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할때 정확히 계량해서 하시는 분들 계시죠?

... 조회수 : 741
작성일 : 2025-05-11 20:49:00

여러번 시도해봤는데 저는 잘 안되더라구요.
재능과 지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유튜브 영상같은거 찾아보고 그걸 기반으로 (찾아보고 내맘대로 하기)

대충 손가는대로 양념하다가 짜면 야채 좀 넣거나 물 좀 붓고 밍밍하면 조미료도 좀 넣고
이렇게 수십년 살았더니

도저히 못먹고 버려야하는건 거의 없어졌고 (많이 버렸죠. 밥하다 울었던 적도)

한달에  한번쯤은 기차게 맛있게 되고 대부분 그냥 먹을만합니다.

실은 꼬막무침을 했는데 넘 맛있게 된거예요

(밥 딱 반공기만 먹는 남편이 대접으로 밥을 퍼서 먹었어요. 아주 가끔있는 일)

꼬막무침해드셔보세요.  라고 글을 써볼랬는데

레시피 주시죠! 라는 댓글 주실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아  나는 왜 계량을 안하는가 싶어서  주절주절해봅니다.

지난번에 했지만  이번엔 너무 맛있었고 다음엔 또 맛있을 가능성이 있을까 싶은 꼬막무침의 추억

킥은 좋은 들기름 많이, 간장과 미림의 적절한 조화, 너무 짜지않게,고추가루 범벅하지 않기

꼬막은요.

많이 사서 살짝 삶아 까서 냉동해두면 (금방 삶은것 같은 맛은 아니지만 충분히 맛있어요)
무침도 해먹고, 솥밥도 하고, 강된장에도 넣고 부침개도 해먹고 든든합니다.
끝.

 

 

 

 

 

IP : 122.38.xxx.15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투브
    '25.5.11 8:55 PM (1.237.xxx.119)

    만개의 레시피는 조금 간을 덜했다가
    먹어보고 추가하는 편입니다.
    기본은 고맙지만 개개인의 성향이니까요?
    하지만 제과제빵레시피는 잘 몰라서 꼭 계량합니다.
    일반적인 음식은 싱겁게와 알맞게의 중간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 2. 음..
    '25.5.11 8:57 PM (125.132.xxx.178)

    라면 끓일 때 아직도 물 계량하고 시간 설정해서 끓입니다 ㅎㅎㅎㅎㅎ 다른 건 대충 눈대중으로 해영.

  • 3. 하늘에
    '25.5.11 9:02 PM (210.179.xxx.207)

    저요.
    결혼 23년인데 계량컵, 계량스푼, 저울까지....
    라면 끓일때도 써요.
    좋은 레시피를 찾으면 프린트해서 파일에 넣어두고요. 자스민님 책같은 거 두고 정말 잘 활용해요.

    음식이 늘 기본 이상은 하고, 늘 일정해요.

    저는 배달이나 포장, 외식은 별로고 집밥이 좋은데... 이런 맛에는 뭐가 들어갔겠다... 그런 것도 잘 못하거든요... 눈대중도 그닥이라 무조건 레시피와 계량도구를 이용하는 거죠.

  • 4. 재능
    '25.5.11 9:36 PM (1.237.xxx.119)

    뛰어난 요리는 정말 타고난 재능 아닐까 싶어요.
    제친구는 항상 같은 맛을 유지하는 비결이 머리가 좋아서 인가 싶어요.
    매번 자주 하는 김치인데도
    짜지 않게 싱겁지 않게의 경계를 잘 알아내니까요.
    우리가 또 짠걸 아주 싫어해서 그런데 싱거우면 못먹어요.
    물한방울 안 들어가고 과일즙과 싱겁게 만으로도
    맛이 변질 되지 않게 보존이 가능한 김치를 고마워합니다.
    좋은 재료와 부지런한 재능에 감탄합니다.

  • 5. 50중반
    '25.5.11 10:11 PM (58.123.xxx.102)

    저는 계량안하고 바로 부어 넣어요.
    요리한지 거의 40여년 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5062 초등 아이 작곡을 가르칠까 싶은데.. 14 작곡 2025/05/20 1,362
1715061 박영선 이야기를 14 그냥 2025/05/20 2,139
1715060 커피원가 120원 분노한 준우아빠 정체 나옴 11 .. 2025/05/20 3,457
1715059 퇴근하면서 잠깐 티비보니 ᆢ한동훈 4 2025/05/20 1,205
1715058 영부인이 국정 알아야 한다고 국짐이 그러죠? 10 000 2025/05/20 1,002
1715057 냉동피자 한판 드실 수 있으세요~? 5 2025/05/20 902
1715056 코스트코타이어 6 수고했어 ♡.. 2025/05/20 894
1715055 암환자 엄마가 요양원에서 일한대요 8 그게 2025/05/20 4,648
1715054 80노인분들 기차여행간식 추천부탁드립니다. 10 777777.. 2025/05/20 1,119
1715053 설난영 "TV토론 응해야…이벤트 아냐, 국민에 대한 예.. 60 TV조선 단.. 2025/05/20 4,028
1715052 김문수 vs 이재명 47 2025/05/20 1,479
1715051 토요일에 사온 전복인데요 3 도움요청 2025/05/20 811
1715050 보험 하나도 안드신분 있나요? 23 질문 2025/05/20 3,552
1715049 어쩌다 여행 어디 가시겠어요? 3 어디가제일 2025/05/20 1,271
1715048 이유불문 카톡 읽씹 자주하는 사람들은 7 지치네 2025/05/20 1,135
1715047 중딩아이...친구가 돈 안갚을때 어떻게 해결하나요? 10 ... 2025/05/20 1,149
1715046 위치추적앱 어떤거 쓰세요? 4 2025/05/20 720
1715045 친정엄마의 이 말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30 .. 2025/05/20 4,223
1715044 갈비뼈 골절..ㅠㅠ 11 까밀라 2025/05/20 2,734
1715043 체육인 20156명 이재명 후보 지지선언 5 무려 2만명.. 2025/05/20 1,274
1715042 성악 잘아시는분 7 파스칼 2025/05/20 826
1715041 최진실딸은 너무 말랐네요 36 .. 2025/05/20 15,296
1715040 울산 십리 대밭길 주변 맛집 추천 요망 ♡♡♡ 2025/05/20 392
1715039 와코루 브라 수선 됩니다 8 후기 2025/05/20 1,488
1715038 검찰과 언론에 연락 안하실분 1 ㅇㅇ 2025/05/20 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