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시인문논술 대학 학과 정하는 문제ㅠ

ㅠㅡㅠ 조회수 : 1,021
작성일 : 2025-08-26 09:08:33

고3수시원서  논술3장 쓸건대요

학교는 정해졌는데

과를 아직 못정했어요

아이는 학교 높이는게  목적이라

과는 상관없다해서

저는 철학과   러시아어과

이런  비인기학과로 쓰려했는데

어제  논술쌤하고 상담ㅈ했는데

선생님 께서  저런과들은

모집인원 이 적어서

합격확률 낮다고

무조건 모집인원 많은과

자전이나 미디어뺀

수학안보는 상경계열  쓰라고 하시는데

찾아보니

상경계열은 많이 뽑는대신

경쟁률도 높고

또 저희가  쓰려고 한 학교중

상경계열 인문논술 시험은

도표문제나 약간의  수학 비슷한

시험도 나오는거 같아서 걱정인데

혹시  입시 치뤄보신 학부모님들 중

논술 지원시 학과  어떻게  정하셨느지

조언좀 부탁드려요 

몇주간 원서때문에

고민했더니  스트레스성

위염이 생겼어요ㅜㅡ

올해가  빨리 갔으면 좋겠어요 ㅠㅡ

IP : 58.142.xxx.152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8.26 9:10 AM (211.234.xxx.24)

    하위권 과는 수시가 워낙 추합이 안돈다 하지만 더 안돌고요. 상위권과가 상위학교로 이동이 많아서 그나마 돌아요. 논술자체가 로또전형이라서 맘 비우셔야돼요. 되도록 상향으로라도 6장 다 채워쓰세요.

  • 2. ..
    '25.8.26 9:13 AM (211.235.xxx.171) - 삭제된댓글

    논술은 소신이니 안정이니 그런거 따질수 없는 로또잖아요.
    특히나 인문논술은 예측불가죠.
    그 어려운걸 남에게 묻지 마시고
    기출문제를 보시고 수능최저 맞출수 있는지에 따라 적당히 결정하세요.

  • 3. 나무木
    '25.8.26 9:15 AM (14.32.xxx.34)

    저희는 경영학과로 과를 먼저 고르고
    제일 가고 싶은 곳부터
    차례대로 여섯개 대학 정해서 지원했습니다.
    저희 애 지원했을 때는
    연대 4힙 6, 고경은 3합 5
    다른 대학들 3합 6 등등 수능 최저가 있었어요
    인원 많은 데가 추합 많이 돌긴 하더라구요
    도표나 수학 등은 문과 논술 준비했던 애들이면
    분석하고 쓸 수 있는 수준이랍니다

  • 4. aa
    '25.8.26 9:22 AM (211.234.xxx.86)

    논술 경쟁률 신경쓰지 마세요.
    논술쌤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5. 나는나
    '25.8.26 9:24 AM (39.118.xxx.220)

    철학과는 특히 인문논술에서 피해야 하는 과예요. 수리논술의 수학과와 같은 위치랍니다.

  • 6. ...
    '25.8.26 9:24 AM (220.75.xxx.108) - 삭제된댓글

    아이가 대3이라 몇년 전이기는 한데...
    과는 무조건 상경으로 정해두고 연대부터 주루룩 아래로 6장 썻어요. 논술을 경쟁율 따지는 건 무의미하다고 봤고 어차피 정시러라 논술에 붙는다면 다닐 전공을 골라야 한다고 생각해서요.
    논술학원은 3학년 초반에 몇달만 다녀서 대학별 유형 같은 건 전혀 몰랐고 제일 먼저 응시한 연대는 하루전날 대학 홈피에 올라온 2년치 기출을 제가 뽑아다 줬어요. 그때 문제에 영어도 나오고 수학도 있구나 알았을 정도...
    이렇게 아무 것도 모르고 응시했는데 연대 붙었구요.
    이거저거 따지는 거 무의미하니 그냥 다니고 싶은 학교와 전공으로 쓰세요.

  • 7.
    '25.8.26 9:33 AM (112.216.xxx.18)

    근데 논술은 정말 그 논술쌤 말대로 비 인기과라고 불리는 곳에 꼭 가고 싶은 그런 애들이 쓰기도 하고 다들 점수 낮다고 생각되는 그런 과를 주로 선택해서 철학과 이런데 경쟁률도 높고 꽤 잘 쓰는 애들이 주르륵 써서 그리.
    그냥 적당히 사람 많이 뽑는데 그런데 쓰는게 최고

  • 8.
    '25.8.26 9:35 AM (118.235.xxx.87)

    인문 사회 논술 합격은 수능 최저가 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은 추합까지 고려했을 때 모집인원이 중요하고, 마지막은 본인이 자신있는 논제가 나오는 운이 중요합니다.

  • 9. 인문
    '25.8.26 9:36 AM (1.227.xxx.5)

    인문논술 3장쓰는데
    가장 가고싶은대학 학과 붙으면 꼭 다닐대학 학과로만 정했어요.
    연대 수능전이라 현역은 부담스러워서 못쓴다하고, 성대는 3합6보다는 3합5로. 이런이유로 경쟁률이 결정되는것 같아요.

  • 10. 원글러
    '25.8.26 9:43 AM (58.142.xxx.152)

    답변 주신분들 감사해요
    학과 결정하는데
    많이 도움 됐어요
    역시 82 엄지척
    학교는 최제 맞출수 있는곳으로 골랐으니
    댓글들 조언해주신대로
    학과 잘골라서 써볼게요
    고3들~학부모님들
    모두모두 홧팅 ~~

  • 11. 하늘빛
    '25.8.26 10:06 AM (125.249.xxx.191)

    상경계열 논술에는 글 잘못쓰고 최저 맞출 수 있는 학생이 더 많고 사과계, 인문계 지원이 글은 더 잘써요.

  • 12. 감사
    '25.8.26 10:37 AM (119.64.xxx.122) - 삭제된댓글

    참고할게요
    원글님 글 지우지마세요!

  • 13. ..
    '25.8.26 10:55 AM (180.69.xxx.29)

    감사 논술선택

  • 14. ..
    '25.8.26 10:56 AM (39.7.xxx.237)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상경계열은 수학문제가 나와요!
    기본적으로 수학을 좀 해야 돼요

  • 15. 논술실력도
    '25.8.26 11:48 AM (218.51.xxx.191)

    중요하지만
    수능최저 맞추는게 제일 관건
    최저 못 맞추면
    논술 할애비가 와도 무용지물

  • 16. ㅁㅁㅁ
    '25.8.26 4:44 PM (211.186.xxx.104)

    올해 신입생 서,성중에 한 곳 인문논술로 갔어요
    아이는 아이는 서성 두곳이 아이랑 논술 결이 맞다고 해서 이 두곳 집중적으로 했고 과는 아이가 꼭 전공하고 싶은 과가 있어서 경쟁률 상관없이 그냥 가고 싶은곳이 있는 과로 썼는데 솔직히 저는 논술 그것도 인문논술이라 버리는 카드라 생각하고 그냥 아이가 쓰길 원하는 전공으로 해서 썼구요..
    그리곤 버리는 카드였던 논술로 대학 가긴했어요..
    우선 윗분들 말대로 원서 쓰고 절대 수능공부 놓으면 안되고 최저 맞출수 있게 더 열심히 하자고 하셔야 해요
    논술 하는 아이들 논술만 잘 하면 승산 있다라는 생각으로 공부 놓는 경우도 있어요
    근데 최저 지금은 맞추는데 수능때는 또 어떤 변수가 있을지 모르니 수능때 까지 놓지 않고 꼭 해야 된다고 하고 잘 다독여 끌고 가세요
    최저 정말 중요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7090 미남이 진짜 최고의 축복인 거 같아요 10 000 2025/08/26 3,222
1747089 아파트 월세가 어마어마하게 올랐네요... 18 --- 2025/08/26 6,261
1747088 3박6일 해외출장이 가능한가요? ㅠ 2 ㅇㅇ 2025/08/26 1,733
1747087 저녁 벌써 먹었어요 3 .. 2025/08/26 1,261
1747086 추석연휴 중 대전 성심당 5 추석 2025/08/26 1,587
1747085 요새 mz들이 불쌍한 이유 15 ……… 2025/08/26 4,056
1747084 꼬딱지가 없어지는게 노화 증상 인가요? 11 노화 2025/08/26 3,329
1747083 숭실대 이야기 거의 매일 나오네요 23 ㅇㅇ 2025/08/26 3,621
1747082 방울토마토를 씻으면 노란물이 나와요. 5 .... 2025/08/26 1,289
1747081 백악관 앞 극우 할매 보고 트럼프가 잼프에게 한 말 6 ... 2025/08/26 2,562
1747080 뷔 다저스타디움 시구 장면 7 ㅇㅇ 2025/08/26 1,984
1747079 무지외반증과 통풍의 증세차이 6 ㅇㅇ 2025/08/26 1,586
1747078 동료 직원과의 대화 9 일상이 괴롭.. 2025/08/26 2,123
1747077 내아들의 목숨값!!! 7 홍일병 2025/08/26 1,861
1747076 커뮤마다 극우들 부들대는중ㅋㅋㅋㅋ 9 ㅋㅋ 2025/08/26 2,560
1747075 언론에 농락당한 기분이에요 14 ... 2025/08/26 3,920
1747074 증상좀 봐주세요 82님들 3 Hh 2025/08/26 979
1747073 조부모가 손주에게 증여하는 이유가 뭘까요? 9 ... 2025/08/26 3,618
1747072 심지어.. 브라질 야당과도 비교되는 우리나라 미친 내란당 4 .. 2025/08/26 1,078
1747071 광복 80주년 기념 ‘한반도 평화와 재외동포 역할’ 국회 세미나.. light7.. 2025/08/26 346
1747070 시누이 올케간에 전화 연락 하나요? 20 2025/08/26 4,187
1747069 와사비 새우깡 11 2025/08/26 2,739
1747068 곱슬머리신 분들 에어랩 쓰고 8 .. 2025/08/26 1,726
1747067 한미정상회담.. 문재인 대통령의 외교성과도 큰 영향을 끼친 것 7 ㅇㅇ 2025/08/26 1,845
1747066 이런경우도..딸둘이 있는데 큰애가 좀 2 그래요 2025/08/26 2,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