투리 집고 물고 늘어지는 사람들이나

아마도 

문장의 문맥을 이해하기 어려워서

단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가 싶어요.

 

 

 

 

 

IP : 1.230.xxx.192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ㅌㅂㅇ
    '25.11.12 11:34 AM (182.215.xxx.32)

    완전 맞아요 그런데 이것은 그냥 지능 말고 다른 것들도 연관이 되어 있는 것 같더라고요 정서적인 문제랄까 자기가 공격받는다고 쉽게 생각하는 사람들에 대한 문제

  • 2. ....
    '25.11.12 11:36 AM (211.218.xxx.194)

    지능이 높으면 맥락도 놓치지 않고 단어도 마찬가지로 날카롭고 예민하게 골라서 쓰죠.
    그걸 빨리빨리 하니까 일반인들은 대충하는것 처럼 보일지는 모르지만.

  • 3. 지능과
    '25.11.12 11:37 AM (58.29.xxx.96)

    감정의 결합

  • 4. 111
    '25.11.12 11:38 AM (119.70.xxx.175)

    행간의 뜻을 모른다는 거죠.
    걍 눈에 보이는 것만 읽는..

  • 5. ......
    '25.11.12 11:41 AM (112.164.xxx.253)

    이런 글 너무 좋아요
    원글님은 독서를 많이 하시는분인가요?
    이런글 종종 부탁드려요

  • 6. ......
    '25.11.12 11:42 AM (112.164.xxx.253)

    단어 하나에 필이 꽃혀 난리부르스를 치는
    저에게 해당하는 말인거같아요
    어휴 멍청한 습관
    고쳐야야지 하면서도 안되는걸
    보면
    전 아마도 저지능일 듯 싶습니다

  • 7. ..
    '25.11.12 11:51 AM (165.246.xxx.100)

    로스쿨지원자들 치르는 리트시험이 이것과 긴밀하게 관계있는 것 같더라구요. 시간내 읽어야하는 지문량이 많은가봐요. 이 시험이 단기간만 준비해서 잘 치르기는 어렵지만, 그렇다고 오래 준비한 만큼 잘 치르는 것도 아니더군요.

  • 8. ..
    '25.11.12 11:57 AM (211.36.xxx.182)

    완전 공감합니다
    지능 낮으니 맥락을 이해 못하고
    단어의 꼬투리만 걸고 넘어지고
    피해의식에 정말 피곤하거든요

  • 9. 당연하죠
    '25.11.12 12:03 PM (223.38.xxx.17)

    숲을 안보고 나무만 보고
    달을 보라니까 가리키는 손을 보죠

  • 10. 오호
    '25.11.12 12:05 PM (116.121.xxx.181)

    지능 낮을수록 단어에 의존한다
    맞는 말.

  • 11. ....
    '25.11.12 12:07 PM (223.38.xxx.238)

    맞는 말.
    지능이 낮으니 단어에 꽂혀서 물고 늘어지고,
    선동에도 잘 휘둘리고.

  • 12.
    '25.11.12 12:11 PM (210.125.xxx.2)

    여기도 그런분들 많지 않나요? 원글 맥락을 이해못하고 단어하나에 꽃혀서 난리치는?

  • 13. 그거
    '25.11.12 12:23 PM (163.152.xxx.150)

    지금 잘 이용하고 있네요. 몇몇

  • 14. 맞말이네요.
    '25.11.12 1:01 PM (1.225.xxx.101)

    저를 두고 하는 소리 같군요.ㅜㅜ
    원글님 이 글 원문 어디서 볼 수 있나요?
    혹시 링크걸어주실 수 있을까요?

  • 15. 0011
    '25.11.12 1:07 PM (1.239.xxx.17)

    내 가까운 누구랑 비슷하네요... 그래서 대화가 안 되던데..

  • 16.
    '25.11.12 1:13 PM (223.39.xxx.224)

    자주 봅니다.

  • 17. 효숗
    '25.11.12 1:22 PM (125.176.xxx.131) - 삭제된댓글

    남편이 저랑 대화할 때 항상 대화 맥락이 아닌 특정 단어의 꼽혀서 말 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데 제가 항상 이해력이 왜 그거밖에 안 되냐고 따지는데 지능이 낮아서 군요. 남편이 학벌은 좋아서 지능이 높은 줄 알았는데 대화할 때 보면 진짜 속 터져요.

  • 18. 효숗
    '25.11.12 1:23 PM (125.176.xxx.131)

    남편이 저랑 대화할 때 항상 대화 맥락이 아닌 특정 단어의 꽂혀서 말 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데 제가 항상 당신은 이해력이 왜 그거밖에 안 되냐고 따지는데 지능이 낮아서 군요. 남편이 학벌은 좋아서 지능이 높은 줄 알았는데 대화할 때 보면 진짜 속 터져요.

  • 19. ...
    '25.11.12 1:23 PM (220.78.xxx.153)

    여기도 그런 분 많죠..
    맥락보다는 단어나 맞춤법 지적하는 분들..

  • 20. 이런
    '25.11.12 1:25 PM (218.148.xxx.16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21. 이게
    '25.11.12 2:12 PM (180.70.xxx.42)

    단순 그냥 IQ가 아니라 사회적 지능 뭐 그런 것 같아요.
    제 지인 중에 사법고시 한 번에 다 패스하고 명문대 나온 사람 있는데, 정말 맥락을 읽지 않고 단어 하나에 꽂혀서 얼마나 오해도 잘하고 사람이 예민한지.. 머리 나쁜 사람은 절대 아니거든요.

  • 22. ...
    '25.11.12 2:21 PM (61.32.xxx.245)

    이게 뭔 연구가 필요해요
    다 그렇게 알고 있는거 아니예요? ㅎㅎㅎㅎㅎ
    82만 봐도...

  • 23. ㅇㅇㅇ
    '25.11.12 2:41 PM (121.190.xxx.58)

    어 이 이야기 저 이야기 같은데요.

  • 24. 맞다맞어
    '25.11.12 4:26 PM (219.255.xxx.39)

    진짜로 뭔말인지 해석은 못하고
    아는 단어 하나에 꽂혀 난리난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694 쿠팡. 지금 결제 3 ㄱㅎㄴㄷ 00:11:38 92
1772693 민희진 내용에 카카오엔터,돌고래 내용 궁금 00:07:01 231
1772692 나솔이 아빠는? 5 엉? 00:05:07 590
1772691 서울 집값 관련해서 홧병날 것 같아요 6 .. 00:02:24 504
1772690 옥순이 이쁜걸 모르겠어요 4 솔직히 00:01:05 568
1772689 오늘 나솔 28기 라방 하는건가요? 2 ? 2025/11/12 512
1772688 옥순은 볼수록 별로네요 iasdfz.. 2025/11/12 510
1772687 검찰이 항소를 포기해 살려준 국민의힘 정치인들 .. 2025/11/12 187
1772686 국민연금 추납하지 말고 일찍 수령 예상 2025/11/12 503
1772685 상철씨 그 강을 건너지마오.. 9 ㅇㅇ 2025/11/12 1,149
1772684 뉴진스는 학폭 가해자 같은 느낌이네요 1 얼척없는 애.. 2025/11/12 345
1772683 에리히 프롬 책 읽는데 3 asdgw 2025/11/12 350
1772682 의협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제도 개편 강행 시 검사.. 1 ... 2025/11/12 391
1772681 환율 무섭긴 하네요 8 런런 2025/11/12 890
1772680 웹툰 많이 보시나요? 1 .. 2025/11/12 145
1772679 끼리끼리는 과학이라는데요. 그렇다면 2 2025/11/12 493
1772678 수능 도시락 4 ㅡㅡ 2025/11/12 261
1772677 순자 진짜 모지라보여요. 17 나솔 2025/11/12 1,349
1772676 순자는 금쪽이인 듯 6 ... 2025/11/12 1,017
1772675 내일 수능 도시락에 반찬으로 낱개 김 .. 2025/11/12 204
1772674 30대 초반 직장인 남자 벨트로 어떤게 좋을까요~? 1 딸기줌마 2025/11/12 63
1772673 대학 결과 나올 때까지 미역국 안먹었던 이야기 8 입시 2025/11/12 446
1772672 수능날 맛있는거 줄거라고 새벽에 도시락 싸지 마세요 4 제발 2025/11/12 1,046
1772671 볼수록 28영수 8 456 2025/11/12 1,260
1772670 골다공증 검사 오류도 있을 수 있나요? .. 2025/11/12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