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베르테르 같은 사람

ㅇㅇ 조회수 : 1,022
작성일 : 2025-07-16 15:13:56

끔찍하지 않나요?

롯테를 사랑한다면서

죽을 때 총을 롯테 남편한테 빌리고

그걸 꺼낸 롯테 손이 떨렸다는 걸 기뻤다고 하고,

아무소리 안 했다고 섭섭해하고.

유서에 둘이 키스한 거.

롯테 입장에선 당한 거 거론하며 둘이 사랑했다 하고,

진짜 읽을수록 싫은 남잔데

대다수의 사람들은 안 그렇게 느꼈으니 그렇게 인기가 있었겠죠.

혹시 저같이 느낀분 없나요?

IP : 211.235.xxx.2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뭐냥
    '25.7.16 3:48 PM (61.8.xxx.61)

    그게 남성의 심리를 디게 정확하게 묘사해서 고전이
    된거같아요
    좋아하는 여자에 대한 미친 집착과 그 모든걸 다 죽음으로 표현했다는게
    미친놈인데 보통 남자들이
    실행하지 못하고 생각만 하는걸 한 거죠

  • 2.
    '25.7.16 4:52 PM (1.240.xxx.21)

    문학은 상식이냐 비상식이냐를 뛰어넘는 분야.
    그 책은 괴테의 높은 문학성이 빚어낸 수작

  • 3. ㅇㅇ
    '25.7.16 6:50 PM (46.138.xxx.88)

    저는 작가가 짝사랑의 열병의 경험이 있는 게 분명하다 느꼈어요. 같은 하늘 아래 있는 것에도 행복해하고 벅차한다는게.. 주로 베르테르에 감정이입이 된 채로 읽었네요 여자인데도 공감가던걸요

  • 4. ㅇㅇ
    '25.7.16 7:18 PM (59.9.xxx.125)

    베르테르는 사랑에 빠졌고, 그 감정이 절절한 건 맞아요.
    하지만 그가 사랑을 자기 고통의 미학으로 만들고,
    그 감정에 빠져 타인의 경계를 무시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그건 더 이상 "순수한 사랑"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자살에 쓸 총을 롯테의 남편에게 빌린 점

    그 총을 롯테가 직접 건넨 걸 기뻐하는 장면

    자기 죽음으로 롯테에게 죄책감을 떠넘긴 행위
    이건 정말 심리적 가학성이죠

    그의 감정은 너무도 진심이었겠지만,
    그 진심을 타인의 고통 위에 올려놓았다는 점에서
    일종의 폭력 아니냐"는 겁니다.
    사랑이 깊을수록, 그 사랑을 감당할 책임도 깊어져야 하고,
    자기 고통을 낭만화하며 남을 괴롭히는 건 사랑이 아니라 욕망의 집착이라고 생각해요.
    1700년대 작품이니까 그시절엔 낭만이었나봐요.
    지금의 시선으로 보면 폭력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7183 대한 민국의 주적은 누구라고 생각해요? 49 2025/07/16 2,386
1737182 강선우 임명해야겟네-펌 20 강선우 화.. 2025/07/16 4,710
1737181 기안84처럼 크게 성공하고 돈도 많으면 3 원샷 2025/07/16 3,518
1737180 요즘 이마트 새벽배송 알비백 내놔도 거기 안 담아주나요? 8 ㄴㄱㄷ 2025/07/16 2,306
1737179 은근 82에서 많은 직업군들 17 2025/07/16 3,820
1737178 정청래 박지원은 빙구됐네요? 15 ㅇㅇ 2025/07/16 6,321
1737177 직장 다니는게 좋네요 14 ㅇㅇ 2025/07/16 4,148
1737176 면접보러가려고 하는데요. 복장 좀 봐주세요. 7 ..... 2025/07/16 748
1737175 유퀴즈 대장암 박규주 교수님 7 2025/07/16 5,087
1737174 매일매일 사과에 땅콩버터 올려먹고 있는데.. 31 123 2025/07/16 19,046
1737173 며느리가 전업하면 못마땅 36 ..... 2025/07/16 6,412
1737172 반도체공장 근처사는거요 12 .. 2025/07/16 2,799
1737171 진정성 도리타령 1 ㅁㅈ 2025/07/16 604
1737170 다이슨 에어랩 17 현소 2025/07/16 2,778
1737169 왜 퇴근시간에만 비가... 2 초록 2025/07/16 974
1737168 “강선우 ‘취업 방해’ 직접 봤다”…청문회 위증 논란 19 라테향기 2025/07/16 3,189
1737167 장기임대 8년기한 못채우면 2 임대사업자 2025/07/16 1,725
1737166 3박5일 푸켓 갈까요 1 oo 2025/07/16 975
1737165 비오는 날은 도로 먼지 안 들어와요? 2 창을 열고 2025/07/16 1,043
1737164 플리츠 재질의 옷 8 플리츠 2025/07/16 2,619
1737163 지방은 인프라 떨어져 불편해서 어찌사나요 30 .. 2025/07/16 5,633
1737162 집에서 입을 얇은 브래지어 있을까요? 15 잘될꺼야 2025/07/16 3,055
1737161 사과브리치즈 샌드위치 해드셔보세요 9 .. 2025/07/16 2,771
1737160 각정용 제모기는 어떤 게 좋나요? .. 2025/07/16 199
1737159 지금 뉴욕인데. 두가지 놀란점 75 저는 2025/07/16 28,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