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도 독일응급의료처럼 하면 되는데..

왜 안되나 조회수 : 1,708
작성일 : 2025-02-16 14:28:17

오늘 82에 응급환자 갈데 없다는 글이 있네요.

독일처럼 하면 되는데 왜 못할까요

https://naver.me/xJqq3EfI

 

獨, 중증 환자만 대형병원 응급실 이송

[환자 ‘표류’ 해법, 해외에서 찾다]

〈3〉 ‘응급실 북새통’ 없는 독일

‘너무 늦게 발견한 건 아닐까.’ 지난달 21일 독일 귀터슬로시에서 만난 안드레 슈뢰더 씨(59)는 어머니가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사연을 들려주며 연신 가슴을 쓸어내렸다. 5월 어머니 집을 찾았다가 바닥에 누워 있는 어머니를 발견했고, 독일 긴급구조 번호인 112(우리나라의 119)에 전화를 걸었다. 구급차는 도착하자마자 어머니가 사는 귀터슬로시 할레 지역에서 약 24km 떨어진 빌레펠트 시내 병원으로 내달렸다. 도시 외곽 지역인 할레는 주변에 병원이 부족한 의료 낙후 지역에 속한다. 하지만 독일의 중앙구조관리국의 신속한 안내로 어머니를 살릴 수 있었다.

 

지난달 19일 찾은 함부르크시 아스클레피오스 병원 응급실에는 당뇨병 환자인 중년 여성이 발이 퉁퉁 부은 채로 구급차에 실려 왔다. 경증환자 전용 통로로 들어온 이 환자는 미리 대기 중이던 의료진의 진찰을 받고 10여 분간 통로에 대기했다가 경증환자 치료실로 이동했다. 이런 엄격한 환자 분류로 응급실은 붐비지 않았고, 중증환자가 먼저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아스클레피오스 병원 응급실 토비아스 슈트라파타스 총책임자는 “중앙구조관리국은 어느 병원에서 환자가 빠르게 치료를 받을 수 있을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또 중앙구조관리국이 환자를 보냈다면 독일 병원은 반드시 환자에게 1차 응급처치를 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이 병원 응급실 토비아스 셰퍼 부과장은 “중앙구조관리국에서 넘어온 환자의 1차 응급처치는 병상이 있든, 없든 간에 의무”라고 말했다.

 

IP : 223.38.xxx.15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2.16 2:37 PM (210.126.xxx.111)

    만약 한국에서
    환자를 이송하면서 담당관이 경증 중증을 판단하고서 병원 데려가면
    바로 고소고발 들어와요
    니가 뭔데 니맘대로 병원을 정하는냐구요

  • 2.
    '25.2.16 2:45 PM (223.38.xxx.155)

    환자를 이송하면서 담당관이 경증 중증을 판단하고서 병원 데려가면
    바로 고소고발 들어와요

    이것부터 제도장치가 필요하죠

  • 3.
    '25.2.16 2:58 PM (223.39.xxx.248)

    필요한 처치하고
    거의 메뉴얼화된 처치를 해도
    법원에서 판사가 유죄때려요.
    그냥 중경증이나 처치는 판검변 허락받고 해야 그나마 고소고발없을까...
    판사들을 응급실에 상주케하는게 빠를걸요

  • 4. ㅎㅎ
    '25.2.16 3:14 PM (223.62.xxx.5) - 삭제된댓글

    응급은 모르겠고, 일반병원은..ㅠㅠ
    완전 무료인 비싼 사보험 들었기에 병원에서도 좋아했는데 스케일링하고 잇몸 패인거 치료하는데 몇달 걸렸어요. 솜씨도 한국이 백배 낫고..ㅎㅎ
    일단 의사가 매일 근무를 안하더만요.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전문 의사가 근무하는 날이 따로 있는데 아마 다른 곳에서 출장 오는 것 같았어요.
    촌동네도 아니고 프랑크푸르트였는데 완전 도심이 아니라 외곽이라 그런건지는 모르겠어요.

  • 5. ㅎㅎ
    '25.2.16 3:18 PM (223.62.xxx.5) - 삭제된댓글

    응급은 모르겠고, 일반병원은..ㅠㅠ
    완전 무료인 비싼 사보험 들었기에 병원에서도 좋아했는데 스케일링하고 잇몸 패인거 치료하는데 몇달 걸렸어요. 솜씨도 한국이 백배 낫고..ㅎㅎ
    일단 의사가 매일 근무를 안하더만요.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전문 의사가 근무하는 날이 따로 있는데 아마 다른 곳에서 출장 오는 것 같았어요.
    촌동네도 아니고 프랑크푸르트였는데 프푸에서도 도심이 아닌 외곽지역이라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요.
    아무튼 한국에서라면 몇번 가고 끝날 일을
    몇달에 걸쳐서 했네요. 가격도 어마무시.
    보험이 있어서 무료라길래 했다가 후회막급..

  • 6. ㅎㅎ
    '25.2.16 3:22 PM (223.62.xxx.5) - 삭제된댓글

    나중에 알고 보니 한국사람은 한국 의사가 하는 병원으로 간다고..
    그래서 한국 의사가 한다는 대장내시경 하러 갔더니 금방 못해준다, 몇달 기다려야한다길래 포기하고 귀국 후에 했어요.
    응급치료는 모르겠지만 소소한(?) 치료는 한국 동네병원이 백배 낫다 싶어요.

  • 7. 우리나라는
    '25.2.16 3:36 PM (59.7.xxx.113)

    나에게 나쁜 결과가 나오면 무조건 보상 받아야하고 받아들이지 않아요. 그게 너무나 당연한 일로 여겨지다 보니 누군가 책임 지고 나서야하는 일 조차 하지 않으려해요.
    그러니 외국의 제도를 들여와도 소용없죠

  • 8. 티니
    '25.2.16 9:33 PM (116.39.xxx.170)

    나에게 나쁜 결과가 나오면 무조건 보상 받아야하고 받아들이지 않아요. 그게 너무나 당연한 일로 여겨지다 보니 누군가 책임 지고 나서야하는 일 조차 하지 않으려해요.
    그러니 외국의 제도를 들여와도 소용없죠
    ———-

    저도 동의합니다…
    서로에 대한 신뢰가 없죠
    의사도 그까짓, 교사도 그까짓, 판검사도 그까짓…
    권위에 대한 신뢰가 없으니 자기가 손해 보면
    소송걸어 배상을 받아 내야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6751 두피가 불긋하고 각질도 일어나는데요 11 @@@ 2025/02/17 1,231
1686750 스레드에 허세글 쓰는 지인 19 .. 2025/02/17 3,488
1686749 꿀 하루에 한ts 먹었더니 장이 엄청 좋아진거 같네요 10 에너지 2025/02/17 4,133
1686748 김새론양 자택 사진보니 마치 빌라 반지하같은 지저분한 계단이더라.. 46 뉴스에 2025/02/17 48,566
1686747 ... 2 ... 2025/02/17 751
1686746 20살 여학생 아이몸에 작은멍들이 생기는데요 11 작은멍 2025/02/17 4,783
1686745 음식점 봉변 6 ㅂㄴㅂ 2025/02/17 3,047
1686744 일주일전 이사오고 블라인드 커튼요 4 뭐가 현명할.. 2025/02/17 973
1686743 읽씹했는네 마음에 걸려요 8 새벽 2025/02/17 2,040
1686742 인간관계 3 2025/02/17 1,699
1686741 이불 사이즈 ss는 작을까요?? 8 고민 2025/02/17 1,096
1686740 눕서대 쓰시는 분? 궁금 2025/02/17 1,084
1686739 자랑 심한 사람 입틀막 방법 21 05 2025/02/17 5,012
1686738 추합기도 부탁드립니다..(예비번호 받은 학교가 하나밖에 없어요).. 35 ym 2025/02/17 2,079
1686737 여자 시기질투 너무 무서운것 같아요 ㅠ 14 .... 2025/02/17 5,473
1686736 연애 오래하고 결혼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8 ㅇㅇ 2025/02/17 2,177
1686735 페라가모 새 구두가 없어졌어요 42 의문 2025/02/17 13,682
1686734 3시부터 깨서 잠이 안와서 헬쓰가려구요. 2 안조타 2025/02/17 1,600
1686733 잠을 못 자고 밤을 샜네요.ㅜㅜ 3 ... 2025/02/17 2,923
1686732 당뇨인들 외식하면 뭐 드세요? 9 .. 2025/02/17 3,940
1686731 새벽 2시에 잠이깨서 못자고 있어요. 6 볼빨간갱년기.. 2025/02/17 1,930
1686730 이수지 보고요 영어 섞어쓰는거 128 ㅇㅇ 2025/02/17 19,429
1686729 대학생 아들의 생활습관이 거슬려요 20 생활 2025/02/17 6,503
1686728 한국 사람 없는 외국 오지에서만 30년 살다보니 36 저는 2025/02/17 13,520
1686727 자퇴하고 나서 다른 학과 편입 3 자퇴 2025/02/17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