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민연금 추납에 대해 여쭈어 봅니다.

ㅇㅇ 조회수 : 2,619
작성일 : 2025-02-22 19:17:35

사십후반 경단 여성이예요. 

 

119개월 최저(9만)로 추납하고(10,710,000원) 지금부터 최저로 만60세까지 넣음 만65세에 매달 61만씩 탑니다. 

 

119개월 18만원씩 넣음(21,420,000원) 65세에 67만원 받는다면 최저로 추납하는 게 나을까요? 죽을 때까지 받는거니까 이천을 추납하는게 나을까요?

 

사람들이 천 넣고 61만이니 이천 넣어도 두배타는거 아니니 다들 최저로 넣는게 득이다 생각한다는데 은행에 천넣고 매달 6만 더 받는다 하면 또 다들 천을 더 넣는다고 한답니다.

 

82언니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어떤게 더 득일까요? 

 

현재 이천이 수중에 없지만(이천 가까이 있어요) 곧 다시 일하면 수개월 내에 마련 가능한 형편입니다. 

 

 

 

 

IP : 118.223.xxx.23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ㅡ
    '25.2.22 7:38 PM (58.148.xxx.3)

    사실 정답이 없죠 확실한 작은 안전을 보장한다면 최저보다 효율이 떨어져도 붓는거고(그래도 다른 연금보다 나으니까) 현재의 천만원을 내가 더 가치있게 쓰거나 굴릴수 있다면 최저만 넣고요. 아님 12만원으로 타협?

  • 2. ;;;
    '25.2.22 7:46 PM (121.190.xxx.243)

    비율로 따지면 제일 적게 내는 게 가장 낫지요.
    근데 아무도 언제 죽을지는 모르기 때문에 오래 살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하게 된다면 총금액으로 봤을 때 가장 많이 넣고 많이 받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지금 넣을 수 있다면요.

  • 3. 미적미적
    '25.2.22 7:52 PM (211.173.xxx.12)

    비율은 최저가 효율 높으나 지금 당장 천만원이 부담 없으면 더 넣어서 좀 더 받는게 낫지않을까합니다만 현재 여유가 이천만원도 안된다면 천만원만 하세요

  • 4. 조금이라도
    '25.2.22 8:01 PM (119.204.xxx.215)

    연금액을 늘릴수 있으면 늘리고, 되도록 오래산다에 배팅하세요.

  • 5. .....
    '25.2.22 8:15 PM (110.9.xxx.70) - 삭제된댓글

    예전이라면 2천만원 추납하고 65만원 받으시라고 권하겠지만
    기초연금 제도가 생기고 나서는 생각이 달라졌어요.
    그 5만원 차이로 기초연금이 달라질 수 있어요.
    월100만원 받을 수 있게 추납하는 거 아니라면
    그냥 최저로 넣으시는 걸 고려해 보세요.

  • 6. 비교분석
    '25.2.22 8:27 PM (223.38.xxx.30)

    하나도 추납을 안하면 얼마를 받나요?

  • 7. ㅇㅇ
    '25.2.22 8:28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위에
    기초연금 받기 위해 덜 넣어라는 글도 있는데,
    기초연금제도는 어떻게 바뀔지 몰라요.
    하위 몇%에 몰아주자는 여론도 있고,
    노인 연령 높여서 모든 노인에게 다 줄지,
    모든 노인에게 주지 않더라도
    노인 연령 70세로 상향하면 기초연금 수령시기도 그만큼 늦춰질 건데, 그런 건 믿을 게 못 돼요.

    원글님의 경우 국민연금을
    15년 후에 받는다고 치고,
    천만원을 3% 남짓한 예금에 15년 동안 넣어놓으면
    복리로 받아도 이자가 400 부근.
    원금과 이자를 더하면 1400만원.
    이걸 전액 통장에 넣어두면 월3만원밖에 안나와요.

    연금처럼 월 6만원 받으려면
    3천만원 넣어둬야 하는데
    지금 국민연금에 천만원 추납하는 게 두 배 이득이네요.

    게다가 앞으로는 더 넣고 덜 받을 수 있으니
    과거 조건으로 추납해둔다면 또 이득.

    저라면 추납해요.

  • 8. 빙그레
    '25.2.22 8:36 PM (122.40.xxx.160)

    정확한 금액은 연금공단에 물어보심히 정확히 알아요.
    연금 넣은 상황에 따라 엄청 달라서 우리같은 일반인은 정확히 모르고요.

    다만 배우자와 관계에 따라
    받는상황이 다르니 상담 받아보세요.

  • 9.
    '25.2.22 8:41 PM (118.223.xxx.239)

    추납안하고 지금부터 60세까지 넣음 40정도요

  • 10.
    '25.2.22 8:42 PM (118.223.xxx.239)

    ㅇㅇ님 이천만원 추납하라는 말씀이시지요?

  • 11. ㅇㅇ
    '25.2.22 8:54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천만원 더,
    합계 2천만원 추납요!

  • 12. 언제나
    '25.2.22 9:00 PM (112.168.xxx.86)

    연금개혁 어떻게 될지도 몰라서 기다리다가 타기 2,3년전에 추납할지 안할지 연금공단에 알아보고 결정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 13. ㅇㅇ22
    '25.2.23 6:38 AM (125.139.xxx.147)

    위에 지금은 없는 ㅇㅇ님 말에 동의합니다 여력이 된다면야 기초연금에 기대지 말고 내돈으로 받는 쪽이 좋다고 생각해요 기초연금은 바뀔 수 있쟎아요? 그리고 추납은 제도 바뀌기 전 빨리하는 거 좋아요

  • 14.
    '25.2.23 9:57 AM (118.223.xxx.239)

    ㅡㅡㅡ님 12만원도 납부가능한가요? 그럼 그 방법도 괜찮네요^^

  • 15. ...
    '25.2.23 12:19 PM (219.255.xxx.153) - 삭제된댓글

    60세부터 수령
    1) 현재처럼 국민연금 납부하면 월 40만원 수령
    2) 10,710,000을 추납하면 월 21만원 증액.
    1천71만원/21만원=51개월=4년3개월 받으면 낸 돈은 다 돌려받아요.
    3) 또 1천71만원을 내면 월 6만원 증액.
    1천71만원/6만원=179개월=15년을 받아야 증액분을 다 돌려받아요.

    저라면 2)번까지만 하고
    1천71만원은 다른 곳에 투자하고,
    4) 월 9만원씩 65세까지 임의납부를 연장하면, 수령액이 얼마로 늘어나는지 알아보겠어요.

  • 16. ....
    '25.2.23 12:22 PM (223.38.xxx.21)

    60세부터 수령
    1) 현재처럼 국민연금 납부하면 월 40만원 수령
    2) 1천71만원을 추납하면 월21만원 증액 수령.
    1천71만원÷21만원=51개월=4년3개월 받으면 낸 돈은 다 돌려받아요.
    3) 1천71만원을 더추납하면 월 6만원 증액.
    1천71만원÷6만원=179개월=15년을 받아야 증액분을 다 돌려받아요.

    저라면 2)번까지만 하고
    1천71만원은 다른 곳에 투자하고,
    4) 월 9만원씩 65세까지 임의납부를 연장하면, 수령액이 얼마로 늘어나는지 알아보겠어요.

    저는 4번을 내기로 했어요

  • 17.
    '25.2.23 2:16 PM (223.39.xxx.77)

    ....님 감사합니다.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주셨네요. 저도 4번 알아볼게요. 수긍이 갑니다. 복많이 받으세요^^

  • 18. ....
    '25.2.23 3:01 PM (223.38.xxx.234) - 삭제된댓글

    3)번에 1천71만원을 추납하고 더 받는 월 6만원은 이자가 아니예요. 나중에 원금을 돌려받지 않으니까요.
    원금에서 6만원씩 쪼개서 받는 거예요.
    15년을 못살면 다 되돌려 받지 못하는 돈.
    1천71만원을 내 통장에 넣고 매월 6만원씩 꺼내 쓰는게 더 나을지도요. 원금을 잘 보존한다면.

    저는 월 9만원씩 4년 임의가입을 연장하니, 월 9만원이 증액 수령돼요.
    그말인즉슨, 4년만 받으면 원금은 다 돌려받고 그 이후 수령액은 그야말로 추가로 받는 거에요.
    내가 국민연금공단을 위해서 돈 많이 내면 좋겠으나, 제도를 잘 이용하면 좋죠.

  • 19. ....
    '25.2.23 3:03 PM (223.38.xxx.234)

    아이피 바뀌었지만 ....입니다.

    3)번에 1천71만원을 추납하고 더 받는 월 6만원은 이자가 아니예요. 나중에 원금을 돌려받지 않으니까요.
    원금에서 6만원씩 쪼개서 받는 거예요.
    15년을 못살면 다 되돌려 받지 못하는 돈.
    1천71만원을 내 통장에 넣고 매월 6만원씩 꺼내 쓰는게 더 나을지도요. 원금을 잘 보존한다면.

    저는 월 9만원씩 4년 임의가입을 연장하니, 월 9만원이 증액 수령돼요.
    그말인즉슨, 4년만 받으면 원금은 다 돌려받고 그 이후 수령액은 그야말로 추가로 받는 거에요.
    내가 국민연금공단을 위해서 돈 많이 내면 좋겠으나, 제도를 잘 이용하면 좋죠.

    원글님도 임의가입 4년 계속 납부를 알아보세요. 저와 조건과 결과가 다를 수 있어요.

  • 20.
    '25.2.23 3:23 PM (118.223.xxx.239)

    점넷님 감사합니다.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잘됩니다. 제가 여유로우면 이천만원 척척 추납하겠으나 수중에 없기도 하고 비상금으로도 돈 여유가 있어야되니까요.

    천만원은 가능하나 이천은 부담이면서도 미래에 더 득이라면 낼까했거든요. 부연 설명감사드리고 오래오래 산다는 조건하에 불입을 희망하는거니 님처럼 65세까지 납부하면 얼마 수령가능한지 알아볼게요. 거듭 감사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8936 심형섭 결혼하나요 6 ㅇㄴㅁㄹ 2025/02/22 6,888
1688935 밀키트 볶음밥, 비빔밥 어디것 드시나요. 4 .. 2025/02/22 1,259
1688934 길고양이 발가락 사이 염증 7 ㅇㅇ 2025/02/22 661
1688933 젊은 세대는 일단 쓰고 보자인가봐요 20 ㅅㅅㅅ 2025/02/22 8,521
1688932 최근에 맛있게 드신거 있으면 적어주세요 22 ... 2025/02/22 5,625
1688931 평창동 성북동 단독주택 살기 불편할까요? 21 ... 2025/02/22 6,535
1688930 대학 들어가는 애 5 대학 2025/02/22 2,034
1688929 소, 돼지, 닭 중 한 종만 살려야 한다면 24 어려워요 2025/02/22 2,596
1688928 핫딜 참외 사지 말라던 8 오전에 2025/02/22 4,253
1688927 요즘도 아이허브 할인코드 있나요? 3 허브 2025/02/22 822
1688926 중문없는 집 쓰리스핀은 비추죠? 7 에브 2025/02/22 2,146
1688925 둘 중에 뭐가 더 건강에 좋을까요? 14 ㅇㅇ 2025/02/22 2,885
1688924 서부지법 난동 여의도 증권맨 친동생도 구속 20 ㅇㅇ 2025/02/22 8,266
1688923 아이유 베개 써보신분 있나요? 7 ... 2025/02/22 2,854
1688922 엄마가 위독하세요. 25 엄마 2025/02/22 13,517
1688921 안국 서머셋팰리스 한달살기 4 ㅇㅇ 2025/02/22 4,680
1688920 서울대 졸업식 문의드려요. 7 .. 2025/02/22 1,897
1688919 대파김치 진짜 간단하네요 13 .... 2025/02/22 5,381
1688918 위협 받는 박선원, 홍장원 국정원 전 직원들 9 ........ 2025/02/22 5,191
1688917 윤석열의 믿음 - 100일 후에 돌아 온다 7 몸에좋은마늘.. 2025/02/22 3,728
1688916 식물에 알비료 많이 주면 안 되는 거예요? 4 식집사예정 2025/02/22 1,574
1688915 전현무계획 맛집 48 실망 2025/02/22 13,051
1688914 식세기 처음 사용하는데 자연건조 방법 알려주세요 4 별빛 2025/02/22 1,389
1688913 수도권 지하철요금 3월 이후 인상…오세훈 "한두달 순연.. 3 ㅇㅇ 2025/02/22 2,121
1688912 혹시 Masía el Altet 올리브오일 아시는분 2025/02/22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