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세제도 몇년안에 없어지겠어요

수순 조회수 : 3,364
작성일 : 2025-10-21 14:19:06

한국은행 총재도 전세제도 부정적이고

 

이 총재는 2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세자금대출 DSR 규제 포함은 “가계부채 누적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불가피한 결정”이라며

“여러 서민의 고통이 수반될 수 있지만

반드시 한 번은 끊어야 할 시점이었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전세 3+3+3 한다고 하며는

집주인은 당연히 전세는 알할거고..

 

월세가 이미 전세를 앞섰다고 하니

전세는 역사속으로 조만간 사라질듯

 

IP : 39.123.xxx.96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10.21 2:20 PM (115.138.xxx.1)

    과도기죠 전세가 갭투기라는 기형적 시장을 낳았으니 없어져야 해요

  • 2. 2시20분
    '25.10.21 2:20 PM (58.29.xxx.1)

    보증금 못돌려주는 집들은 전세금 왕창 올려서 받겠죠. 그 때부터 폭등하는 시점

  • 3. 2시20분님
    '25.10.21 2:25 PM (59.6.xxx.211)

    보증금도 못 돌려주는 집에 누가 전세금 왕창 내고 들어간답니까?
    님 같으면 그런 집에 전세 갈거에요?

  • 4. 준비들
    '25.10.21 2:25 PM (211.234.xxx.40)

    국토교통부장관도
    전세제도는 역사적 사명을 다했다
    라고 말했잖아요

  • 5. 전세의
    '25.10.21 2:26 PM (59.7.xxx.113)

    역사적 사명이 뭔지 궁금하네요

  • 6. 2시26분
    '25.10.21 2:32 PM (58.29.xxx.1)

    10억 매매 7억 전세
    전세가 9억으로 올라도 사람들 계약합니다
    안그래도 한 단지에 전세 몇 개 없는데요
    매물 없어서 줄서서 집보는 뉴스 또 나오겠죠
    전세 놓친 사람들은
    차라리 그럼 1억 더 쓰고 사자 이렇게 생각하고요
    매매가 오르는건 당연한 원리입니다
    저라면 당연히 계약 안하죠
    전 무조건 매매로만 실거주해서 ㅎㅎ
    월세화로 되는건 시간 문제고요

  • 7. 에효
    '25.10.21 2:45 PM (125.181.xxx.238)

    전세제도가 있어서 돈모아 집도 살 수있는건데
    젊은애들은 월세 내면서 어떻게 집을 살까요ㅠㅠ

  • 8. 오히려 좋아
    '25.10.21 2:47 PM (223.38.xxx.239) - 삭제된댓글

    부동산 대책 이후의 현

    1. 전세매물 소멸
    2. 월세비용 증가
    3. 주거비용 폭등
    4. 인플레이션 압박 증대(비자가 소유자)
    5. 긴축지속
    6. 추가 민생지원
    7. 양적완화 논의
    8. 자산가격 폭등
    9. 소득격차 심화

    끊어진 사다리를 아예 불태우겠다는데 그래도 좋다는 분들이 많다는 게 킥. 저는 자산가라 이 상황이 오히려 좋습니다만...

    이 와중에 보유세까지 확 올려버리면 영끌 그지들은 나가떨어지고, 물관리도 좀 되겠네요. 올 여름에 울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가보니 영끌, 전세 느낌의 민도 낮은 분들이 꽤 많이 보여 솔직히 좀 불편했습니다.

    보유세를 과도하게 올리면 중산층들은 다 나가떨어질테고, 찐부자들과 중산층, 서민간의 자산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겠죠.

    우리나라도 부유층 거주지의 허들을 좀 높일 때가 됐습니다.

  • 9. 오히려 좋아
    '25.10.21 2:48 PM (223.38.xxx.239)

    부동산 대책 이후의 현실

    1. 전세매물 소멸
    2. 월세비용 증가
    3. 주거비용 폭등
    4. 인플레이션 압박 증대(비자가 소유자)
    5. 긴축지속
    6. 추가 민생지원
    7. 양적완화 논의
    8. 자산가격 폭등
    9. 소득격차 심화

    끊어진 사다리를 아예 불태우겠다는데 그래도 좋다는 분들이 많다는 게 킥. 저는 자산가라 이 상황이 오히려 좋습니다만...

    이 와중에 보유세까지 확 올려버리면 영끌 그지들은 나가떨어지고, 물관리도 좀 되겠네요. 올 여름에 울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가보니 영끌, 전세 느낌의 민도 낮은 분들이 꽤 많이 보여 솔직히 좀 불편했습니다.

    보유세를 과도하게 올리면 중산층들은 다 나가떨어질테고, 찐부자들과 중산층, 서민간의 자산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겠죠.

    우리나라도 부유층 거주지의 허들을 좀 높일 때가 됐습니다.

  • 10. 전세대출이나
    '25.10.21 2:50 PM (221.149.xxx.36) - 삭제된댓글

    좀 없애지..이게 생기면서 전세가가 폭등하기 시작했고 다시 매매가를 올렸는데..
    이걸 왜 안 없앨까요

  • 11. ...
    '25.10.21 2:57 PM (202.20.xxx.210)

    솔직히 전세가 이상한거죠.. 전세 없어지고 확실하게 계층별로 거주지가 나뉘지는 게 차라리 상류층에게는 더 좋다고 생각이 될 듯. 어차피 그들은 평범한 계층(전세 주거자)과 섞이고 싶지 않아해요.

  • 12. ..
    '25.10.21 3:02 PM (148.252.xxx.206)

    그러게 전세대출을 없애라니끼 문재인때 박원순이랑 그리 퍼주더니ㅠ 온갖 폐해 다 낳고. 청약제도도 없애. 민주당만 정권잡으면 살얼음판 걷는 오징어게임되는것 같아요

  • 13. ...
    '25.10.21 3:04 PM (175.212.xxx.179)

    전세 왕창 못올려요.5프로만

  • 14. ㅇㅇ
    '25.10.21 3:07 PM (1.240.xxx.30)

    그거 아시죠? 규제하는 누구는 갭투자로 강남에 아파트 사놓은거. ㅎㅎ

  • 15. ㅎㅎ
    '25.10.21 3:09 PM (222.237.xxx.25)

    임대인, 임차인 모두 본인들에게 도움이 되니까 유지된게 전세제도인데..
    임차인만 좋다면 임대인이 구지 전세를 놓을 이유가 없죠. 무주택자들이 민주당 부동산 정책을 왜 지지하는지 모르겠어요.

  • 16. ..
    '25.10.21 3:17 PM (223.49.xxx.136)

    전세사기 때문에 없어질 것 같아요.

  • 17. 이제
    '25.10.21 3:20 PM (223.39.xxx.31)

    1주택자는 집 팔면 안됩니다.
    전세로 갈 집(특히 좋은 동네 아파트)이 씨가 마를 겁니다.
    걍 내집에 꾹 눌러살아야해요. 보유세는 대출 받아서 내더라도.
    전세고 월세고 이사갈 집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중..

  • 18. ..
    '25.10.21 3:22 PM (110.70.xxx.135)

    몇 년 뒤에 보세요. 강남 3구 벽이 얼마나 더 두꺼워 지는지 . 팝콘 각ㅎ

  • 19. ㅇㅇ
    '25.10.21 3:39 PM (175.196.xxx.214)

    ㄴ 차라리 미국이나 유럽처럼 찐부자만 핵심지 도심에 사는게 나을수도 있어요 세금도 왕창 내는 부류들
    그렴 나와 완전 다른세계 관심 끄고 사는거죠
    집값이 얼마든 월세가 얼마든

    우리나라는 과도기에요
    어쩌다가 서울 살다보니 집값 오른 사람들도 섞여 있고
    나도 서울집 살수 있었는데 이러면서 나도나도 아웅다웅
    진입하려고 난리

  • 20. ..
    '25.10.21 3:56 PM (110.70.xxx.129)

    그간 전세덕에 섞일 수 있어서 나도 같은 급.. 이렇게 생각했지만 실제 집주인과 나의 간극은 크다는 걸 월세 내면 깨닫게 되는 거죠. 그간 한국의 빈부격차. 주거지 가격 격차는 애교 수준이었음을 이제 곧 알게 됩니다.

  • 21. 000
    '25.10.21 4:03 PM (182.221.xxx.29)

    그지들은 그지들끼리 살게 되겠네요.
    서로 치고박고 싸우면서 배급받고

  • 22. 금리
    '25.10.21 4:08 PM (223.38.xxx.73)

    오르면 전세
    금리 내리먼 월세 그렇게 하고 있어요.
    금리의 문제.

  • 23.
    '25.10.21 4:18 PM (118.235.xxx.76)

    예전엔 아파트 육억짜리다 하면 전세 3억끼고 3억만 있으면 샀죠.
    이젠 몇십억대이니 그런 시대 지났고요.
    지금은
    월세 받아서 세금 내야 되는 세상입니다.

  • 24. 없는사람.
    '25.10.21 5:01 PM (125.176.xxx.8)

    월세 세상이 되면
    아 그때가 봄날이였구나 ᆢ
    깨닫겠죠
    전세 제도가 중간 사다리 역할을 했는데 사다리를 치워버리네.
    제도를 잘 정비해서 전세사기를 막아야지 .전세를 없애다니.

  • 25. ....
    '25.10.21 5:39 PM (223.38.xxx.221) - 삭제된댓글

    가붕개들
    대대손손 월세살이 각이네요.
    추카추카

  • 26. ...
    '25.10.21 6:09 PM (223.38.xxx.98) - 삭제된댓글

    저도 전세를 지렛대 삼아 집장만하고,
    박근혜때(정확히는 메르스로 온나라가 난리일 때) 갈아탔다가,
    문재인 대통령님 덕분에 집값이 퀀텀점프해서
    내가 부자라니, 내가 부자가 되다니... 싶어 얼떨떨한 사람인데,
    저처럼 흙수저조차 못되는 무수저 출신 커플이
    그나마 서울에서 자리잡고 돈 모을 수 있었던 게 전세 덕분인데
    앞으로 우리 아이들은 전세가 뭐야? 먹는 거야? 하겠죠.
    애들 결혼할 때 집마련이라도 도와주려면 더 열심히 살아야겠어요.
    안그럼 우리 애들은 평생 월세 살다 끝날 수도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045 나쁜 노인.. 4 2025/11/14 1,884
1773044 다낭 한시장 4 ... 2025/11/14 1,238
1773043 언젠가부터 과자류 중국산이 많아지네요.. 23 ..... 2025/11/14 2,196
1773042 오늘 같은 날 효자 종목 하나 4 2025/11/14 1,783
1773041 28기 상철 정숙의 혼전임신고백에 바로 서울로 갔다 16 추카추카 2025/11/14 4,330
1773040 상속전문 변호사 추천좀부탁드립니다. ㅇㅇ 2025/11/14 374
1773039 당근거래 3 좀그래 2025/11/14 624
1773038 백악관 - 한미협상 조인트팩트시트 21 To 나베s.. 2025/11/14 1,423
1773037 미국 핵잠 공식승인!!! 우린 준비끝 7 옷홍 2025/11/14 1,367
1773036 글라스 에어프라이어 2 주부 2025/11/14 454
1773035 중학교 학폭 신고 관련하여 조언 부탁드려요. 16 .. 2025/11/14 1,188
1773034 도마 어떤거 쓰세요? 8 2025/11/14 1,448
1773033 백화점에서 현금 써도 되나요 5 현금 2025/11/14 2,422
1773032 요즘사람들 돈 많은것 같아요 23 00 2025/11/14 5,839
1773031 녹색바지를 입었다고 욕을 먹었다면 뭐래 2025/11/14 908
1773030 죄송) 홍대 공대 : 인하대 공대 어떨까요? 34 ... 2025/11/14 2,602
1773029 건보공단 ‘가짜 승진’ 만들어 인건비 6000억 나눠 챙겼다 12 이럴수가 2025/11/14 1,115
1773028 오세훈을 용서할 수 없는 이유 27 ㅇㄴ 2025/11/14 3,188
1773027 어르신들이 좋아하실만한 간식 추천해주세요 14 ㅎㅎ 2025/11/14 1,542
1773026 이대통령 “한미협상 팩트시트 합의…우라늄 농축 확대도 합의” 15 좋다좋아 2025/11/14 1,349
1773025 남편과 여행중 28 아내 2025/11/14 5,393
1773024 전쟁을 일으키려 했는데도 윤어게인이 왜 21프로에요? 32 ... 2025/11/14 2,130
1773023 빵사러 갔다가 비위 상해서... 3 ㆍㆍ 2025/11/14 3,804
1773022 혐오는 3초컷, 혐오와 차별이 왜 안되는지 설명은 최소 5분 1 2025/11/14 366
1773021 전직 최고통수권자가 부끄럽지도 않은지 6 dd 2025/11/14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