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기 먹거리 이것만큼은 신경쓴다! 있나요?

수박 조회수 : 743
작성일 : 2025-07-03 12:49:45

13개월 아기에요. 어린이집 다니고 학교 다니면 아기 때 신경써서 먹인거  다 소용없다지만 그래도 이것만큼은 신경쓴다...있을까요?

 

전 달걀은 무항생제 난각번호 1번. 고기류는 무항생제. 쌀은 집에서는 아기밥은 두돌까지는 유기농. 이상하게 바나나와 브로콜리는 유기농 먹이고 싶고 과자는 최대한 늦게 주고 싶네요.

 

IP : 118.32.xxx.219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7.3 1:03 PM (39.118.xxx.199)

    뽀로로니 요구르트 등 아기때
    유기농 먹이는 것 보다
    덜어내기에 집중하세요.

    단 음료 맛 들이지 마세요.
    요즘 젊은 MZ들 과당음료에 병 들어 갑니다. ㅠ
    진짜 후회돼요.
    보리차, 옥수수차 끓여 먹이세요.
    프랑스 아기들은 무조건 생수라더군요. 집에서 음료 대신 물 음용 훈련시킨다고 하더라고요.
    중딩되면 통제하기 어려우니 초딩때만이라도

  • 2. ㅎㅎ
    '25.7.3 1:05 PM (123.212.xxx.149)

    저도 그랬어요.
    그리고 간 약하게 하고 최대한 다양하게 먹였더니 지금 무슨 미식가 납셨네요.
    어릴 때라도 제 마음대로 잘 먹인것에 감사합니다.

  • 3. 원글
    '25.7.3 1:08 PM (118.32.xxx.219)

    맞아요. 지금 보리차 먹이고 있어요. 생수 끓여서 먹였는데 물 믾이 먹어야하는데(기관지염) 잘 안먹기래 보리차 먹이니 잘 먹어서 다행이에요.

  • 4. 플랜
    '25.7.3 1:11 PM (125.191.xxx.49)

    쌀이나 잡곡은 잘 씻으면 농약 잔류가
    없어져요
    굳이 유기농 안먹여도 됩니다

    신선한 채소 골고루 먹이는것도 좋아요

  • 5. ...
    '25.7.3 1:19 PM (112.187.xxx.87)

    충치도 조심하세요. 절대 같은 수저를 쓴다거나 같이 먹거나 하는 거 조심하세요. 첫째는 몰라서 5세부터 치과 다녔는데, 둘째는 철저히 신경썼더니 고등학생인데 아직 충치 치료한 적이 없어요.

  • 6. 환경호르몬
    '25.7.3 3:49 PM (14.138.xxx.159)

    조심하면 좋죠.
    보리차도 티백이 아닌 유기농 알곡으로 탄 거 골라내서 끓여주고,
    플라스틱컵이나 접시는 웬만하면 사용금지.
    물도 페트병 물 사용하지 말고 끓여마시고 외출시엔 보온병에..
    아니면 에비앙유리병물 사서...
    초등전까지 수저랑 컵은 가지고 다녔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3220 "조선일보의 이진숙 후보 논문표절 기사는 언론윤리 위반.. 4 ㅅㅅ 2025/07/04 1,900
1733219 적당한 사자성어나 속담이 안떠올라요 ㅜㅜ 18 급질 2025/07/04 1,576
1733218 유재석과 이효리는 언제 만나도 잘 어울리네요 6 .. 2025/07/04 2,349
1733217 예전 이산가족 상봉 장면 웃긴거 있네요 ㅎㅎ 3 ㅇㅇ 2025/07/04 1,776
1733216 대통령 대전 미팅 난리네요.. 47 .. 2025/07/04 22,317
1733215 경조사후 인간관계 7 이경우도 2025/07/04 1,987
1733214 국산완두콩 어떻게 믿고 사죠? 3 ㄱㄴ 2025/07/04 893
1733213 영양제 한알 한알 드시나요? 2 영양제 2025/07/04 1,051
1733212 먹방 유튜버 햄지 누구 닮은지 생각났어요 4 .... 2025/07/04 1,739
1733211 수험생 의자 방선 추천 부탁드려요 엉덩이가 아프다네요 4 주니 2025/07/04 469
1733210 수수한 살림 유투브 알려주세요. 7 살림 2025/07/04 2,030
1733209 수행평가가 공부 못하는 애들을 위한 제도인가요? 26 수행평가 2025/07/04 2,725
1733208 (스포)성해나 혼모노 보신분들 단편 잉태기.. 4 ㅡㅡ 2025/07/04 957
1733207 딸들 징징 어떻게 대처하세요?? 16 힘들다 2025/07/04 3,355
1733206 6기 현숙과 4기 정수 6 2025/07/04 2,545
1733205 중고등 아들들 왜 이렇게 보고?확인?을 할까요? 16 ... 2025/07/04 2,449
1733204 작은방 작업실 컴퓨터책상 배치를 대각선으로 놨어요 혼자 2025/07/04 352
1733203 내일 결혼식에 2 .. 2025/07/04 1,510
1733202 나솔 17옥순 18 . 2025/07/04 4,197
1733201 [정정보도] 정동영 일가 태양광... 옆 집 것을 잘못봤음 18 ㅅㅅ 2025/07/04 4,773
1733200 대학원생 전입신고는 어떻게 지원금 2025/07/04 414
1733199 날개뼈 아래 통증이 오래 가네요 7 다나 2025/07/04 1,094
1733198 물려받을 거 없는 외동 아들 14 노후 2025/07/04 4,887
1733197 2차전지 어떻게 보십니까? 13 휴.. 2025/07/04 3,355
1733196 전세처음 구하는데 이게 무슨 말일까요 17 aa 2025/07/04 3,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