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347
“특전사 관련된 병력의 행위에 대해서는 모든 책임을 다 인정하고 있다.”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변호인이 재판부를 향해 말했다. 군복을 입고 피고인석에 앉은 곽 전 사령관도 ‘국헌 문란과 폭동 등 일련의 행위 전체를 다 인정한다는 취지인가’라는 재판부 질문에 “네, 그렇습니다”라고 답했다. 1월3일 곽 전 사령관은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중요임무종사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3월26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첫 공판이 열렸다.
곽 전 사령관은 12·3 비상계엄 당시 대통령 윤석열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특전사 부대원을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출동시킨 지휘관이다. 동시에 그는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의결을 위해 국회 본회의장에 모인)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윤석열의 지시를 최초로 폭로한 인물이기도 하다. ‘평화적·경고성 계엄’이라고 주장하는 윤석열을 포함해 내란 혐의를 받는 대부분의 장성들이 공소사실을 부인하는 것과 달리, 곽 전 사령관은 자신의 책임을 인정(다른 사령관들과 동시 공모 사실은 부인)하고 부하들의 선처를 요구하고 있다.
그는 왜 부대원들을 국회와 선관위 등으로 보냈을까. 왜 ‘의원을 끌어내라’는 윤석열의 지시를 폭로했을까. 12·3 비상계엄 당시 부대원을 출동시킨 다른 사령관들과는 달리, 책임을 인정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사IN〉은 현재 육군 수도군단 군사경찰단 미결수용수 구금시설에 수감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에게 서면으로 물었다. 곽 전 사령관은 A4 19장 분량의 답변지를 보내왔다. 그가 구속기소된 이후, 직접 언론 인터뷰에 응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원문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곽종근 전 사령관이 답변에 직접 단 첨언)과 (기자의 해설*)을 구분해 인터뷰를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