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도시 살면서 자녀 지역 내 과밀학교 보내기 vs 멀리 이웃지역 학교 보내기

ㅇㅇ 조회수 : 819
작성일 : 2025-06-20 14:03:09

신도시에 살면서 자녀를 멀리 이웃동네 학교로 보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모 신도시는 젊은 사람이 많아서 육아와 사교육에서 편리한 점이 많지만

학생수가 많아서 과밀학급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학교를 더 늘려야하는데 학생수 감소 이슈로 학교 신설이 안되다보니 구도심지역에서 학교를 옮기거나 폐교를 시켜줘야 해서

학교 늘리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대요

 

그런 상황에서 대중교통으로 30분 이상 걸리는 이웃지역 학교로 자녀를 진학시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 이웃지역은 학생수 감소로 학급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학급 당 학생수 20명 정도로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고

역사가 오래된 사립고등학교들이 꾸준히 진학성적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신도시의 공립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내신경쟁이 덜하다는 점이 

진학시 좋은 점으로 받아들여지는가보더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매일 아침 출근길에 고등학생 자녀 차에 태워서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거

아무리 같은 방향이라지만 쉬워 보이진 않던데

 

IP : 58.239.xxx.23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5.6.20 2:14 PM (118.235.xxx.245)

    과밀학급이 내신받기 좋죠

  • 2. ㅇㅇ
    '25.6.20 2:21 PM (58.239.xxx.234)

    넝쿨님
    비슷한 조건이면 그럴건데
    중학생들 공부수준이 차이가 꽤 나나봐요.
    신도시지역이 공부를 더 잘하고 이웃의 구도심은 공부를 못하고
    그런데 대입진학성적은 구도심 사립학교들이 좋고

  • 3. 아마
    '25.6.20 2:22 PM (175.211.xxx.92) - 삭제된댓글

    학생수가 많아야 내신받기 좋은데요???
    게다가 초등도 아니고 고등이 그런 이유로 전학을 하지는 않죠.

    아마 밝힐 수 없는 전학의 사유가 있을 거라는 게 오히려 납득할 만할거 같은데요.

  • 4. 넝쿨
    '25.6.20 2:37 PM (118.235.xxx.101)

    고등학교는 그정도 멀리가는건 흔해요
    그 아이도 전략적으로 간듯요

  • 5. ㅇㅇ
    '25.6.20 2:38 PM (58.239.xxx.234)

    전학을 하는 게 아니라 진학이요. 입학원서에 1지망학교를 이웃지역 학교로 쓴다는 거에요. 내신을 안정적으로 받는 건 학교 규모가 클수록 유리한 게 맞는데 그 동네 사립고가 10년전까지만해도 한 학년 15학급이 넘어가던 큰 학교래요. 학생수가 많이 줄긴했어도 한 학년 200명은 넘고. 그런데 그 지역 중학생들은 공부를 잘못하고. 그렇다더라고요.

  • 6. .....
    '25.6.20 4:42 PM (211.234.xxx.244)

    고등학교는 전략적으로 멀리 가는 경우도 꽤 있어요.
    데려다 주고 데려오는 게 힘들긴 한데
    본인이 감수한다는 거면 뭐...

    저는 직장 다녀서 등하교 라이드는 못 하겠어서
    그냥 동네 성적 좋은 대신 학생수 적은 동네 학원 보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8380 이재명 대통령, 통일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2 .. 2025/06/21 1,116
1728379 어떡해요 ㅋㅋㅋ 전광훈 집회엔 60명 남짓-"尹부부 구.. 8 ㅇㅇ 2025/06/21 5,345
1728378 최근 10년 동안 계층간 사다리가 완전히 막힌 것 같아요 18 .. 2025/06/21 3,659
1728377 떠들다 걸린 초등 4학년이 담임한테 하는 말 9 !헐 2025/06/21 4,793
1728376 싫어하는 채소가 없어요 8 ㅇㅇ 2025/06/21 1,388
1728375 특검과 상설특검의 차이가 뭐예요? 1 ㄴㄱ 2025/06/21 505
1728374 최고의 복수는 내가 잘 사는 것이잖아요? 5 ㅡㅡ 2025/06/21 2,175
1728373 예전에 잼프 아들 건도 주진우가 기획한듯 11 나름 2025/06/21 2,773
1728372 70대 중후반 취미 뭐가 좋을까요? 13 ........ 2025/06/21 3,267
1728371 유퀴즈의 장례지도사 10 장례 2025/06/21 4,735
1728370 한동훈 측 "김민석 '불법자금 수수 사건' 수사 안 했.. 5 .. 2025/06/21 2,917
1728369 아파트 안마의자 사용 시간 매너 2 .. 2025/06/21 1,583
1728368 아르바이트할때 트라우마 있는 저. 어떡하나요? 6 ..... 2025/06/21 1,459
1728367 머플러를 다림질만 한 세탁업체 5 싫다 2025/06/21 1,969
1728366 정수기 물 드시는 분들 안끓이고 그대로 드시나요~? 9 .. 2025/06/21 2,372
1728365 고불거리는 머리카락 3 ㄱㄱㄱㄱ 2025/06/21 1,544
1728364 배우 이선균이 너무 안타깝네요 마약수사 57 ㅇㅇ 2025/06/21 16,478
1728363 "전두환 시절, 민교투 사건 검사 아들"…'김.. 5 ㅇㅇ 2025/06/21 1,478
1728362 이재명 시장시절 4 동상이몽 2025/06/21 1,541
1728361 아토피 있으면 보건증 못 받나요? 2 ... 2025/06/21 1,093
1728360 법사위원장 달라고 윽박지르는 국힘 12 ㅇㅇ 2025/06/21 2,287
1728359 말이 엄청 엄청 쎈 직장 동료 ㅜㅜ 4 ……… 2025/06/21 3,110
1728358 로스쿨 때문에 요즘은 변호사가 너무 많네요 11 .. 2025/06/21 3,914
1728357 아이가 직업군인을 하겠대요 23 ㅇㅇ 2025/06/21 3,862
1728356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평당 2억 15 2025/06/21 3,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