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ㅇㅇ
'25.7.1 8:50 AM
(218.234.xxx.124)
이미 진행 되어 교정되었어야할 많은 부분이
윤수괴의 거부권 으로 막혔다 가
이제 정상화되어 가는 거죠
말아먹어도 말아먹어도 이리 말았을까..
평양엔 무인기 빙빙 돌리질 않나. 싸이코
2. 그게
'25.7.1 8:54 AM
(118.235.xxx.205)
푸는 것도 그렇게 쉬워요.
문재인정부에서 금리 하락기에 15억 이상 집 대출규제해서
15억 이상 대출 가능금액이 0원이었거든요.
윤석열이 23년에 그 규제를 풀었어요.
이번 6억 대출 한도도 푸는 순간 폭발이고
언제라도 안 풀 수가 없어요.
3. 그것이
'25.7.1 8:55 AM
(211.206.xxx.191)
10년이나 사회에 큰 이슈였고
사회전반에 끼친악영향이 크고
원인을 진화하면 되는데 모두가 알면서도 안 했던 일을 하는데
암묵적인 합의가 되어 있던 상태라서 가능.
10년 동안 안 하고 미뤄뒀던 일이라 가능.
부동산공화국 오명 벗고 건강한 사회로 가기 위한 길이니까요.
독일 부동산은 어떤가요?
집이 주거여야지 투기가 되면 안 되는 거잖아요.
4. 어찌보면
'25.7.1 8:56 AM
(118.235.xxx.143)
7-8년 걸린거예요. 문정부때 했어야되는데 코로나 때문에 할 수가 없었고 윤정부는 뭐... 반대로 갔고요. 다 아는 건데 안하고 있었고 할 생각이 없다가 공무원들이 일을 하는거죠.
5. 원글이
'25.7.1 9:00 AM
(217.230.xxx.99)
제가 여기 공관에서 일하거든요
여긴 부동산 시장은 정부가 적극 개입하지 않고
행정안보단 법룰안이 우선되어서 절차상으로라도 저렇게 빠를 수가 없거든요
법률안 → 전문가 위원회 → 주 정부 협의 → 공청회 → 연방하원(Bundestag) 표결 → 시행 뭐 이런 식이라 기본 몇년입니다 ㅎㅎㅎㅎ
6. ...
'25.7.1 9:03 AM
(220.79.xxx.74)
문재인정부 때 대출 규제 했어요.
9억까지는 최대40%밖에 대출 못받았고
9억 이상부터 15억 미만은 최대 20%밖에 못받았고
15억 이상은 대출 안됐어요. 0원.
그래서 15억 미만에도 대출 최대 4.8억 정도밖에 안됐어요.
그 규제 푼 사람이 윤석열이고
이번 6억 대출 규제는 23년 이전 15억 이상은 0원 이었던
대출 금액을 6억원까지는 받을 수 있게 된 거 같은데요.
7. 그게
'25.7.1 9:05 AM
(149.167.xxx.19)
반대로 말하면 그 만큼 이상한 정책들로 부동산이 이지경인거 같아요
외국에 사는 저 조차도 저 정책 때문에 집 못사는 사람들 많겠다 싶어 안타까웠는데 매불쇼에 이광수님 나오는거 보니
결국은 집값이 하락하게되니 그게 더 좋은거라 하더군요,
더 큰그림을 그리고 하는 정책인거 같아요.
땅이 있는 집도 아니고 아파트가 말도 안되게 비싼건 말이 안되는거 맞아요
이번에 제대로 잡혀서 모두들 집 때문에 마음 안 상했으면 좋겠어요
그동안 잘못된 정책으로 돈 번 사람 많은건 사실입니다
외국은 그런식으로 부동산에서 돈을 못 벌거든요
8. 그만큼
'25.7.1 9:05 AM
(121.137.xxx.192)
사회도 변화무쌍하니까요. 직전에 미친듯 집값이 오르고 있으니 불끄는 경우랄까요
9. ..
'25.7.1 9:10 AM
(1.235.xxx.154)
그저 놀랍지요
변화무쌍..
10. 원글님
'25.7.1 9:14 AM
(118.235.xxx.71)
독일은 세입자 1번 들어가면 거의 원하는 만큼 살 수 있다는데 현실은 어떤가요?
그리고 정말 세입자 면접도 보나요? 궁금했어요 ㅎㅎ
11. ᆢ
'25.7.1 9:16 AM
(219.241.xxx.152)
-
삭제된댓글
그런 빠른 규제로 문재인이 25번 대책이라고 내 놓고는
강남 7억집이 22억 만들었죠
12. ᆢ
'25.7.1 9:18 AM
(219.241.xxx.152)
그런 빠른 규제로 문재인이 25번 대책이라고 내 놓고는
강남 7억집이 22억 만들었죠
10억집은 30억
13. 그만큼
'25.7.1 9:22 AM
(211.206.xxx.191)
지난 시간이 비정상적이었고 부동산이 사회의 암적이 존재였으니
이번에 제발 정상화되어 다음 세대도 부동산 걱정은 없는
세상이 되었으면 합니다.
집이 주거여야지
근로 소득을 비루하게 만드는 투기가 되어서는 안 되는 거잖아요.
그러니 다른 나라는 부동산을 시장에 맞기는 게 맞고
우리도 그 토대를 만들어야지요.
다만 정권이 바뀌면 부동산 정책이 바뀌지 못하게 대책을 세워야 해요.
노무현 대통령이 부동산 정책 올바르게 세웠지만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
정부가 언론, 건설사와 담합해 이지경 까지 만든 겁니다.
부동산으로 돈 번 사람들은 아 몰랑~ 하며 너도 나도 부동산으로 돈 벌려고
혈안이 되어 있었고 그 트랙에 오르지 않으면 바보 취급하고.
또 하나 노후 대책을 부동산으로 하는 비중이 너무 커서
이제 그 부분도 변화가 있어야 하고요.
14. ...
'25.7.1 9:24 AM
(1.237.xxx.240)
독일은 갭투기 없잖아요
15. 그렇게 좋은
'25.7.1 9:25 AM
(119.71.xxx.160)
정책을 대통령실에서는 발뺌했죠?
왜요
암튼 잘되면 다 석렬이똘마니 장관 덕분이네요. 이재명은 스스로
이미 발뺌했으니. 근데 잘되면 아마 그 공은 가로챌 듯.
석렬이 똘마니 공이라고는 절대 안하겠죠
잘못되면 석렬이똘마니가 다 책임지는 거죠. 비정상적인 정부네요.
16. 문통과는다름
'25.7.1 9:26 AM
(106.101.xxx.63)
문통은 조중동비롯 경제지 부동산카페등에서 징징거려
여론 만들면
주춤하며 눈치보며 구멍 만들어줬구요
이통은 달라요
제가 문통 초반에 이사하며 집을 못 사서 여태
무주택자 신세라 잘 아는데
사람은 좋은데 하는 일은
진짜 속 터지는 스타일이었고(문통뽑았던사람)
이통은 신속정확단호
스타일이 달라요.
17. 금액정정
'25.7.1 9:41 AM
(211.106.xxx.227)
-
삭제된댓글
문재인대통령때 12억이상 대출이 안됐었습니다. 제가 그 시기에 분양받을때 그랬었거든요
18. 쉽게
'25.7.1 9:44 AM
(168.126.xxx.235)
만드니 계속 새로운 정책이 쏟아지죠.
19. 독일은
'25.7.1 9:45 AM
(211.235.xxx.30)
내각제인데다
지방분권도 거의 미국 수준으로 주마다 강하게 존재하고
정당마다 색도 뚜렷하고
무엇보다 위 댓글에서 언급하신 공청회 즉 컨설테이션 기간이 엄청 지난하고 빡세죠
한국도 공청회와 예고기간을 두긴 하지만
이번에 부동산정책은 대통령제 시스템의 새 리더가 등극해서 탑다운 방식의 전형을 보여줬기에 가능하다고 봐요
20. 명언
'25.7.1 9:47 AM
(211.235.xxx.30)
집이 주거여야지
근로 소득을 비루하게 만드는 투기가 되어서는 안 되는 거잖아요
222222222222222
21. 독일도
'25.7.1 9:51 AM
(223.38.xxx.1)
한동안 집값 폭등으로 난리났었어요.
독일도 집으로 재테크 합디다.
제가 월세 살던 아파트 집주인은 평범한 직장인이었는데 월세 준 집이 세채..ㅎㅎㅎ
촌동네인데도 월세가 ㅎㄷㄷ
주차장도 따로 돈 내야 하고..
22. 그러다가
'25.7.1 10:34 AM
(175.211.xxx.92)
장마로 물이 불어나면 댐 수문 열죠?
그게 정책입니까?
그냥 메뉴얼에 따라 하면 되는 건데 그동안 안하다가 대통령이 바뀌니 일을 한거라고요.
23. 대통령실에서
'25.7.1 11:33 AM
(223.38.xxx.143)
만든게 아니라고 하던데요?
24. 프랑스에서도
'25.7.1 11:53 AM
(211.235.xxx.117)
뭔가 시행하려면 최소 3개월 이상인데 한국은 그 다음날
착수한다는거에 입을 딱 벌린대요
25. 부동산 규제를
'25.7.1 12:30 PM
(1.220.xxx.83)
20번 넘게 고친 문정부도 있었는데요
뭐 새삼스럽게 ㅎㅎㅎㅎㅎ
26. 원글이
'25.7.1 12:46 PM
(217.230.xxx.99)
윗님이 물어보셔서…
독일은 전세가 없고 부동산 관련세가 9-11% 랍니다
100억집 사려면 10억 현금으로 세금 내야해서 사고 팔고 쉽지 않아요
아시겠지민 전세 없고 월세만 있고요
갭투자 없고 대출 투자 하시는 한국 분들은 더러 봅니다
네 그리고 집주인이 면접 봐요
1차 서류 면접 보고, 그중에 추려서 실제 면접도 본답니다
세입자는 한번 들이면 오래 사니까
집을 구할땐 집주인이 갑
나가기 전까진 세입자가 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