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체납액은 특히 지방에서 빠르게 늘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청의 종부세 체납액은 1.7배(1198억원→2051억원)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부산청은 10.5배(135억원→1419억원), 인천청은 8.6배(133억원→1147억원), 대전청은 8.1배(75억원→612억원) 늘었다.

서울 내에서도 비강남권의 증가세가 가팔랐다. 서울지방국세청 관내 세무서별로 보면 성동(29억원→97억원), 마포(15억원→38억원) 등 ‘한강벨트’, 관악(13억원→121억원), 구로(4억원→45억원) 등 외곽 지역은 체납액이 증가했다. 반면 강남(189억원→98억원), 역삼(233억원→159억원) 등은 감소했다.한편 최근 정부가 보유세 인상 등 세제개편 추진을 공식화한 가운데 당정 사이에 미묘한 온도 차가 감지되고 있다. 이날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은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보유세는 최후의 수단”이라며 “보유세로 부동산 폭등을 막겠다는 것은 어설픈 정책”이라고 밝혀 보유세 강화에 일단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