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한지 30년 가까이 되는데
아욱국 한번도 안끓여봤어요.
직딩인데 먹고사는거는 대충하지는 않는데
(탄단지 채소 균형 등 생각)
맨날 내가 익숙한 음식만 해먹고 사는거 같아요.
친정엄마가 음식솜씨 있어서 나도 좀 닮았나 싶었는데(요리 잘 안하지만 하면 잘하는 ㅎㅎㅎ)
생각해보니 친정엄마가 잘 안해주신 재료들은 또 잘 안사용하게 되나봐요.
시금치국은 자주 끓여먹었어도 아욱국은 잘 안해먹는 등..
결혼한지 30년 가까이 되는데
아욱국 한번도 안끓여봤어요.
직딩인데 먹고사는거는 대충하지는 않는데
(탄단지 채소 균형 등 생각)
맨날 내가 익숙한 음식만 해먹고 사는거 같아요.
친정엄마가 음식솜씨 있어서 나도 좀 닮았나 싶었는데(요리 잘 안하지만 하면 잘하는 ㅎㅎㅎ)
생각해보니 친정엄마가 잘 안해주신 재료들은 또 잘 안사용하게 되나봐요.
시금치국은 자주 끓여먹었어도 아욱국은 잘 안해먹는 등..
시금치국이나 아욱국이나 근대국이나 뭐 다 그게 그거지요.
저 한 번 끓여 봤는데 실패했던 것 같아요 아욱은 팍팍 문질러야 된다던가 그래서 어렵게 느껴져서 잘 안 하게 되더라고요
고향이 어디냐에따라 다르더라구요
아욱 시금치 근대넣고 된장국 끓이는거모르는 사람 제법 있지싶은데요
저요..
미끄덩해서 전 별로던데..
저 아욱국 끓여본적 없어요
집안마다 먹는 게 다르면 그럴 수도
저흰 엄마가 안동인데 안끓여요
시어머니 광주인데 자주 끓여드시고
주말농장에 심어서 나눠주세요
저도 결혼하고 처음 끓여봤고
친정엔 여전히 전혀 안끓이실껄요?
그거는 어떻게 씻는다며? 저에게 물어보세요
토란국도 친정엔 전혀 안끓여서 결혼후 처음 먹어봤어요
두분다 음식은 아주 잘하세요
서울 사람인데 자주 먹어요
친정 엄마가 해주시기도 했고요
자주는 아니고 어쩌다 끓여요.
가을아욱국은 문닫고 먹는다. 라고 해서
가을이면 한번씩. 그렇게 맛있나 하면서 끓여 먹는데
그 정도는 아닌 것 같은데 그래도 가을이면 생각나요.
한 1년 사이에 왜 그리 아욱이 비싸졌는지는 의문.
저는 안동에서 태어나긴 했지만 서울에서 자랐어요.
하지만 할머니 부모님 모두 그쪽 식성이시니…
아욱국은 물론이고 토란국도 안 먹어봤어요.
저는 심지어 집에서 만두 만드는 걸 본 적도 없고, 만들어 본적도 없어요.
지역마다 집마다… 다른거죠. 뭐
아욱국 먹기만해요
적도 없어요. 먹었는데 구분 못했을 수도.
엄마가 요리의 다양성을 모르시는 분이셨나 싶어요. 매번 시래기국 정도만 먹었어요.
시어머니가 호박잎 된장국을 너무나 맛있게 끓여주셔서 놀랐어요. 시금치국도 상추된장국도 보리된장국도 처음 먹어봤죠. 시어머니는 아욱국은 안 끓이셨던 것 같네요. 근대는 뭔지도 모르고요.
저도해본적없고 남이해준것만 먹어뫗어요
손질할자신이없음
만52세, 울산 근처 시골이 고향
아욱국, 토란국 먹어 본 적 없어요.
아욱이랑 토란을 사 본 적도 없어요.
전 아욱자체를 40대이후 처음보고 처음 먹어봤어요
식감도 그렇고 맛도
특별히 사먹어야겠다는 생각이 안들던데요
누가 주면 버리지는 않고 먹는다 입니다 예) 부모님텃밭
만60살입니다
아욱을 사 본 적이 없습니다.^^;;;;;;;;
만 53세 경북 포항이고 수도권 사는데 아욱국 먹어본적도 없고 시금치국 안먹어요. 시금치는 나물로만.. 아 저 오이지결혼하고 처음봤어요. 시가는 여름내내 오이지국먹어요. 소금물에 오이시린내나서 전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집집마다 지역마다 다르죠.
아욱 어떻게 생겼는 지도 모름...
50넘었는데 해본적 없고
엄마표 아욱국 먹기만 잘해요ㅎㅎㅎ
저도 사본적도 없어요 ㅋ
아욱국 시금치국 직접 본적도 없어요 ㅎ 토란국도.
어렸을때 엄마랑 할머니가 해주신것 먹었는데요. 결혼하고 나서는 굳이 안해먹었어요. 텃밭하며 아욱이 잘 큰다길래 심어서 건새우 넣어서 아욱국 끓여먹었는데요. 아기들이 잘먹어서 그후 계속 해먹어요.
딱 1번 먹어봤어요. 40대 중반 식당에서.
40중반인데 끓일 수 있는 국을 꼽아보니 다섯손가락으로도 충분하네요. 아욱국 시금치국은 시도할 생각도 못해봤는데요.
아욱 딱 한번 사서 국 끓여봤어요
저는 시금치된장국을 좋아해서..
세상에 온갖 풀떼기란 풀떼기는 다 좋아하는 사람입니다만...
저두 아욱은 안 사봤어요...친정엄마는 아욱철에는 꼭 드셨는데, 저는 별로...
오~~~~
동지들이 이렇게 많다니....ㅎㅎㅎㅎ
회사 구내식당에 아욱국 나오면 먹어볼까 내 손으로 아욱을 사본적이 없어요 ^^;;;;;;
집마다 선호하는 된장국이 따로 있나봐요
저희집에서는 엄마가 아욱으로 죽까지 끓이셨거든요
맛있다고
근데 지인이 40대인데 아욱국을 한번도 안먹어봤다해서 놀랐어요 경북 사람인데 지역차이인가 싶어서
몇년전에 게시판에 질문했더니 그건 또 아니더라고요
그 지인에게 그럼 된장국 주재료가 뭐냐고 했더니
시래기래요 자랄때 시래기된장국만 먹었다면서
그집 어머니가 말렸다 오래두고 먹을수 있고 좋아하니
자주 끓이셨던걸로 결론
한번 끓여보세요 재료가 뭐가 들어갔냐에 따라 된장국
맛이 달라집니다.
아욱은 손질하고 처음은 미끄덩거리는데 끓이고 잠시
놔두면 깊은 맛이 우러나와요
아욱과 근대에 말린 보리새우 넣으면 잘 어울려요
된장국을 안좋아하는데 시금치보다는 아욱 된장국이 저는
더 맛있어서 1년에 한번은 사요 ㅎㅎ
아욱된장수제비 좋아하는데 시어머니랑 남편이 싫어해서 안끓이게 되더라구요. 근데 진짜 전 아욱과 호박잎 된장국은 참 좋아요. 근대는 좀 취향이 아니구요.
아욱이 몬지도 모르는1인 여기 있습니다. ㅋㅋ나물인가요
아욱국 거의안해먹어봤어요
가족들이 된장국을 싫어해요
된장국이 회사식당 주메뉴라고 질린대요
한번도 끓여 본 적이 없어요.
김치도~
말하고 보니 창피하네요. ㅠㅠ
아욱 이름만알고
먹어봤나싶고..
사본적없고.구분할줄모릅니다
전 어릴때 야채안좋아했어서
(지금은잘먹어요)
시금치도 안사봤어요
섬초나오는동네가 시댁이라
겨울에 널린 섬초만 먹습니다
밭에서 캔걸로만요ㅎ
아욱이 어찌 생겼는지도 모름
아욱이나 시금치나 근대나....진짜는 토란국이죠.
아욱,근대 한번도 사본적 없습니다.
둘의 차이점도 모릅니다;;;;;
저도 아욱 어떻게 생겼나 잘 몰라요
된장국에 들어가는 시래가 비슷한 거려니
결혼하고. 자주 끓여 먹어요
구수하니 맛있어요
몸에도 좋구요
아욱 근대 다 좋아합니다
저는 밭에 아욱,토란을 키우는데도 잘 안 먹어요.
아욱을 키우는건 옛날에 밋있게 먹은 기억이 있어 키우는데 제 요리솜씨가 못 따라주어 그 맛이 안나구요,
토란은 봄에 (전 밭주인이 심던 토란) 싹이 올라오기에 계속 길러 지금 수확해야 되는 시기인데 토란국 ,토란대 나물 먹어봤어도 직접 만들어 본적이 없어서 , ..
안 끓여보고 사와본 적도 없고 살면서 먹어본 것도 회사 구내식당에서 나올 때 뿐이었어요
영남쪽은 아욱이랑 알토란 잘 안 먹더라고요. 신기하게 좁은 나라에서 지역별로 그게 달라요ㅎㅎ
저는 할머니가 안동분이라 그쪽 스타일 음식 먹고 자랐는데 서울분인 외숙모가 아욱국 토란국 끓여 주셔서 많이 먹었네요.
아욱.근대...차이를 모르겠어요ㅜㅜ
아욱이라고 다듬어져서 포장된 패키지 사와서
국 끓여본적 두번 있었는데
맛있었어요.
하지만 근대는 없는듯...
토란국은
토란들깨탕은 친정엄마가 진짜 자주 해주시는데
해볼생각도 없었네요.
넝 어려운 슬로푸드...
(저 약밥에 개성주악에 경아가루 내서 수수경단도 만드는 나름 장금이과..인데도 어려움)
하는게 몇개 없어요
경상도 고향
아욱이란걸 30살에 옆집 애기엄마가 주셔서 첨 봤어요
먹어보지도 않았고요
토란도 먹어본적 없고, 경상도는 탕국 이라고 끓여서 먹었고
토란국은 경기도 시집와서 첨 먹어봤어요
경상도쪽은 시래기국을 많이 먹었어요
시래기넣고 된장 풀어서 시래기국.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 1769875 | 주식으로 돈벌어 집 샀어요 49 | ㅇㅇ | 2025/11/02 | 18,718 |
| 1769874 | 문재인도 외교 잘했는데 27 | ㄱㄴ | 2025/11/02 | 3,286 |
| 1769873 | 밍크목도리물빨래 4 | 밍크 | 2025/11/02 | 923 |
| 1769872 | 갓비움 매일 먹으면 살빠질까요 3 | ........ | 2025/11/02 | 1,091 |
| 1769871 | ‘저 자리가 우리 자리였어야 해’···APEC 성과 바라보는 국.. 17 | 00000 | 2025/11/02 | 4,056 |
| 1769870 | 쿠팡 에서 사먹는 음식들 추천 부탁드려요 4 | ㅇㅇ | 2025/11/02 | 1,546 |
| 1769869 | 마지막 화장에 사용하는 파우더 대용량은 안나오나요? 1 | 메이크업 | 2025/11/02 | 862 |
| 1769868 | 시진핑 노재헌 앞에서 활짝 웃네요 3 | 포커페이스 | 2025/11/02 | 2,906 |
| 1769867 | 손잡이 긴 스텐 냄비 사고 싶어요 1 | ... | 2025/11/02 | 668 |
| 1769866 | 독감예방접종 맞으세요? 24 | .... | 2025/11/02 | 3,207 |
| 1769865 | 날이추워져요~ 8 | ㅇㅇㅇ | 2025/11/02 | 1,626 |
| 1769864 | 칼국수 겉절이 너무 맛있는데.. 1 | st | 2025/11/02 | 1,868 |
| 1769863 | 소파 색 크림 vs 베이지 3 | ... | 2025/11/02 | 783 |
| 1769862 | 이상한 내일 날씨 1 | 지나가다 | 2025/11/02 | 3,135 |
| 1769861 | 첫 눈에 반했어요.. 10 | 이런일이 | 2025/11/02 | 3,327 |
| 1769860 | 초등학생 운동 주4회 과한가요? 12 | ddd | 2025/11/02 | 820 |
| 1769859 | 첫 알바였던 공장 일 3 | 후기 | 2025/11/02 | 1,806 |
| 1769858 | 강남성형외과 재@ 오@지 카라@ 경험해보신 분 9 | 여니 | 2025/11/02 | 1,230 |
| 1769857 | 서울 디자인페어 간단히 구경하세요 | 제밌어요 | 2025/11/02 | 634 |
| 1769856 | 할머니가 장파열로 응급실인데 수술을 안하시겠대요 5 | 손녀 | 2025/11/02 | 3,429 |
| 1769855 | "세계 역사상 처음"…국민연금, 올해 200조.. 13 | ... | 2025/11/02 | 4,157 |
| 1769854 | 이게 피싱메시지인가요? 5 | . . | 2025/11/02 | 1,403 |
| 1769853 | 돈이 있어도... 8 | 인생무상 | 2025/11/02 | 3,137 |
| 1769852 | 홍시4~5개 드실수 있으세요? 29 | 달다 | 2025/11/02 | 3,270 |
| 1769851 | 갭투자 막히자 5대銀 전세대출 5천385억 급감…1년반만에 최대.. 17 | ******.. | 2025/11/02 | 2,7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