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압력솥 얘길 보며

조회수 : 1,467
작성일 : 2025-06-11 09:06:35

압력밭솥 처음 나오자마자

(전기밥솥, 압력 버전 없던 시대)
엄마가 바로 사서 쓰셔서
전 어릴 때부터 무척 익숙해요

 

근데 폭발 위험 몰라서냐, 아니요. 
초딩 때 피아노학원 소풍 가서
밥 해먹었는데,

그 때 부탄 가스가 터져서 한 친구가 다쳤어요.

 

제일 좋아하는 과학 과목이 물리였고
폭발 위험성 넘 잘 알지만

늘 잘 사용해 왔기에
압력밥솥 처음 써본다, 무섭다는 사람들 보면
무척 신기해요

 

매뉴얼 잘 숙지하고 사용하면 되는건데..

그렇게 무서우면
대체 비행기는 어떻게 타는거에요? ㅎ

 

이건 좀 다른건데
풍년 압력솥 좋다해도
독일 압력솥 압력이 더 높아서 

밥이 더 맛있더라고요.

돌솥 압력솥도 있는데 돌솥도 맛있긴 해요

맛있음이 서로 다른 형태.

 

집에서 간단히

미니멀한 캠핑용 압력솥 쓰고픈데
풍년보다 압력 낮을거 같아 차마 안샀어요

연마제 제거할 엄두도 안나고..

( 현재도 압력솥만 5개인 여자 ㅠㅠ

  인팟도 압력 조리 도구니 인팟에

  저압냄비까지 모두 7개 인지도.. )

 

압력솥은 매뉴얼만 잘 숙지하면

사고 안나요

칙칙 압력 올라오는 소리는

밥이 맛있어 지는 소리고요

 

근데 요즘은 다 귀찮아서

즉석밥 먹는거 안비밀..

즉석밥도 압력 조리한 즉석밥이 맛있어서

그거 먹는 중입니다 

IP : 118.235.xxx.14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람이
    '25.6.11 9:16 AM (49.1.xxx.74) - 삭제된댓글

    항상 빠릿한 게 아니기에..
    70년대였나 풍년압력솥 처음 나왔을 때 엄마가 평소에 잘 사용하다가
    어느날 밥 퍼내고 나서 밥알 조금 남아있는 데다 물부어 숭늉 만든다고 가스불에 올리고 뚜껑을 제대로 체결하지 않고 척 올려놓았어요. 물 끓이는 데 압력은 필요없지 하는 생각에ㅠㅠ
    비스듬히 얹힌 뚜껑 밑으로 어느정도 압력이 쌓이다가 뚜껑이 폭발하듯 날아가고 밥알들이 튀어나가 온 부엌에 붙어있고 숭늉국물 흐르고.. 참사였습니다. 누구하나라도 부엌에 있었다면 날아가는 뚜껑에..

  • 2. 에공..
    '25.6.11 9:21 AM (118.235.xxx.146)

    다들 폭탄 맞은 느낌였겠어요 ㅠㅠ

    엄마는 일부러 안눌렸고
    저는 일부러 눌려 누룽지 먹는데
    그 또한 주의 해야죠.

    그래서 요즘은 압력솥
    일반 뚜껑 옵션 많더라고요

  • 3. 으잉
    '25.6.11 9:23 AM (118.235.xxx.146)

    폭발 경험담 댓글 사라졌..

  • 4. 그건
    '25.6.11 9:24 AM (1.227.xxx.55)

    압력솥은 안 써도 살지만 비행기는 어쩔 수 없으니 타는 거지요.
    저는 둘 다 안 무섭지만요.

  • 5. .......
    '25.6.11 9:24 AM (112.148.xxx.195)

    휘슬러는 칙칙 소리도 안나는데....버튼 올라오면서 약간의 소리.전혀 안무서워요

  • 6. 맞아요
    '25.6.11 9:27 AM (118.235.xxx.146) - 삭제된댓글

    독일 압럭솥은
    풍년처럼 칙칙 아닌 다른 소리가 다르게 나죠 ㅎ

  • 7. 맞아요
    '25.6.11 9:29 AM (118.235.xxx.146)

    독일 압럭솥은
    풍년처럼 칙칙 아닌
    순하게 소리 나요, 압력이 차는건가 싶게 조용한

  • 8. 각자
    '25.6.11 9:31 AM (180.68.xxx.52) - 삭제된댓글

    저도 압력솥 사랑하는 사람입니다만...
    무서워서 못쓰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개인마다의 경험도 다르고 불안에 대한 민감도가 다 다릅니다. 비행기 무서워서 못타고 최대한 피하려는 선택을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운전도 마찬가지고. 자전거도 그럴 수 있죠. 타인에 대해서는 그럴 수도 있겠다고 받아들이는게 맞다고 봅니다.

  • 9. . .
    '25.6.11 9:31 AM (180.211.xxx.184)

    원글님~
    압력 조리한 즉석밥 알려주세요.
    부모님댁에 사드리고 있는데
    찐밥 같다고 그러세요.
    어디 제품이 맛있나요?
    그리고, 맛있게 데우는 팁이 있을까요?

  • 10.
    '25.6.11 9:35 AM (118.235.xxx.62) - 삭제된댓글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 11.
    '25.6.11 9:36 AM (118.235.xxx.181) - 삭제된댓글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 12.
    '25.6.11 9:38 AM (175.114.xxx.246)

    저압은 성능이 어떤가요? 저두 압력밥솥만 세 개인데 또 지름신이 오셨어요.

  • 13.
    '25.6.11 9:40 AM (118.235.xxx.181)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압력솥 개수 말한건
    활용가치 있다보니 많이 있는거라는 말이고요

  • 14. 점두개님
    '25.6.11 9:41 AM (118.235.xxx.181)

    동원 쎈쿡이 압력 조리한 즉석 밥이에요.

    맛있게 데우는 팁요? ㅎ
    글쎄요 즉석밥은 어차피 편하자고 먹는 거라
    전자레인지 데우긴 하는데
    3분 카레처럼 끓는 물에 중탕하듯이 데워먹으라고
    조리 안내 있지 않나요?

  • 15. 자주 궁금
    '25.6.11 9:46 AM (1.227.xxx.69)

    독일에서는 무슨 음식하는데 압력솥을 사용하나요??
    그들도 찜같은 요리를 자주 해먹나요?

  • 16. ..
    '25.6.11 10:03 AM (180.211.xxx.184)

    원글님~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17. ..
    '25.6.11 10:20 AM (175.203.xxx.242)

    압력솥 김빼기 전에 싱크대로 옮기고 뚜껑위에 찬물 샤워 30초정도 해주고 김빼면 김만 살짝나오고 국물 안튀더라구요. 전복죽 할때 김뺄때 국물 튀어나와서 닦느라 고생했는데 이젠 안심!

  • 18. 아 님
    '25.6.11 12:12 PM (118.235.xxx.28)

    업무가 바빠 이제 답해요

    저압냄비는
    조리 중 뚜껑 여는게 가능한게 강점이고
    주로 백숙, 보양식 같이 뭉근히 조리하는 음식이 좋아요

    호기심 많아
    큰 옹기 솥도 있는데 (이 살림들 어쩔..)
    옹기 솥 같은 느낌였어요

  • 19. 자주 궁금 님
    '25.6.11 12:13 PM (118.235.xxx.28)

    독일 사는게 아니라
    휘슬러, WMF 같은 독일제 압력솥이요

    압력단계 조절 가능한데
    최고압으로 설정하면,
    풍년보다 압력 높아 밥맛이 좋았어요~

  • 20.
    '25.6.11 1:43 PM (175.114.xxx.246)

    답변 감사합니다~ 저압 지르렵니다 ㅎ

    독일서는 감자가 주식인데 빨리 익힐려고 쓴다더라고요. 고기도 푹 익히고요. 우리가 밥하는 거랑 매한가지라고 판매원이 그랬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5396 꽃상추 사왔는데 씻는게 어렵네요 6 ... 2025/06/12 1,365
1725395 탁현민 결국 끌려갔네요 ㅎㅎ 52 oo 2025/06/12 16,646
1725394 주가가 너무 빠르게 상승중입니다....ㅠㅠ 27 ..... 2025/06/12 6,067
1725393 '댓글조작' 리박스쿨 대표 "국민께 고통…활동 영구히 .. 20 감옧가야지 2025/06/12 2,617
1725392 강아지 자랑 7 ㅗㅗ 2025/06/12 878
1725391 울딸이 쌍둥이 2 열븐 2025/06/12 1,262
1725390 펌) 코스피 상승 막아야함 7 모지리들 2025/06/12 3,509
1725389 일하는 대통령 1 과다 2025/06/12 603
1725388 아몬드 가루 말고 호두가루로도 빵 될까요? 5 ㅇㅇ 2025/06/12 655
1725387 밥먹고 곶감 후식으로 먹었어요 4 공간 2025/06/12 1,039
1725386 눈썹 뼈가 튀어나오고 눈썹산이 있는데 2 눈썹 2025/06/12 1,227
1725385 아니 오늘 문학판인가요? ABE 전집 나오세요! 21 ㅋㅋ 2025/06/12 1,076
1725384 시장 채소는 써있는 것만 국산일까요? 5 2025/06/12 724
1725383 강아지를 산책시키려면 늘 난리부르스... 11 정신없어 2025/06/12 1,339
1725382 의사들은 왜 한약, 한의학을 무시(?) 싫어하나요??? 35 다시만난세계.. 2025/06/12 3,164
1725381 조의금 계좌로 보낼때 입급자란에 어떤 문구를 쓰시나요? 5 질문 2025/06/12 1,502
1725380 저는 1찍인데요 16 걱정 2025/06/12 1,713
1725379 계몽사 전집 쓰신 글 읽고 저두 추가 [셔얼록 호움즈] 5 2025/06/12 610
1725378 일상)얼마전 베개 문의글 있었는데요 내돈내산 2025/06/12 374
1725377 저 요리 잘하는건가요? 대충 감으로 휘휘하면 맛있는거 12 .. 2025/06/12 1,472
1725376 이재명 뭔일 잘 하냐는 분께 4 팩트체크 2025/06/12 989
1725375 보복부 장관으로 이국종교수님 어떤가요 26 ... 2025/06/12 3,042
1725374 사는게 너무 지루할때 6 ㅇㅇ 2025/06/12 1,990
1725373 저희집 노견얘기 해봐요 6 저도 2025/06/12 1,012
1725372 고터 부근 냉면 불고디 맛집 급 추천 부탁 2 마누 2025/06/12 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