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단톡에서 카톡내용 지우기 가르쳐주세요

조회수 : 1,058
작성일 : 2025-07-07 15:14:16

단톡에서 카톡내용을 5분내로 지우면 상대방은 확인 할수 없는거 맞나요?

IP : 104.28.xxx.20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딩동댕
    '25.7.7 3:25 PM (211.234.xxx.188)

    제곧내

    그전에 본사람눈은 어쩔수 없고요

  • 2. 원칙적으로
    '25.7.7 3:38 PM (180.228.xxx.184)

    삭제 가능하지만
    카톡 미리보기 기능 킨 사람들은 이미 봤을 가능성이 많고
    갤럭시 사용자라면 노티스타 기능 쓰면 따로 알림창에서 메시지 저장되서 삭제해도 볼수 있구요. 이게 원래 내가읽었다는 흔적 안남기려고 해서 나온 기능이라서 따로 카톡이 저장되는 시스템이요.
    그래서 삭제한다 해도 누군가 봤을 확률 크구요. 그래서 단톡은 사진같은거 바로 못보내게. 챗도 한번 더 뭘 눌러야 입력가능하게 해놔야 실수 안해요. 참고하시라고 인터넷에서 긁어서 붙입니당.

    카카오톡 단체채팅방(단톡방) 중에 말을 조심해야 하는 채팅방에 입력 잠금을 걸어놓고, 채팅을 할 때마다 잠금을 해제한 후 입력을 하면 말실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카톡 채팅방 입력 잠금 방법은 간단한데, 잠금 처리하고자 하는 채팅방에 들어가서 우측 상단의 가로줄 세 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 후 나타나는 메뉴 창에서 우측 하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채팅방과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화면 가운데 부분에 '채팅방 설정' - '현재 채팅방 입력창 잠금' 항목이 비활성화 되어있을텐데요. 이를 활성화시키기만 하면 됩니다. 채팅방 입력창 잠금을 설정하면 해당 채팅방의 입력창 부분에는 '대화에 주의가 필요한 방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또한 채팅 입력을 하려고 해도 활성화가 되지 않으며 우측의 노란색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야만 채팅방 입력 잠금이 해제가 됩니다.
    잠금을 해제하고 난 후에서야 원하는 채팅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뒤로 가기'를 했다가 다시 채팅방에 접속하면 잠금 해제를 다시 해주어야 합니다.약간 번거로울 수도 있지만 자주 말을 해야 하는 채팅방이 아니면서, 말하는 것에 주의를 해야하는 방이라면 이런 식으로 잠금 설정을 해놓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3866 하드 뭐 좋아하세요? 29 ㅇㅇ 2025/07/07 2,662
1733865 아프십니다. 8 에어컨 2025/07/07 2,647
1733864 와~ 경향신문 이유진 기자 17 .. 2025/07/07 5,952
1733863 수박가격너무하지않나요 48 수박 2025/07/07 18,581
1733862 부모님은 자식의 나이에 따라서 돌아가실때 충격이.?? 7 .... 2025/07/07 3,352
1733861 통영에 가면 해수욕을 어디에서 하나요? 9 문의 2025/07/07 917
1733860 타운홀 미팅 궁금해요 2 .. 2025/07/07 828
1733859 54세 러닝시작할까요?말까요? 22 다이어터 2025/07/07 4,708
1733858 저는 윈터보다도 노래와 안무를 더 좋아했었거든요. 3 체%% 2025/07/07 1,049
1733857 재수생 아들 소비패턴 10 소비 2025/07/07 3,420
1733856 F1더무비 재밌어요! 빵은 늙었어도 멋있음. 2 아이스아메 2025/07/07 1,703
1733855 외국도 밑반찬 같은거 있나요~~? 2 미리만드는 2025/07/07 1,824
1733854 단어가 생각이 안나는데.. 고깃집에서 불관리하는 사람. 13 2025/07/07 2,270
1733853 대학 병원 옮기는 법 문의 4 ... 2025/07/07 1,169
1733852 김종인 명태균 관계 9 . 2025/07/07 2,323
1733851 집보러 갈때 비오면 어떻다하는 속설이 있나요 9 wm 2025/07/07 1,560
1733850 소견서나 진단서는 꼭 본인이 가야 발급받을 수 있나요? 2 ㅇㅇ 2025/07/07 834
1733849 이재명 정부 너무 꼼꼼하네요 9 2025/07/07 4,211
1733848 하얀 색 5mm정도되는 가늘고 긴 벌레 뭘까요 10 .... 2025/07/07 2,758
1733847 호주 ㅡ카페인 ㅇㅇ 2025/07/07 907
1733846 한식뷔폐갔다가 충격 ㅜㅜ 46 ..... 2025/07/07 37,368
1733845 수학 방학특강 비싸네요? 과외가 나을까요? 3 .. 2025/07/07 1,442
1733844 지금 걷기 하시나요? 3 .. 2025/07/07 2,295
1733843 실비와 비보험 1 잘몰라요 2025/07/07 995
1733842 탈모약 먹으면 가슴몽우리 생기기도 하나요? 3 질문 2025/07/07 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