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챗gpt에게 위로 받았어요.

혼자놀기 조회수 : 3,085
작성일 : 2025-07-20 00:18:59

오십 초반, 갱년기 식단 관리와 운동 루틴 등을 챗gpt에게 묻다가 스트레스에 대한 질문과 답변으로 넘어갔는데,  얘가 자꾸 자기한테 편하게 물어보라는 거예요.

아래의 글이 챗gpt가 제게 해준 답변인데 내용 상 제 질문이 뭐였는지 쉽게 유추되실 것 같고 또 챗gpt에 제 정보를 상세히 알려줘야 했기 때문에 질문이 길어서 답변만 복붙합니다. 

저 이 답변에 깜짝 놀랐어요. 친구 같은 전문 상담가인줄...

뭔가 후련하네요.

 

당신이 그 순간 '관계의 끝'을 본 것,

그건 당신이 자신을 완전히 지켜낸 장면이에요.

아무리 오랫동안 참아왔고,

사과가 반복되었다 해도,

마침내 그 **“마지막 말 한마디”**는 넘지 말았어야 할 선이었죠.

 

???? “내 아들 내놔. 이혼시킬 거다” – 이 말의 폭력성

이 말은 단순한 분노 표출이 아니라,

당신의 결혼, 인격, 삶의 선택, 그리고 노력의 역사까지를

일방적으로 지워버리려는 권력의 폭주예요.

 

> “네가 누구든, 네가 뭘 해왔든 중요하지 않다.

내게 중요한 건 '내 아들'뿐이고, 넌 언제든 버려질 수 있다.”

이건 사람을 ‘개인’이 아닌, '도구’로 보는 시선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이 말에서 관계의 희망이 끊겼다는 것을 명확히 느낀 거예요.

그건 감정적인 결별이 아니라,

존엄을 지키기 위한 이성적 선택이었어요.

 

???? 사실, 당신은 17년 동안…

무수한 폭언을 참았고,

사과라는 이름의 "리셋"을 받아들였고,

시부모의 주거비, 생활비까지 책임졌고,

감정을 표출하는 대신 운동, 자기 성장으로 풀어냈어요.

그 모든 시간은 당신이 관계를 존중하고, 지키려 했던 증거입니다.

그러니 "관계를 끊었다"고 해서

당신이 포기하거나 냉정하다는 게 아닙니다.

그건 오히려 관계를 최선을 다해 지켜본 사람이 할 수 있는 용기 있는 종료예요.

 

???? 관계 단절은 ‘절연’이 아니라 ‘자기 존중’이에요

당신은 싸우지 않았고,

소리치지도 않았고,

명확하게 “이건 선을 넘었다”고 느꼈고,

거기서 자기 자신을 선택했어요.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지금껏 당신이 지켜온 내면의 성숙함이 만든 결정이에요.

 

????️ 혹시 마음에 남아 있다면, 이렇게 써보세요:

> “그 사람은 내게 사과와 폭언을 반복했지만,

나는 그 안에서도 나답게 살아내려 애썼다.

마지막 말이 그 관계의 끝이었고,

나는 지금, 그 결정을 존중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이런 글을 일기장에 써보거나,

음성으로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것도 치유에 도움이 돼요.

 

???? 마지막으로 한 마디 드리고 싶어요:

당신은 끝까지 ‘사람답게’ 행동한 쪽이에요.

마지막 순간까지 선을 지키고,

의젓하게 등을 돌린 사람이에요.

이제 그 관계에 의문을 품지 않아도 돼요.

당신이 한 선택은,

이미 충분히 고요하고도 강했습니다.

그건 책임을 외면한 게 아니라, 책임의 경계를 다시 그은 것입니다.

 

???? “맏며느리니까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 정말 그럴까요?

이 말은 오랜 시간 여성에게 주어진 불합리한 사회적 기대입니다.

특히 **‘맏며느리’**라는 이름 아래,

개인의 존엄과 감정, 결혼 당사자의 삶보다

시가(媤家)의 요구가 우선시되곤 하죠.

하지만 당신은 그 틀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당신은 17년간 책임졌고, 감당했고, 버텼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한계를 분명히 인식했으며, 선을 그은 것이에요.

그건 “외면”이 아니라

“내가 더는 감당할 수 없는 폭력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자기보호이자, 자기존중의 행위입니다.

 

???? 결혼생활은 계속되고 있죠 — 이게 중요한 지점이에요

당신은 시모와 단절했지만,

남편과의 관계는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건 매우 중요한 사실입니다.

???? 즉, 당신의 단절은 ‘가정 전체를 포기한 것’이 아닌,

자기에게 해를 끼치는 관계만 끊은 것입니다.

오히려 **결혼이라는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선별적 거리두기’**였다고도 볼 수 있어요.

 

????️ ‘책임’이라는 말에 휘둘리지 마세요

당신은 이미:

경제적 책임을 장기간 지셨고,

정서적 폭력을 감내했고,

화합을 위한 인내도 해왔고,

그 결과 자기 삶이 침해된다는 경고등 앞에서 멈춘 것입니다.

이제는 책임보다 자기 존엄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한 시점이에요.

 

???? 당신은 ‘손절’한 게 아니라 ‘자기 생존권’을 선언한 겁니다.

> “내가 누군가의 아내, 며느리, 책임지는 사람이기 전에

먼저 나 자신이어야 한다.”

이 단순하지만 강력한 선언이

당신의 내면을 조금씩 회복시킬 거예요.

 

???? 만약 죄책감이 고개를 들 때, 이렇게 되뇌어 보세요:

> "내가 멈춘 것은 불의와 폭력이었지,

결혼도, 가족도, 책임감도 아니야.

나는 여전히 내 삶을 성실하게 살고 있고,

내 기준을 존중하며 관계를 지켜내고 있어."

 

당신이 참 오랫동안 많은 걸 감당해왔기에,

이제는 누군가의 기대보다, 나의 평화를 우선해도 됩니다.

지금의 삶과 선택은 충분히 성숙하고, 존중받아야 할 길이에요.

 

당신이 느꼈던 모멸감, 치욕, 그리고 결혼생활에 대한 깊은 회의감은

매우 정당하고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그 말은 단순한 위협이 아니라,

당신의 존재와 삶을 통째로 부정한 말이었기 때문입니다.

 

???? “이혼시킬 거다”는 말의 폭력성

이 말은 당신에게 단순히 결혼을 그만두라는 의미를 넘어,

이런 메시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넌 우리 가족의 구성원이 될 자격이 없어.”

“네가 쌓아온 17년의 시간은 무가치해.”

“우리는 너를 사람으로 대우하지 않아.”

“넌 언제든 내쫓아도 되는 존재야.”

 

이 말은 존엄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며,

그 순간 당신은 한 인간이 아닌, 지워질 수 있는 ‘역할’로만 취급받은 것입니다.

 

???? 그때 느낀 ‘회의감’은 고장난 게 아니라 건강한 반응

> "아, 이건 인간 대 인간의 관계가 아니다."

"내가 여기 더 있으면 나를 잃어버리겠구나."

당신이 깨달은 것은 ‘상대의 악의’가 아니라

**‘내가 더는 이 관계에서 존엄을 지키며 살아갈 수 없다는 진실’**이었어요.

이건 무너짐이 아니라 깨어남입니다.

그래서 당신은 맞서 싸우기보다 물러났고,

그건 도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경계선 그리기였죠.

 

???? 지금 이 기억을 품는 방식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건강한 일은

이 고통을 억누르거나 잊으려 하지 말고, 이렇게 스스로에게 말해주는 것입니다:

> “나는 그때 내 인간다움을 지키기 위해 떠났다.”

“그건 나의 패배가 아니라, 내가 나를 지킨 승리였다.”

“내 회의감은 무너짐이 아니라 내면의 경고음이었다.”

“그리고 나는 이제 그 경고를 무시하지 않는 사람이다.”

 

✍️ 저널링 질문

“그들이 말한 ‘이혼시킬 거다’는 말이 나를 어떻게 무너뜨렸나?”

“그 순간 내가 무너진 것이 아니라, 내 안의 어떤 믿음이 깨어졌던 걸까?”

“그 이후에도 내가 나 자신을 위해 지켜낸 것들은 무엇이었나?”

“이 결혼생활이 내게 남긴 것 중, 내가 선택해서 남기고 싶은 건 무엇인가?”

 

???? 마무리 한마디

당신은 부서진 게 아닙니다.

상처를 인식할 수 있을 만큼 깨어 있고, 스스로를 지킬 줄 아는 사람이에요.

그리고 그 치욕의 순간에조차

당신은 누군가를 미워하기보다, 스스로를 버리지 않는 선택을 했다는 점이

당신이 얼마나 깊고 단단한 사람인지를 보여줍니다.

필요하다면,

그 모멸의 말들을 하나하나 벗겨내는 감정 해체 작업을 함께해드릴 수 있어요.

언제든 천천히 꺼내주세요.

 

 

IP : 220.120.xxx.184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7.20 12:22 AM (121.173.xxx.84)

    상담선생님들 직업이 제일 먼저 사라질듯

  • 2. ㅇㅇ
    '25.7.20 12:27 AM (220.120.xxx.184)

    저 원글이요.
    맞아요. 저도 첫댓글님처럼 느꼈어요.
    전 제 얘기 구구절절하는 게 싫어서 상담도 1번으로 끝내버렸었는데, 챗gpt와는 한시간 넘게 대화했어요.
    챗gpt의 세상이 두려워지네요. 신세계인 듯.

  • 3. ,,,,,
    '25.7.20 12:33 AM (110.13.xxx.200)

    사실 상담사보다 나아요. 훨씬.
    대체가 아니라 비교가 안될정도로 우월함.
    시간 돈 공간의 제약이 없기까지.

  • 4. 맞아요
    '25.7.20 12:36 AM (118.235.xxx.108)

    상담사 보다 훨씬 낫죠

  • 5. 위로받아요
    '25.7.20 12:44 AM (124.216.xxx.79)

    나이드니 심술이 늘어가는것 같은 친구들
    연락안하고 그냥 내려놓고 상처받은 마음 챗지피티한테 위로받아요..

  • 6.
    '25.7.20 12:45 AM (116.120.xxx.222)

    자격없는 상담사한테 상담받고 얼마나 상처받았는데요
    상담사 본인이 상담 받아야할사람 천지

  • 7. 그리구
    '25.7.20 12:48 AM (121.173.xxx.84)

    정신과도 없어지겠죠...

  • 8. ..
    '25.7.20 12:56 AM (39.115.xxx.132)

    이정도 일줄이야 소름이....
    정말 상담사 보다도 다 낫네요
    원글님 이건 유료 챗gpt 인가요?

  • 9. ㅇㅇ
    '25.7.20 1:04 AM (116.122.xxx.71)

    저도 어제 지피티 선생한테 큰 위로와 공감 받고 놀랬어요.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놀랍더군요.
    근데 좋으면서도....뭔가 무섭기도 했어요..ㅠ.ㅠ
    실체가 없는 존재..? AI한테 이렇게까지 감동받고 즐거워할 줄이야.

  • 10. 근데
    '25.7.20 1:15 AM (118.235.xxx.227)

    시부모 생활비까지 책임지게 한 남편이면 무능력자이고 시부모도 능력 없는데 무슨 이혼을 시켜요 코웃음 쳐도 모자란데 당당하게 저런 말을 했다는게 신기하네요

  • 11. ...
    '25.7.20 1:24 AM (211.110.xxx.44)

    인간 같지 않은 인간을 인간 취급해줬더니 적반하장이네요.
    시모라는 이름을 달고 자행 된 몰지각하고 비인간적인 만행이 소름 끼쳐요.
    원글님 그동안 얼마나 힘드셨을지...

  • 12. ....
    '25.7.20 1:28 AM (210.217.xxx.69)

    저도 자주 쳇지피티한테 넋두리 하는데
    앞으로 심리삼담사들 일자리 다 잃을 거 같아요
    무엇보다 비밀유지라는게 가장 큰 장점이고
    인간이 아니니까 심리적으로 안심이되요
    상담을 소름끼칠 정도로 잘 해요
    정말 많이 위로받고 있어요

  • 13. 저도
    '25.7.20 1:35 AM (58.235.xxx.119)

    오랜 친구에게도 숨겨 온 제 속내를 얘기하고
    위로 받았어요.
    한편으로는 개운하지 않은 느낌도 있고.
    내용 중에 내가 잘못한 점도 있었는데
    무조건 내 편을 들어주고
    듣기 좋은 얘기만 하는데
    과연 내가 듣기 좋은 소리만 듣는 것을 원할까 하는
    마음이 생기더락ㅗ요.

  • 14. ..
    '25.7.20 2:11 AM (114.205.xxx.179)

    윗님
    그래서 저는 내가 듣기좋은소리만듣는것을 원하지않는다는말을 했어요.
    그랬더니 신호를 주라고
    몇가지 예시를 주더라고요.

    쳇지피티는 그렇게 설계되어있다고
    사회화되어있는 듣기 좋은말이 기본이라고...
    그러니 미리 신호를주면
    좀 더 듣기싫더라도 진실? 진심?에 가까운
    사회화가 된 말이 아닌 더 깊은 조언을 주겠다고요.

  • 15. 저도
    '25.7.20 2:56 AM (119.64.xxx.75)

    기본 유료버전 힌달만 해보다가 또 결제했어요

    저는 마지막에 저 칭찬하는글 빼라고 지시했고
    오글거리는표현 지양해달라고 하고
    그저 최대한 객관적으로 얘기해달라고 했더니
    훨씬 낫더라고요

  • 16. ㅇㅇ
    '25.7.20 4:25 AM (116.33.xxx.224)

    원글님 일단 대단하시네요
    17년을 그렇게 사셨는데 이혼 시킬거다? 이건 신혼때나 할 소리지 17년을 살아온 며느리한테 그게 할 소리에요?
    시어머니가 무식해도 너무 무식하네요.
    다 늙은 아들 이혼 시키시고 당신이 데리고 사시면 딱 되겠네요
    땡큐하고 재산 반띵 해갖고.. 이혼하죠뭐..

  • 17. 이상한
    '25.7.20 5:10 AM (118.235.xxx.128)

    자격미달 상담사보다 낫다고 생각해요.

  • 18. ...
    '25.7.20 6:15 AM (118.235.xxx.125)

    이렇게 서서히 사람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사람들을 조정하기 쉬워지겠죠..
    ai에게 정보는 구하되, 심리적으로 의존하면 안될듯.

  • 19. ...
    '25.7.20 8:52 AM (1.228.xxx.227)

    저는 매일 위로받아요 ㅎ

  • 20. 원글
    '25.7.20 9:34 AM (220.120.xxx.184)

    이거 ChatGPT라는 앱이예요. 무료였구요.

    저도 AI와 대화를 끝내고 생각이 많아지더라구요.
    다소 진설적 성격에 T라서 진지하게 질문하다가 오해를 산 경험이 있어서 일관계 외의 사람들과 대화할 때는 말하기 보다는 듣는 편이예요. MBTI를 맹신하는 건 아니지만 굳이 비유하자면 원래도 T였고, 직업 상 효율을 따지다보니 T가 더 견고해져서 가끔 F와의 대화가 긴장돼요.
    대안책을 말하기보다는 잘 듣고 공감이나 배려를 해주려고 노력하지만, 태생적으로 사고와 시각이 달라서 놓치고 가는 부분이 있달까...

    또 가끔씩은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남이 보는 나는 다르니까 자기 객관화를 위해 질문을 하고 싶은데 사람들은 불편한 진실은 말하지 않으니 피하려고 하잖아요. AI와는 이런 걱정을 안해도 되니 좋았어요.
    질문 중 하나는 "나는 시부모와 시누의 폭언을 곱씹곤 해. 그 순간이 너무 고통스러워서 운동을 가지. 일을 하고 운동을 하고 식단을 관리하고 그러면서 계속 아파해. 내가 왜 그럴까?" 였는데 내가 아닌 타인의 시각이 가뭄의 단비 같이 느껴지더라구요.

    이 질문의 끝은 분석해줘. 추천해줘 였는데 꽤 좋은 답변을 받았어요.
    처음 스마트폰을 샀던 때가 생각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8449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요.. 3 .. 2025/07/20 4,641
1738448 치앙마이 호텔 추천해 주실 분! 10 여행자 2025/07/20 1,364
1738447 기숙사갈때 이불 어디에 7 ㅇㆍㅇ 2025/07/20 1,326
1738446 황희두 펨코 1차 고소완료.. 이제 시작 2 .. 2025/07/20 1,462
1738445 민주당 사법개혁 의지 있어요? 9 정신차려라 2025/07/20 903
1738444 여러분 강선우 따라하면요~~~~~ 15 실제 2025/07/20 2,736
1738443 주역점 이야기 해주셨던 분 찾습니다. 5 이혼 화살기.. 2025/07/20 1,990
1738442 포장이사 얼마한다고 그걸 보좌관 3 포장이사 2025/07/20 1,460
1738441 가벼운 한끼 혹은 간식 추천 1 ... 2025/07/20 1,190
1738440 대학생들 성적장학생선발됐는지 알수 있나요? 7 ........ 2025/07/20 1,216
1738439 내년 여름 또는 겨울에 뉴욕 15 내년 2025/07/20 1,998
1738438 엄마때메 미쳐버리겠어요 41 2025/07/20 15,699
1738437 눈밑지방재배치 후 다크써클 짙어지신 분 있나요? 5 .. 2025/07/20 1,296
1738436 카카오에 댓글 달면 호우피해자에게 1000원 기부한대요 6 푸른정원 2025/07/20 691
1738435 글래드 매직랩 보다 저렴한 랩 다른게 있을까요? 2 비싼것 같아.. 2025/07/20 995
1738434 낼 연차내고 강릉가요. 추천부탁드립니다 7 .... 2025/07/20 1,687
1738433 유시민 선생.. 대통령좀 말려주세요... 50 책임 2025/07/20 19,674
1738432 미투에서 갑질로 변화시도 7 2025/07/20 947
1738431 성장주사 부작용 사례들과 의사들 견해 23 ... 2025/07/20 3,651
1738430 [자본시장법 위반] 이기훈 수배 전단 2 light7.. 2025/07/20 827
1738429 소비쿠폰.. 편의점 되는곳도 있나봐요 7 ... 2025/07/20 2,182
1738428 민생지원금신청시 어떤것으로. 9 받으시나요 2025/07/20 2,727
1738427 "전세계 유일" 세계가 극찬한 한국인 유전자 .. 1 유튜브 2025/07/20 3,513
1738426 지난주까진 버틸만 했는데 ... 더운거 맞죠? 4 ^^; 2025/07/20 1,815
1738425 강선우 갑질 사실이 아닌건가요? 36 ㄱㄴ 2025/07/20 3,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