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정리된 내용들 쫙 훑어 보니
나라가 정상화 되고
비전이 보이니 너무 행복하네요.
함께 느끼자고 옮겨봐요.
[APEC결산]
'최대 관문' 통과한 李대통령…실용외교 심화 단계로
2025. 11. 2
대미 관세협상 타결에 '핵잠 승인'까지…
中·日과도 우호관계 정립
'경주선언' 도출로 리더십 증명…
美中 휴전에 '가교국가' 가능성 증명
관세 '디테일' 숙제…
주변 '돌발변수' 관리하며 북미대화 추동도 과제
흔들리는 다자질서 속 한국외교 리더십 발휘
미중 강경대치속 의장국 역할…
양측 동의하는 '경주선언' 합의 성공
.
트럼프 2기 첫 미중정상회담 부산에서 성사…
세계적 외교이벤트 무대로 주목
'2천억달러 분할투자'로 관세협상 극적 타결
'현금 5%' 첫 목표와 거리 있지만
연 200억달러 상한 관철…일본보다 '선방'
자동차 관세 인하·'대만 수준' 반도체 관세도 기대…
불확실성 상당 부분 걷어내
"주인공은 AI·반도체"…한국, 글로벌 협력의 장으로
.
주요국 정상회의 뒤
IT·AI CEO 서밋에 이목 집중
.
엔비디아 '14조 협력' 선언…
AI·반도체로 뭉친 한국과 세계
경제동맹 사라진 각자도생…韓경제 생존방정식 바뀐다
한미FTA·안미경중 공식 붕괴…
글로벌 무역체계 근본 재편
'서비스업 강화·수출 다각화' 숙제 재확인…
'AI 돌파구' 절실
핵잠수함·농축 및 재처리…숙원 푸는 첫발 뗐다
.
한미정상회담서 원자력추진 잠수함 연료
적극 제기해 트럼프 'OK' 얻어
.
농축·재처리 권한 확보도 美공감대 하에
논의 착수 전망…비확산 허들 극복
미중 정상, 확전자제 합의…내년 트럼프 방중까지 '숨고르기'
'APEC 계기' 입·출국길에 김해공항서 100분 회담…
'스몰딜' 후 '휴전'으로 상황관리
관세·희토류·대두 등서 양측 양보…
향후 근본적 합의 관련 낙관론은 크지 않아
K뷰티·푸드 열풍…세계를 사로잡았다
'K-컬처·한국의미' 각인…성과 이어간다, 이제 포스트 APEC
백악관 대변인·정상 배우자,
K화장품 쇼핑하고 체험
.
치킨에서 라면·떡볶이까지 K푸드로 입맛 저격
'지붕 없는 박물관' 경주,
문화자산 기반 감동 선물…
국제회의도시 역량 확인
"세일즈 대한민국 새로운 기회"…
세계 경주포럼·경북판 CEO 서밋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