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할때 정확히 계량해서 하시는 분들 계시죠?

... 조회수 : 755
작성일 : 2025-05-11 20:49:00

여러번 시도해봤는데 저는 잘 안되더라구요.
재능과 지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유튜브 영상같은거 찾아보고 그걸 기반으로 (찾아보고 내맘대로 하기)

대충 손가는대로 양념하다가 짜면 야채 좀 넣거나 물 좀 붓고 밍밍하면 조미료도 좀 넣고
이렇게 수십년 살았더니

도저히 못먹고 버려야하는건 거의 없어졌고 (많이 버렸죠. 밥하다 울었던 적도)

한달에  한번쯤은 기차게 맛있게 되고 대부분 그냥 먹을만합니다.

실은 꼬막무침을 했는데 넘 맛있게 된거예요

(밥 딱 반공기만 먹는 남편이 대접으로 밥을 퍼서 먹었어요. 아주 가끔있는 일)

꼬막무침해드셔보세요.  라고 글을 써볼랬는데

레시피 주시죠! 라는 댓글 주실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아  나는 왜 계량을 안하는가 싶어서  주절주절해봅니다.

지난번에 했지만  이번엔 너무 맛있었고 다음엔 또 맛있을 가능성이 있을까 싶은 꼬막무침의 추억

킥은 좋은 들기름 많이, 간장과 미림의 적절한 조화, 너무 짜지않게,고추가루 범벅하지 않기

꼬막은요.

많이 사서 살짝 삶아 까서 냉동해두면 (금방 삶은것 같은 맛은 아니지만 충분히 맛있어요)
무침도 해먹고, 솥밥도 하고, 강된장에도 넣고 부침개도 해먹고 든든합니다.
끝.

 

 

 

 

 

IP : 122.38.xxx.15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투브
    '25.5.11 8:55 PM (1.237.xxx.119)

    만개의 레시피는 조금 간을 덜했다가
    먹어보고 추가하는 편입니다.
    기본은 고맙지만 개개인의 성향이니까요?
    하지만 제과제빵레시피는 잘 몰라서 꼭 계량합니다.
    일반적인 음식은 싱겁게와 알맞게의 중간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 2. 음..
    '25.5.11 8:57 PM (125.132.xxx.178)

    라면 끓일 때 아직도 물 계량하고 시간 설정해서 끓입니다 ㅎㅎㅎㅎㅎ 다른 건 대충 눈대중으로 해영.

  • 3. 하늘에
    '25.5.11 9:02 PM (210.179.xxx.207)

    저요.
    결혼 23년인데 계량컵, 계량스푼, 저울까지....
    라면 끓일때도 써요.
    좋은 레시피를 찾으면 프린트해서 파일에 넣어두고요. 자스민님 책같은 거 두고 정말 잘 활용해요.

    음식이 늘 기본 이상은 하고, 늘 일정해요.

    저는 배달이나 포장, 외식은 별로고 집밥이 좋은데... 이런 맛에는 뭐가 들어갔겠다... 그런 것도 잘 못하거든요... 눈대중도 그닥이라 무조건 레시피와 계량도구를 이용하는 거죠.

  • 4. 재능
    '25.5.11 9:36 PM (1.237.xxx.119)

    뛰어난 요리는 정말 타고난 재능 아닐까 싶어요.
    제친구는 항상 같은 맛을 유지하는 비결이 머리가 좋아서 인가 싶어요.
    매번 자주 하는 김치인데도
    짜지 않게 싱겁지 않게의 경계를 잘 알아내니까요.
    우리가 또 짠걸 아주 싫어해서 그런데 싱거우면 못먹어요.
    물한방울 안 들어가고 과일즙과 싱겁게 만으로도
    맛이 변질 되지 않게 보존이 가능한 김치를 고마워합니다.
    좋은 재료와 부지런한 재능에 감탄합니다.

  • 5. 50중반
    '25.5.11 10:11 PM (58.123.xxx.102)

    저는 계량안하고 바로 부어 넣어요.
    요리한지 거의 40여년 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8714 윤수괴부부 2025/05/30 1,083
1718713 펌)유시민의 90쪽 밀고장 35 유시민바로알.. 2025/05/30 5,285
1718712 관외 봉투 밀봉 꼭 하세요!!!!! 10 사전투표 2025/05/30 2,049
1718711 전광훈윤석열 막으려고 1번 투표했어요 10 투표했어요 2025/05/30 853
1718710 외국사는 친구가 편도 3시간 30분 운전해서 투표하고 왔대요. 19 왕복 7시간.. 2025/05/30 3,936
1718709 CEO, 최고급으로만 데려간다는 남자 3 ㅡㅡ 2025/05/30 4,224
1718708 김문수 부부와 노동운동 했던 동지들 충격 증언 35 .. 2025/05/30 19,086
1718707 이재명씨 대통령 되면 조국 8.15 사면인가요 22 만일 2025/05/30 3,391
1718706 원빈 드디어 복귀 ... 광고로. 18 ..... 2025/05/30 5,589
1718705 강남 1타 강사가 말하는 노무현 3 ㅇㅇ 2025/05/30 3,880
1718704 고양이 여러 마리 나오는 유튜브 뭐 보시나요 19 .. 2025/05/30 1,628
1718703 Jtbc오대영 앵커에게 돌직구 맞은 개혁신당 대변인 7 이뻐 2025/05/30 4,284
1718702 김건희 신명 개봉 너무 막고싶을듯해요 13 .. 2025/05/30 4,131
1718701 이재명 아들 도박자금 2억 3000만이 오해를 받는데 43 나가리라 2025/05/30 4,880
1718700 김문수는 있는 돈 모두 전광훈에게 바쳤나봐요 21 ... 2025/05/30 3,763
1718699 운동을 쉬면 안되는 이유 2 oo 2025/05/30 4,322
1718698 왜 언론매체들은 이준석을 띄울까요? 6 매체 2025/05/30 1,324
1718697 윤거니 관저 물2년 전부터 월800톤 썼다 16 ... 2025/05/30 4,959
1718696 회사 아웃룩 메일... 이런 경우 있나요?? 6 ... 2025/05/30 1,339
1718695 이상호기자의 이재명후보 아들 이야기. 59 여유11 2025/05/30 9,886
1718694 조국혁신당, 이해민, 개원한지 1년, 국민 여러분 고맙습니다 2 ../.. 2025/05/30 998
1718693 정청래 법사위원장의 좌파 이론 1 이뻐 2025/05/30 759
1718692 설난영 - 이재명 후보 아이들.., 조국 경우 도덕적 해이 25 ㅇㅇ 2025/05/30 3,050
1718691 우리나라 대선투표하는 중국인들은 뭔가요? 24 2025/05/30 2,296
1718690 2013년에 이준석이 무슨 위원이었나요. 2 .. 2025/05/30 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