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일 때는 그냥 맞춰만 주면 되서 좋았는데
팀장 되니까 부담스럽네요.
앞의 사람과 뭔가 대화를 끊임없이 해야 한다는 것도 쉽지 않은 일 같아요.
윗사람이 아랫사람 대하는 것이 더 힘든 시대인 것 같아요.
1차만 하고 카드 주고 빠져주는 것에 제일 나을 듯...
직원일 때는 그냥 맞춰만 주면 되서 좋았는데
팀장 되니까 부담스럽네요.
앞의 사람과 뭔가 대화를 끊임없이 해야 한다는 것도 쉽지 않은 일 같아요.
윗사람이 아랫사람 대하는 것이 더 힘든 시대인 것 같아요.
1차만 하고 카드 주고 빠져주는 것에 제일 나을 듯...
저도 얼마전까지 팀원이었고 그때도 저녁 회식은 뭔가 억울하고 싫고 내시간을 이렇게쓰기싫다 생각이어서 전 저녁회식 안해요 팀원들이하자면 그땐 합니다. 회식은 점심같이먹고 커피마시는걸로만 하고요.일얘기안하고요ㅋㅋㅋ
(질문)워킹맘 육아로 회식 참석 못하는 직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리 팀장(남) 이해한다면서도 떨떠름한데
제가 가야 이모님 퇴근이기에 어쩔 수 없어요.
남편 퇴근은 언제나 늦구요.
우리 팀장보니 팀장된 후 바로 모드 전환 하더군요.
친근했던 관계에서 거리두기부터.
그냥 오피셜한 얘기하고 1차에서 마무리 해요.
시간 흐르면 팀장도 사람인지라 편한 사람 찾아가구요.
직원들도 이해해요. 서로 부당.
(질문)워킹맘 육아로 회식 참석 못하는 직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리 팀장(남) 이해한다면서도 떨떠름한데
제가 가야 이모님 퇴근이기에 어쩔 수 없어요.
남편 퇴근은 언제나 늦구요.
우리 팀장보니 팀장된 후 바로 모드 전환 하더군요.
친근했던 관계에서 거리두기부터.
그냥 오피셜한 얘기하고 1차에서 마무리 해요.
시간 흐르면 팀장도 사람인지라 편한 사람 찾아가구요.
직원들도 이해해요. 서로 부담.
(질문)워킹맘 육아로 회식 참석 못하는 직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리 팀장(남) 이해한다면서도 떨떠름한데
제가 가야 이모님 퇴근이기에 어쩔 수 없어요.
남편 퇴근은 언제나 늦구요.
답변들 감사해요. 제가 그들을 즐겁게 해주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느낄 필요는 없고 그냥 간단하게 해도 되겠네요...
워킹맘 육아로 회식 참석 못하는 직원 - 저는 당연히 이해는 하되, 설명하는 모습에서 성의가 있으면 고마울 것 같아요. 평상시에 팀장이 부탁해도 건성건성 답하는 스타일의 직원이 챗으로 띡 "이래서 못갑니다" 이런 식으로 말하면 약간... 그냥 오기 싫어서 핑계대는 건가?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될 것 같고요.
왜 아직도 저녁 회식을 해서 부담을 줄까요?
점심 회식 2시간 하고 금요일 일찍 퇴근 시켜주면 다 좋아할 것 같은데
비싼데서 짧게 점심회식 좋고 비싼데서 저녁회식하면 쉬는사람도 다 오더라구요
당연히 1차 하고 빠져야죠
요즘은 점심식사로 회식하던데
그게 깔끔하죠 술도 안먹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