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문직의 정의가 뭔가요

요새는 조회수 : 2,950
작성일 : 2025-06-15 16:56:55

전문 자격증이나 학위가 있어야 할 수 있는 직업. 소위 '사'자.

연봉 높고 근무시간도 비교적 유동적인, 자기 선택이 가능한 직업.

사무실 비서나 보좌진, 유용할 수 있는 지원금도 많은 편.

정년도 있다면 일반 사무직 보다는 훨씬 긴 편.

이 정도인가요.

저는 제가 전문직이라고 생각했는데 연봉은 별로거든요. 대신 시간 사용은 아주 자유로워요. 밑에 전문직이라 미용실 갈 시간 없다는 분 얘기를 듣고 궁금해졌어요. 요즘 전문직은 정의가 달라졌을까요.

IP : 86.135.xxx.56
3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6.15 4:58 PM (61.255.xxx.154)

    은행에서 전문직 대출이 나오는지가 진짜 전문직

  • 2. ㅇㅇ
    '25.6.15 4:59 PM (222.233.xxx.216)

    문과 8대 전문직
    이과 8대 전문직
    국가고시 자격필수직 아직도 그대로 아닌가요?

  • 3. ...
    '25.6.15 4:59 P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전문직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업으로, 일반적으로 전문화된 교육 과정을 거쳐 고도의 지적 작업을 수행하는 직업을 말합니다. 사회적 책임이 크고, 해당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흔히 의사, 변호사, 공인회계사, 변리사 등의 직업을 전문직이라고 부릅니다. 전문직 정의까지 갈 필요가 있나요.. 당장 은행가서 전문직 신용대출로 대출 받을수 있으면 직업인가요.??

  • 4. ㅇㅇ
    '25.6.15 4:59 PM (114.206.xxx.112)

    의사 한의사 약사 치과의사 수의사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감평사 노무사?

  • 5.
    '25.6.15 4:59 PM (118.235.xxx.79)

    그 분은 법조계일듯..
    의사가 서류 보느라 뭐 할시간이 없긴요

    그냥 성격임.
    은행 대출 잘 나오면 전문직

  • 6. ㅇㅇ
    '25.6.15 5:00 PM (49.164.xxx.30)

    친구가 치위생산데 스스로 항상 나같은 전문직들은..이래요.

  • 7. ㄷㄴㅁㅂㅇ모ㅓ
    '25.6.15 5:01 PM (175.223.xxx.49)

    원글님 직업이 궁금하네요
    시간이 많은건 일이 적어서인가요?
    실력 인정받으면 일 많을것 같은데요
    변호사든 의사든 클라이언트틀이 많아지니까요

  • 8. ...
    '25.6.15 5:02 PM (114.200.xxx.129)

    취위생사가 무슨 전문직이예요.그거는 기술직이죠.
    취위생사로 치과 개업못하잖아요..

  • 9. ㅇㅇ
    '25.6.15 5:02 PM (114.206.xxx.112)

    치위생사 미용사 이런건 기술직이고요

  • 10. ..
    '25.6.15 5:04 PM (114.200.xxx.129)

    전문직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업으로, 일반적으로 전문화된 교육 과정을 거쳐 고도의 지적 작업을 수행하는 직업을 말합니다. 사회적 책임이 크고, 해당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흔히 의사, 변호사, 공인회계사, 변리사 등의 직업을 전문직이라고 부릅니다. 전문직 정의까지 갈 필요가 있나요.. 당장 은행가서 전문직 신용대출로 대출 받을수 있으면 직업...

  • 11. 동네엄마
    '25.6.15 5:05 PM (114.207.xxx.6)

    영양사이신데 본인이 전문직이라고 하시더라고요

  • 12. ㅇㅇ
    '25.6.15 5:06 PM (14.5.xxx.216)

    진입장벽이 높고 개업이 가능한 직업

  • 13. .....
    '25.6.15 5:08 PM (112.166.xxx.103)

    전문적인 능력이 팔요한 직업과

    직문직은

    다르죠.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약사는 전문직이고
    간호사 치위생사는 전문직이 아닙니다.

  • 14. 그래서
    '25.6.15 5:11 PM (116.47.xxx.149)

    원글님 직업은 뭔가요?

  • 15. 저는
    '25.6.15 5:19 PM (86.135.xxx.56)

    직함은 교수인데 박사학위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전문 자격증과 현장 경험도 많아야 되는 분야에요. 수입은 자기 하기 나름이라서, 제 동료들 중에는 여기저기 프로젝트 많이 벌려서 세계적으로 돌아다니면서 이것저것 따내고 성과 올리고 명성뿐만 아니라 부를 착실하게 축적하는 친구들도 많은데요. 전 20대 중반부터 30대 중반까지 엄청 열심히 해서 어느 정도 입지를 구축한 다음부턴 애낳고 키우면서 일은 사부작 사부작 하고 있어요. 이제 아이 고딩 되고 보니 앞으로 10년 후에 은퇴할 목표로 다시 일을 좀 열심히 해야겠다 생각은 하고 있는데요, 그렇게 안 해도 누가 뭐라 할 상황은 아니네요.

  • 16. ..
    '25.6.15 5:22 PM (115.143.xxx.157)

    초고소득 전문직을 주로 일컫는거죠
    원글님도 전문직종은 맞는데
    사람들이 주로 인정하는 태도로 말하는 전문직은
    의사 약사 변호사 같은 초고소득직종을..

  • 17. ㅇㅇ
    '25.6.15 5:27 PM (14.5.xxx.216)

    교수는 전통적인 의미의 전문직은 맞는데
    현대적 의미의 단독 개업이 가능하다는 기준에는 안맞죠

  • 18. 교수
    '25.6.15 5:29 PM (211.186.xxx.7)

    교수는 전문직 아니에요

  • 19. wii
    '25.6.15 5:58 PM (211.196.xxx.81) - 삭제된댓글

    자격증 가지고 개업할 수 있어야 돼요. 판 검사는 그만 두고 변호사 개업 가능하고. 의사 치과의사 회계사 다 개업 가능하죠. 교수는 아니고요. 치위생사 간호사는 개업이 안 되죠.

  • 20. 더뫃죠
    '25.6.15 6:10 PM (221.147.xxx.20)

    음 저도 교수입니다만 사실 사이버대도 많고 강사도 많고
    전문직은 아니죠
    학교가 어디고 논문이 학계에서 얼마나 평가받는 위치인지 등등
    대단한 업적이 있어도 인정받을까말까이죠

  • 21. ..
    '25.6.15 6:42 PM (211.235.xxx.11)

    아..김건희도 교수인데~ 지송
    숙대석사 취소됐다죠.

  • 22. 엄밀히
    '25.6.15 7:00 PM (183.97.xxx.222) - 삭제된댓글

    그사람 아니면 대처할수 없는 직종.
    기술직(유명 쉐프, 유명 헤어 디자이너 등등까지) 이라도 오직 그사람을 대신할수 없을 정도의
    능력자면 전문직이라고 할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선 일반적으로 고학력의 고위직이나 사짜 직업을 의미하네요.

  • 23. ㅇㅇ
    '25.6.15 7:35 PM (14.5.xxx.216)

    요리사나 미용사를 전문직이라고 할순없죠
    아무리 성공해서 유명해졌다고 해도요

    애초에 그직업을 가지려고 하는데 진입장벽이 높은직업들을
    말하거든요
    의사 변호사 판사 검사 변리사 같은 직업들

  • 24. ...
    '25.6.15 7:41 PM (183.103.xxx.73)

    개업을 할수있어야해요.교사나 간호사도 일의 직종으로 보면 전문성이 있지만 전문직이라고 못하는게 개업을 할수있어서 수익을 창출할수있는 분야가 소위 은행에서 말하는 전문직종이 될수있어요.

  • 25. ㅇㅇ
    '25.6.15 7:49 PM (14.5.xxx.216)

    위에도 썼지만
    진입 장벽이 높고 개업이 가능한 직종들
    즉 의사 변호사 변리사 약사 세무사 감평사 같은 직종이 전문직이죠
    판사 검사는 이미 변호사 자격증이 있으니 당연 전문직이고요

  • 26. 보통전문직
    '25.6.15 7:56 PM (211.58.xxx.161)

    의사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약사 감평사 노무사 세무사

  • 27. 사자만?
    '25.6.15 8:25 PM (116.32.xxx.155)

    전문직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업으로, 일반적으로 전문화된 교육 과정을 거쳐 고도의 지적 작업을 수행하는 직업을 말합니다. 사회적 책임이 크고, 해당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교수는요?

  • 28. ㅎㅎ
    '25.6.15 9:40 PM (220.65.xxx.232)

    자기딸이 전문직이라고 하도 자랑을 하길래 봤더니 간호사

  • 29. ..
    '25.6.15 9:44 PM (112.166.xxx.103)

    교수는 전문직이 아닙니다 2222

  • 30. 전문직 아님333
    '25.6.15 11:04 PM (182.221.xxx.39)

    교수도 고용되는 직업이잖아요.
    그런 의미에서 전문직 아님.

  • 31. ;;;
    '25.6.15 11:58 PM (110.15.xxx.203)

    아무리 유명해도 요리사나 미용사가 전문직이라할순 없죠.그냥 유명한 요리사,유명한 미용사이고 기술직일뿐.

  • 32. 엄연히
    '25.6.16 12:04 AM (110.15.xxx.203)

    통용되는 8대 전문직이있는데
    가끔 자신도 전문직이라 지칭하는 사람들 이상함.
    특히 간호사와 교사들이 많이 그러는것같고.

  • 33. ...
    '25.6.16 2:18 AM (89.246.xxx.249)

    의사 변호사 판사 생각 나요.
    그 아래 회계사등등 떠올라요.
    시험 통과 전문자격증 있는 지적인 직업. 고소득 기술직을 전문직이라고 하진 않죠.
    아무나 할 수 없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7436 앱테크 뭐 하세요? 1 뭐시냐 2025/06/18 931
1727435 허구헌날 대문에 걸리는 저여잔 글이 며느리가 쓴걸로 보이죠? 9 ㅁㅁ 2025/06/18 1,782
1727434 자녀 외국 인턴보내기 11 hani 2025/06/18 1,174
1727433 간만에 고정닉으로, 그냥 사는 이야기. 21 헝글강냉 2025/06/18 2,574
1727432 (스포주의)신명 아는 만큼 보인다. .. 2025/06/18 936
1727431 며느리 질투하는 시모 행동 1 2025/06/18 1,916
1727430 0%대 성장인데 주가·집값만 高高 … '거품경제'로 거덜난 '일.. 9 ... 2025/06/18 1,050
1727429 맛없는 김치 묵은지로라도 구제하고픈데… 6 ㅡㅡ 2025/06/18 693
1727428 위고비 한달치로 두달 쓰는 법 있다던데요 3 ㅇㅇ 2025/06/18 1,552
1727427 7만명 몰린 후덜덜한 68억짜리 미국 영주권 6 링크 2025/06/18 1,875
1727426 제가 있는 비공개맘카페들에서도 카페를 통한 후원은 안하기로 했어.. 근데 2025/06/18 477
1727425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실 –  윤석열 김건희 내란세력과 정치검.. 2 ../.. 2025/06/18 705
1727424 김민석 후원계좌로 응원 좀 해주세요 9 ㅇㅇ 2025/06/18 1,302
1727423 한번 찌면 안빠지는 살이 6 ㅣㅣ 2025/06/18 2,068
1727422 [가짜뉴스] "캐나다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만 패싱?&q.. 5 ㅅㅅ 2025/06/18 1,892
1727421 쇼핑백 버리기 노하우 부탁해요 12 .. 2025/06/18 2,506
1727420 2찍들이 극성이네요. 어째요. 그래도 대통령은 이재명인걸 ㅎㅎㅎ.. 14 ... 2025/06/18 1,020
1727419 뜸하고 멀어진 친구가 13 ㅇㅇ 2025/06/18 3,593
1727418 김민석 총리 후보 4 ㅇㅇ 2025/06/18 1,353
1727417 클릭, 댓글 달지 맙시다. 글을 새로 쓰세요 27 자자 2025/06/18 546
1727416 사전연명치료거부 결정서 작성할때 궁금한게 있는데요. 7 연명치료 2025/06/18 802
1727415 지혜나 멘토가 없는 사람은 무슨노력을 해야할까요? 11 지혜 2025/06/18 1,227
1727414 도움~물김치 국물끈적 6 어랏~ 2025/06/18 822
1727413 홍준표, "국힘 위헌정당해산은 보복 아닌 법치".. 16 ㅅㅅ 2025/06/18 2,009
1727412 일본인이 말하는 한국 회사생활이 일본보다 힘든 이유 10 링크 2025/06/18 2,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