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더
'25.2.24 11:47 AM
(118.235.xxx.196)
심해질겁니다. 농사짓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사라지고 있어요
이분들 돌아가심 장난 아닐겁니다.
약초 받아 유통하는일 했는데 약초 농사 짓는 노인들이 없어져서
금액이 예전에 비해 3배 이상 오르고
문제는 그분들도 농사 안지어 구할수가 없어요
2. 큰문제죠
'25.2.24 11:47 AM
(59.7.xxx.113)
대기업이 출자한 유통사가 매점매석을 해서 그런거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언더스탠딩 채널에서 활동하는 김상훈 기자(아버지가 농사지으심)의 보도에 따르면 총체적인 문제던데요.
게다가 바닷물 수온상승으로 물고기 해조류 양식에도 타격이 크고요.
3. ..
'25.2.24 11:47 AM
(112.223.xxx.54)
지인이 식당하는데 모든 재료값이 올라서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대요.
돈까스.면 요리 전문점인데 여름에 비빔국수.냉모밀 주문이 제일 많은데
오이.양배추 가격이 후덜덜...ㅠ
식용유값도 부쩍 올라서 부담스럽고요.ㅠ
4. ...
'25.2.24 11:48 AM
(1.237.xxx.240)
그러니까요
장바구니 물가는 세계 1~2위 할거에요
5. 00
'25.2.24 11:48 AM
(211.210.xxx.96)
정말 외국 어디보다 기본식재료 값이 비싼거 같아요
고기 야채 우유 기름 이런건 좀 적당히 올라야 할텐데 너무 비싸졌어요
6. ....
'25.2.24 11:50 AM
(175.209.xxx.12)
그 비싼 뉴욕도 외식은비싸도 마켓은 싸요.
물가 너무 심해요. 빨리 대책필요
7. 그거
'25.2.24 11:53 AM
(223.38.xxx.146)
분석한 유튜브 있던데 유통업체 담합 때문이래요. 다 2세들이 장악해서 카르텔 형성했대요
8. 복합
'25.2.24 11:55 AM
(1.240.xxx.21)
무책임한 정부의 물가관리부재
기후변화에 대응 미비
복잡하고 불합리한 유통과정에.대한 규제미비
노동은 아프리카에서나 한다는 정권의 농정정책미비
농촌인구감소....등등
9. .........
'25.2.24 11:55 AM
(125.143.xxx.60)
정말 식자재 너무 비싸요.
집에서 해 먹어도 돈 많이 들어요.
10. 움
'25.2.24 11:56 AM
(211.234.xxx.226)
외노자 인권 챙기느라
식재료 비싸고 농민 어부들은 그 이익을 못가지고 갑니다.
솔직히 유럽 식재료 생산도 외노자노동으로 굴러가는데
그들은 외노자 최저시급적용안해요.
우리는 외노자 최저시급 적용되니 쩝..
연료비상승 인건비 상승..식재료 값이 어찌 안오릅니까
11. 음
'25.2.24 11:58 AM
(59.7.xxx.113)
어쩌면 해결책은 농지를 전부 구획정리해서 바둑판처럼 만들고 대기업이 진출해서 초대형 농기계 자율주행으로 돌리고... 몇몇 특용작물은 스마트팜으로 키우는게 아닐까 싶네요. 과잉 생산되는 작물은 지원금 줄이고요.
12. 쿠키
'25.2.24 11:58 AM
(218.238.xxx.80)
유통 구조도 문제겠지만
시부모님 농사짓는데, 올해는 배추가 망했니, 사과가 망했니 그러세요.
경매 안넘기고 주변에 팔아도 그닥 수입이 좋지 않구요.
남의떡이 커 보여 그런지 중국, 페루,동남아는 심으면 쑥쑥 자라는거 같던데, 우리나라가 농사가 안되는 땅인가 싶더라구요.
13. ㅁㅁ
'25.2.24 11:59 AM
(112.187.xxx.63)
우리나라는 규모의 문제로보여요
땅덩이가 못생겨서 대량생산이 어려워요
아주 쉬운 비교로 농산물 같은 생산량을
중국은 2억명의 농부가 해내고
미국은 2백만명의 농부가 해낸다는거요
14. 네
'25.2.24 12:02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 땅은 최악등급이라고 알고 있어요. 그리고..
다들 동일품종을 재배하기 때문에 개화시기에 병이 돌면 흉작이 된대요. 여러 품종을 키우면 하나가 망해도 다른 품종이 버티는데 그게 안되니까요..
15. 82가
'25.2.24 12:03 PM
(221.149.xxx.36)
어제부터 이상한게 분명히 외식 말고 식자재까지 다 올라서 미국보다 체감이 더 높은데도 미국보다 싸다고 우기는 분들이 있어요. 왜죠
16. 미국은..
'25.2.24 12:05 PM
(59.7.xxx.113)
그냥 천국땅 아닌가요. 거기는 안나는게 없잖아요.
예전에 괌 마트 가서 소고기값 보고 기절할 뻔했어요.
17. ..
'25.2.24 12:08 PM
(106.101.xxx.182)
기업농 진출 막고
수입산 먹으면 큰일나는 줄 알고
외노자들 최저임금 보장하는데
무슨 수로 식자재 가격이 싸겠어요.
식재료 싼 곳은 위의 세 가지 중에 한 가지는 해당돼요.
18. ...
'25.2.24 12:11 PM
(39.7.xxx.96)
쌀은 남아돌고 다른 채소, 과일은 비싸죠
19. ㄴ님
'25.2.24 12:17 PM
(1.240.xxx.21)
그 쌀도 당장 올해부터 재배면적이 확 줄었어요. 엊그제 벼수매관련해
농민들 시위도 있었구요 지금 농사짓는 분들이 태반이 노인이고
그분들 돌아가시면 우리나라도 쌀부족국가로 갈수 있어요.
지금 일본 보세요.
20. 어
'25.2.24 12:38 PM
(211.234.xxx.226)
일본 쌀 문제원인은 공급부족이 전혀 아닙니다.
인구가 줄어 먹는 인구도 줄어드는데
쌀생산도 줄여야 맞죠.
비축미도 정도껏 쌓아야지 보관비가 얼마인데..
21. oo
'25.2.24 1:00 PM
(211.110.xxx.44)
외식 품질도 상당히 저하 됐어요.
18,000원짜리 한정식에
생채소는 채썬 거 몇 가닥 수준이고,
인스턴트 튀김류가 많아서 놀랐어요.
22. ..
'25.2.24 1:16 PM
(211.234.xxx.206)
맞네요 집밥 하는 아줌마들이 백날 에너지 넣고 갈아봐야 물가단가자체가 비싼거 맞는듯해요
23. 루루~
'25.2.24 2:47 PM
(221.142.xxx.203)
맞아요. 곽튜브가 본인이 체감하는 식자재 물가 1위 국가가 우리나라라고 하더라고요.
과일이며 고기, 채소, 유제품...뭐 다 너무너무 비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