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통계상 1가구당 상위 1프로가 순자산 33억이라는데 맞나요?

최근 조회수 : 2,122
작성일 : 2025-09-20 09:51:40

최근 통계상(2024년 12월 한국의 주요은행 등에서 발표한)  1가구당 상위 1프로가 순자산 33억이라는데 맞나요? 

 

1가구라는게 사실 1인가구도 1가구이고 4인가족도 1가구인지라...통계 일반화의 오류가 있는걸까요.

 

그런데 챗지피티한테 50대전후 부부에 4인 가족의 경우 상위 1프로를 알려달라고 해도 비슷한 순자산 33억쯤으로 알려주더라구요. 정말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이 상위 10프로가 10억선이고, 1프로가 33억선인걸까요.

 

그리고 그렇다면  대한민국 상위 1프로도  상상만큼? 특별함은 없는 그냥 평범한 대한민국 가구 중 하나일 것 같어요  그냥 커피정도 사먹고 장보러가서 가격비교해서 필요한거만 구입하는 정도요. 적어도 0.1프로정도는 되어야 보통 제가 상상하는 부자?의 이미지인 것 같아요. 

 

IP : 223.118.xxx.117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9.20 9:52 AM (121.128.xxx.222)

    지금은 엄청 올랐을거에요.

    강남아파트가 그때보다 20억 가까이들 올랐는걸요.

  • 2. 원래
    '25.9.20 9:53 AM (1.239.xxx.246) - 삭제된댓글

    더 엄청난 사람들은
    1프로들을 다시 100으로 나눠봤을 때
    상위 10프로에 있는 사람들이에요, 넓게 잡아도 30프로요.

  • 3. ㅇㅇ
    '25.9.20 9:56 AM (61.100.xxx.249)

    24년말기준이라고 원글에 나오는데
    어디가 24년말보다 20억 가까이 올랐나요?
    저 정도 기준이 맞아요.
    1%는 최상위층이 아니라 중상층이고
    0.1%-0.3%는 되어야 최상위층 소위 부자라도 말할수 있죠.

  • 4. 1프로
    '25.9.20 9:56 AM (211.219.xxx.121)

    백가구중 하나인데 흔한거 아닌가요.

  • 5. ㅇㅇ
    '25.9.20 9:57 AM (106.102.xxx.63)

    그것도 생각보다 넘 많은데요. 100집 중에 한집은 순자산이 33억이상이라고요.. 총자산도 아니고 빚빼고 순자산이.

  • 6. 뭐랄까
    '25.9.20 10:01 AM (223.118.xxx.117)

    그냥 뭔가 상위 1프로라고 하면 진짜 성공한 거 같고 경제적으로 훨씬 자유로워질 것 같은데 제 상상과 기대와는 달리 순자산 33억 가구도 그렇지도 않은 것 같아서요. 신기루와 같이 느껴지네요. 경제적 자유는 상위 1프로로도 어렵고 그보다 더 위에 beyond인 것 같아요.

  • 7.
    '25.9.20 10:02 AM (1.231.xxx.177)

    맞네요. 1%인데 특별함이 1도 없어요.
    제가 생각하는 특별함은
    비지니스석, 영미유학, 가사도우미들인데
    70억 이상은 있어야 가능할 것 같네요

  • 8.
    '25.9.20 10:13 AM (121.162.xxx.59) - 삭제된댓글

    서울 중심지에서 살다보면 착각하죠

    미국유학 척척 보내고 백회점 명품 휘감고

    다 부동산 포함 100억대나 가능한 얘기고

    실제론 백화점 매대 옷 사고 이코노미로 해외 가고
    스벅 커피와 유기농 장 보는 정도가 30억대죠

  • 9.
    '25.9.20 10:14 AM (211.235.xxx.138)

    집값이 재산 크기에 얼마나 비중을 차지하는지가 관건임.
    세입자가 집주인인 우리보다 잘 살아요.
    벤츠에 명품 해외여행 골프 리조트
    우린 그만한 월세 주고 살 수 없죠.
    받기는 해도.
    아이러니죠.

  • 10. ㅇㅇ
    '25.9.20 10:14 AM (61.100.xxx.249)

    https://youtu.be/y9D0oIevYOU?si=SBMknrgcZt0YcJBG

    가구당 자산 통계

  • 11. ㅇㅇ
    '25.9.20 10:19 AM (61.100.xxx.249)

    다이아수저 77억 상위0.1%
    금수저 30억 1%
    은수저 14억 5%
    동수저 10억 10%
    중산층 4억
    대한민국 중간 2.5억

    라고 나오네요.
    우리가 부자로 인식하는 자산규모는 상위 0.1%라는 소리죠.

    그리고 상위 0.01%의 부가 600억-700억 정도인데 우리나라에 3천명 정도랍니다.

  • 12. ....
    '25.9.20 10:21 AM (118.35.xxx.8) - 삭제된댓글

    자신의 자산 상황과 비교하여면
    평균치 상위 몇프로는 아무 의미 없어요
    소수의 재벌급이 평균 다 올려놓기때문이죠.
    참 82 방구석 아주머님들 보면 현실감각 제로라고 여겨져요
    33억이 작은 돈인가요?
    요즘 젊은애들 한달에 이백씩 모은다면 140년가량 모아야해요
    요 몇년간 다 썪어가는 집값 인올랐으면 대부분 만져보지고 못했을 금액인데..
    눈만 높아가지고 똥된 구별 못하는듯.

  • 13.
    '25.9.20 10:43 AM (223.38.xxx.98)

    모태부자 거나 부모가 엄청 잘 살아 물려받은 재산이 많지 않은 이상 똥ㄲㅁ이 터져라 이 악물고 모아도 아무것도 없이 시작한 집은 저 기준이라면 겨우 중산층 문턱 이거나 그냥 서민...밥 먹고 살면 됐다지만 부자들 보면 박탈감 말도 못함.

  • 14. ㅌㅂㅇ
    '25.9.20 12:54 PM (182.215.xxx.32)

    통계를 못 믿으시네요 그런데 가구마다 다 특성이 달라서 50대이고 4인 가족이고 그런 식으로 다 따로 통계를 내지는 못 할 것 같아요

    그런데 서울에 1인 가구가 가장 많다고 하더라고요 40%가 1인 가구라고 하던가 아무래도 1인 가구는 순자산이 그렇게 높은 경우가 흔하지는 않겠죠

  • 15. 그러네요
    '25.9.20 12:56 PM (222.235.xxx.9) - 삭제된댓글

    서민들에겐 상위 1프로도 엄청난 부자같겠지만 현실은 현금흐름에 따라 극과극으로 생활수준이 나뉘고
    상위 0.1프로 사람들만이 찐부자들이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6258 태운 숭늉. 좋을까요 10 궁금 2025/09/22 1,024
1756257 1회용 행주 수세미 쓰니까 참 좋아요 16 ㅎㅎ 2025/09/22 2,412
1756256 보관이사 해보신 분~ 냉장고 등 팁 부탁드려봐요 5 .. 2025/09/22 539
1756255 정부에서 돈 푸는 속도가 어마어마한데 41 그래도 2025/09/22 4,195
1756254 아침잠 실컷 자고 싶어요 4 아침잠 2025/09/22 1,209
1756253 삼전 82층 4 ... 2025/09/22 2,101
1756252 은중상연 맘에 안드는 점 6 .. 2025/09/22 2,261
1756251 조류충돌 635배…새만금공항 ‘제동’ 4 .. 2025/09/22 749
1756250 ”레이싱 인 더 레인“ 좀 우울하신분들 이 영화보세요 2 재밌네요 2025/09/22 973
1756249 어르신들 소비쿠폰 받으러 23 지방공무원 2025/09/22 3,930
1756248 하루 평균 10시간 핸폰을 보네요;; 3 ㅇㅇ 2025/09/22 1,756
1756247 빠른쿠팡배송에 길들여졌나봐요 2 쿡에버 2025/09/22 780
1756246 절의 스님도 고기 드시는거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12 ........ 2025/09/22 2,057
1756245 잠을 며칠동안 전혀 못자는데 어디서 무슨검사 5 무슨검사해야.. 2025/09/22 1,486
1756244 긴팔걸치고 출근하세요? 3 날씨 2025/09/22 1,677
1756243 카카오 입금 문의드려요 4 남쪽나라 2025/09/22 668
1756242 서울은 지금이 저점이라는 지인 34 .... 2025/09/22 4,256
1756241 5년후 상용화 될것같은 스마트폰대체안경 4 메타 2025/09/22 2,530
1756240 오늘 첫출근해요 23 백만년만에 2025/09/22 3,054
1756239 당근거래시 네고.. 8 2025/09/22 1,249
1756238 인덕션쓰다가 가스렌지 쓰시는분 8 인던션 쓰다.. 2025/09/22 2,430
1756237 텀블러 손잡이 스탠리도 호환이 되나요 ?? 1 ........ 2025/09/22 680
1756236 고양이 순화 도와주세요ㅜ 5 .. 2025/09/22 1,393
1756235 상연과 은중에서 집중력 떨어지는 부분 21 주말엔숲으로.. 2025/09/22 5,574
1756234 생김 요즘도 시장가면 구워주나요? 2 생김 2025/09/22 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