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 25년,얼마정도의 재산이 있어야 될까요?

대강이라도 조회수 : 3,803
작성일 : 2025-05-01 19:43:45

집집마다 사정이 다르고 맞벌이인지 외벌이인지에

따라 다르고 아이수에 따라 다르지만

꼭 정리하고 넘어가야 되는 일이 있어서요

서울에 직장을 두고 서울과 경기도 왔다갔다

하다가 지금은 경기남부에 집 한채(시세 8억)있습니다

결혼 25년 되었구요

회사는 몇번 옮기게 되었습니다

본인은 대기업 월급수준이라고 합니다.

이 정도면 아이 키우면서 대강 어느정도

저축해야 선방했다고 할수 있을까요?

주택은 8억 이고 예금이요

개인연금은 없다고 치구요

남편과 냉정하게 정리할 일이 있어서

보통의 상식선에서 여쭤봅니다!

IP : 211.176.xxx.107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5.1 7:46 PM (121.141.xxx.234)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 평균이 4.5억이래요
    기사마다 다르긴 한데 50대는 평균 5, 6억정도라고 하네요
    그 이상 있으시니 상식이하는 아닌거같습니다

  • 2. .....
    '25.5.1 7:46 PM (110.9.xxx.182)

    저희 비슷한데..
    외벌이로 7억정도 있습니다. 집따로

  • 3. ...
    '25.5.1 7:49 PM (1.232.xxx.112)

    보통 상식선, 그런 건 없지만
    노후가 대비되는 게 중요하니
    국민연금 퇴직연금으로 200 방어
    나머지 200*30년*12개월 7억 이상이면 베스트
    8억 주택 연금으로 노후 생활한다치면
    따로 월 50-백 정도만 현금 흐름 만들면 괜찮겠지요.

  • 4. 같은 연차 외벌이
    '25.5.1 7:50 PM (211.235.xxx.221) - 삭제된댓글

    살고 있는 집빼고 주식, 예금등 다 합해서 3억 5천정도 있어요.

  • 5. 오호
    '25.5.1 7:50 PM (218.154.xxx.161)

    다들 부자시네요. 지방에 싼 집 한 채 겨우 있고 자동차는 남편 꺼라 제 꺼 오래된 똥차 2대.
    생계형 맞벌이라서요.
    저보고 희망을 가지세요

  • 6. 원글
    '25.5.1 7:54 PM (211.176.xxx.107)

    남편과 서로의 탓을 하며 지내는 지경까지 이르렀어요ㅠ
    나름 서로 최선을 다해 살았다고
    남들만큼은 노력하고 살았다고 하는데요
    남편은 회사는 옮겼을지언정 대기업 월급 만큼은 벌었다고
    주장하고 있구요
    그럼 대기업 월급으로 결혼 25년에 예금을 어느정도 할수
    있을까요?집값 8억을 밝힌 이유는 집은 그 정도 구입했을
    가정아래 여쭤봅니다

  • 7. ..
    '25.5.1 7:55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집이 경기도냐 서울이냐에 따라 현재 가격은 차이가 워낙 크니 구입시기의 서울,경기 가격도 함께 봐야 한다고 생각하구요. 가령 저는 2014년에 5억주고 산 게 지금은 15억이거든요.
    대기업 외벌이로 애 둘 키워 대학졸업 시키고, 주식 안하고 적금 저축한 걸로만 4억정도 있어요. 명품, 고가 의류 안 사고 식구들 모두 소박하고 깔끔하게 입고, 비교적 충분히 먹었지만 한우보다는 호주산 먹었고, 다만 학군지에서 사교육비는 쓸만큼 쓰고 살았어요.

  • 8.
    '25.5.1 8:00 PM (114.201.xxx.215) - 삭제된댓글

    보통 경기도 사는 친구들 거의다 10억 초반대 집이랑 현금 5억대정도가 기본이더라구요.

  • 9. ㅇㅇ
    '25.5.1 8:00 PM (14.5.xxx.216)

    아이들이 대학생이거나 중고생일텐데 이때까지는 저축이 어려워요
    대부분의 수입을 학원비 과외비로 나가니까요
    아이들 어릴때 돈모아서 집장만 한후 애들 대학 졸업때까지는
    마이너스 통장으로 살았네요

  • 10. ..
    '25.5.1 8:02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결혼 27년차. 연수입 1억정도 외벌이로 애 둘 키워 대학졸업 시키고, 주식 안하고 적금 저축한 걸로만 4억정도 있어요. 명품, 고가 의류 안 사고 식구들 모두 소박하고 깔끔하게 입고, 비교적 충분히 먹었지만 한우보다는 호주산 먹었고, 다만 학군지에서 사교육비는 쓸만큼 쓰고 살았어요.
    집이 경기도냐 서울이냐에 따라 현재 가격은 차이가 워낙 크니 구입시기의 서울,경기 가격도 함께 봐야 한다고 생각하구요. 별도로 부부합산 연금 꽤 나오게 따로 짜 놨어요. 저 4억은 애 둘 결혼 때 지원할 건데 많이 부족해서 걱정하고 있어요.

  • 11. ..
    '25.5.1 8:02 PM (106.101.xxx.19)

    경기도 거주중이고 결혼 23년이고 집값은 6억(분양되고 아직 실거래가 없어서 분양가에요) 현금4억정도 있어요. 외벌이고 애들 교육비로 이낌없이 돈 많이 썼고 제가 재테크를 못해서 부동산으로 돈을 못 벌었네요

  • 12. 재테크
    '25.5.1 8:08 PM (58.227.xxx.39)

    이건 재테크 유무에 따라 달라서 뭐라 말하기가 그래요.

    서울이나 경기도 요지에서 집 갈아타기를 여러번 시기적절하게 잘 했으면 몇십억은 있을테구요

    잦은 이직으로 불안해서 대출 못땡기고 집 갈아타기 못하고 월급 알뜰살뜰 푼돈 적금들며 살고 있는 집 대출 갚고 빚 없는 것에 만족하면 경기도 8억집이 최대고 그래요.

    중간에 코인이나 주식으로 자산 확 불린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또 반대로 코인이나 선물로 망한 경우도 있구요.

    안정적인 회사 + 공격적 재테크 성공했으면 자산이 최소 몇십억.
    불안정한 회사 + 알뜰살뜰 적금 + 소극적 빚갚기면 현재 자산이 최대치

    서로 니탓내탓 하지마시고
    아직 싸울 수 있는 건강을 가진 것에 감사하고
    코인이나 주식으로 망하지 않은 것에 감사하시면 될 것 같아요.

  • 13. peplexity의 답변
    '25.5.1 8:14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gpt나 이런데 물어보세요. 그게 서로 객관적이라 생각할 듯.
    --
    상식적인 기준에서, 결혼 25년차(자녀 양육 중) 대기업 수준 소득, 경기남부 8억 주택 1채, 개인연금 없음, 예금만 보유 상황에서 ‘저축을 어느 정도 해야 선방’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정리합니다.
    1. 평균적·권장 저축률은 어느 정도?
    평균 저축률: 월급의 20~30%를 저축하는 것이 일반적인 권장 수준입니다.
    고소득자/맞벌이 기준: 소득이 높을수록 30% 이상, 많게는 50%까지 저축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맞벌이의 경우: 가구 소득의 50% 저축을 목표로 삼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외벌이의 경우: 현실적으로 20~30% 저축이 평균이나, 소득이 대기업 수준이면 30% 이상 저축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2. 25년차 기준, ‘선방’했다고 볼 수 있는 저축액
    - 대기업 평균 연봉은 2024년 기준 7,000만~1억 원 수준(세전)입니다.
    - 25년간 소득 누적(세후 기준) 약 10~15억 원 이상 가정 가능
    - 평균적 자산 형성:
    수도권 40~50대 가구의 평균 자산은 약 5~7억 원(주택 포함) 수준입니다.
    8억 원 주택만으로도 전국 평균 이상이며, 예금이 추가로 있다면 상위권에 해당.

    - ‘선방’의 현실적 기준:
    25년간 저축·투자 합산 5억 원(주택 포함) 이상이면, 평균 이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택 외에 순수 금융자산(예금 등)이 1억 원 이상이면, 상당히 ‘선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예금이 2~3억 원 이상이라면, 상위 20% 수준의 자산 형성입니다.

    종합결론
    주택 8억 + 예금 1억 이상이면 외벌이 기준 ‘선방’, 맞벌이 기준 2억 이상이면 충분히 상위권입니다.
    연금이 없으니, 앞으로는 노후 준비(연금, 투자 등)도 병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맞벌이/외벌이, 자녀 수, 소비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위 기준을 참고해 부부가 함께 현실적으로 자산 점검 및 향후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 14. ..
    '25.5.1 8:15 PM (210.179.xxx.245)

    맞벌이였으면 아내의 월급이 외벌이였으면 재테크가
    변수가 되겠네요
    대기업이라하니 월급은 상위였겠구요

  • 15. 님부부
    '25.5.1 8:16 PM (112.157.xxx.212)

    보통 물려받은 재산 없는 경우는
    내집마련하고 아이들 키우면서 돈 많이 못 모아요
    아이들 다 키우고 자기벌이 시작하면 쉽게 모여지더라구요
    거기에 두분 퇴직금들 받으면 또 몇억 생기구요
    그래서 노후대책 충분히 돼요
    아이들 결혼할때 크게 못보태 줘도 집값에 조금 보태줄수도 있구요
    싸우지 마세요
    아이들 다 키워놓고 나면
    지출도 많이 줄고 벌이는 더 늘어나 있고
    그래서 더 안정되고 더 쉽게 돈 모아져요

  • 16. ...
    '25.5.1 8:17 PM (112.165.xxx.126) - 삭제된댓글

    결혼 25년차 아이 둘에 거의 외벌이로
    사는집 빼고현금 3억있어요

  • 17. ..
    '25.5.1 8:43 PM (58.238.xxx.62) - 삭제된댓글

    저도 결혼25년차
    서울 집2채
    현금 **억

  • 18. ㅇㅇ
    '25.5.1 8:52 PM (14.53.xxx.46)

    결혼 19년차, 외벌이
    집10억 오피스텔3억(월세 150씩 나옴) 땅 8억(오르고있음)
    연금 들고있고, 부부주식 각각 함

    아이셋 초,중,고 있습니다

  • 19. ..
    '25.5.1 9:41 PM (58.140.xxx.226)

    2003년 결혼.. 순자산 40억 정도예요 집한채, 재개발 빌라 한채 있어요. 동갑이라 둘다 49세인데 여기에 남편 퇴직연금 4억정도에 예금주식 등등 1억정도요 신혼부터 아이 초등입학까지 맞벌이 아이 초등들어가며 외벌이 아이 특목가면서 200정도 생활비 보태고, 대학가면서부터 연간 1억정도는 꼭 저축한지 3년째예요

  • 20. .....
    '25.5.1 9:49 PM (221.163.xxx.63)

    여기 댓글 다신 분들이 평균은 아닐거 같아요.
    결혼할 때 부모님께 지원받은 게 있었는 지, 부모 부양을 했는 지 등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외벌이에 집제외 3억, 5억이 일반 대기업 수준 급여에서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재가 잘 못 산걸로.

  • 21. 정답은
    '25.5.1 10:01 PM (218.154.xxx.161)

    여기 댓글 다신 분들이 평균은 아닐거 같아요.
    결혼할 때 부모님께 지원받은 게 있었는 지, 부모 부양을 했는 지 등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외벌이에 집제외 3억, 5억이 일반 대기업 수준 급여에서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재가 잘 못 산걸로.2222

  • 22. ...
    '25.5.1 10:14 PM (1.235.xxx.154)

    돈 모으기 쉽지않아요
    저는 집 마련해도 현금 1억도 없었을거같아요

  • 23. **
    '25.5.1 10:26 PM (121.160.xxx.170) - 삭제된댓글

    저희도 25년차 외벌이
    12억 주택 한채, 주식 2억정도
    남편 퇴직연금 420정도 예상해요

  • 24. 맞벌이
    '25.5.2 8:12 AM (175.207.xxx.21) - 삭제된댓글

    저희는 맞벌이해도 남편 대기업수준 될까말까인데요.
    외부지원 받은거 없이 집 5억, 저축 5억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7097 출장갔던 남편이 갑자기 귀가하는 상황 66 ooo 2025/05/26 18,697
1717096 언니네 산지직송은 진짜 15 :: 2025/05/26 15,332
1717095 뉴스를 봤는데 김치찌개도 완제품을 만들어 식당에 5 ... 2025/05/26 2,932
1717094 김문수 이영상은 ㅎㄷㄷ하네요(일본관련 영상) 23 .. 2025/05/26 3,193
1717093 5월31일까지 전.월세 신고안하면 과태료라네요 6 ㅇㅇ 2025/05/26 2,619
1717092 박주민의원에게 말로 싸움하는 부산 20대 검은티남자, 펨코하나봐.. 9 00 2025/05/26 2,472
1717091 비즈니스 유럽패키지 가신 분 계실까요? 10 효도관광 2025/05/26 2,349
1717090 박주민의원에게 다가온 부산청년 대뜸 어느대학 나왔냐 8 나참 2025/05/26 2,290
1717089 분명 내 돈일텐데... 4 미듬 2025/05/26 1,981
1717088 고관절이 아픈 친정엄마... 편히 앉을 수 있는 방석? 있을까요.. 3 ** 2025/05/26 1,645
1717087 태극기 부대 사이에서도 김문수 당선되면 김거니 사는길이라 김문수.. 2 그냥 2025/05/26 1,297
1717086 차에서 내리고도 왜 계속 멀미할까요? 9 happy 2025/05/26 878
1717085 이런 경력에 과외 학생 찾을 수 있을까요? 17 812 2025/05/26 1,976
1717084 아침마다 남편한테 스테이크 샐러드를 해주는데 남편이 엄청 부드러.. 25 dd 2025/05/26 6,882
1717083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은 내란종식입니다 8 6월4일 2025/05/26 385
1717082 호텔운영하시는분 계시면 한 밀씀듣고싶어요 9 ??? 2025/05/26 3,024
1717081 김문수는 전광훈 아바타 1 ... 2025/05/26 294
1717080 김건희 삼킨 김규리, 호소 어려움 속 간신히 개봉…투표 꼭 약속.. 6 o o 2025/05/26 2,992
1717079 서인국, 서강준 같은 얼굴이 매력적이네요 8 서인국 같은.. 2025/05/26 1,677
1717078 성남의료원 병상 침대가 왜 이래요? 기숙사인 줄 59 .. 2025/05/26 3,471
1717077 반포집 10 푸른토마토 2025/05/26 2,012
1717076 박주민 대구유세 차량돌진 26 000 2025/05/26 5,587
1717075 게시판이 혼돈스럽네요 32 참나 2025/05/26 2,175
1717074 홍진경의 섭외력이 엄청나네요. 16 .. 2025/05/26 17,214
1717073 대구는 1번 유세하는 사람을 막 차로 밀고 가네요 14 oo 2025/05/26 1,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