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도 독일응급의료처럼 하면 되는데..

왜 안되나 조회수 : 1,707
작성일 : 2025-02-16 14:28:17

오늘 82에 응급환자 갈데 없다는 글이 있네요.

독일처럼 하면 되는데 왜 못할까요

https://naver.me/xJqq3EfI

 

獨, 중증 환자만 대형병원 응급실 이송

[환자 ‘표류’ 해법, 해외에서 찾다]

〈3〉 ‘응급실 북새통’ 없는 독일

‘너무 늦게 발견한 건 아닐까.’ 지난달 21일 독일 귀터슬로시에서 만난 안드레 슈뢰더 씨(59)는 어머니가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사연을 들려주며 연신 가슴을 쓸어내렸다. 5월 어머니 집을 찾았다가 바닥에 누워 있는 어머니를 발견했고, 독일 긴급구조 번호인 112(우리나라의 119)에 전화를 걸었다. 구급차는 도착하자마자 어머니가 사는 귀터슬로시 할레 지역에서 약 24km 떨어진 빌레펠트 시내 병원으로 내달렸다. 도시 외곽 지역인 할레는 주변에 병원이 부족한 의료 낙후 지역에 속한다. 하지만 독일의 중앙구조관리국의 신속한 안내로 어머니를 살릴 수 있었다.

 

지난달 19일 찾은 함부르크시 아스클레피오스 병원 응급실에는 당뇨병 환자인 중년 여성이 발이 퉁퉁 부은 채로 구급차에 실려 왔다. 경증환자 전용 통로로 들어온 이 환자는 미리 대기 중이던 의료진의 진찰을 받고 10여 분간 통로에 대기했다가 경증환자 치료실로 이동했다. 이런 엄격한 환자 분류로 응급실은 붐비지 않았고, 중증환자가 먼저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아스클레피오스 병원 응급실 토비아스 슈트라파타스 총책임자는 “중앙구조관리국은 어느 병원에서 환자가 빠르게 치료를 받을 수 있을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또 중앙구조관리국이 환자를 보냈다면 독일 병원은 반드시 환자에게 1차 응급처치를 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이 병원 응급실 토비아스 셰퍼 부과장은 “중앙구조관리국에서 넘어온 환자의 1차 응급처치는 병상이 있든, 없든 간에 의무”라고 말했다.

 

IP : 223.38.xxx.15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2.16 2:37 PM (210.126.xxx.111)

    만약 한국에서
    환자를 이송하면서 담당관이 경증 중증을 판단하고서 병원 데려가면
    바로 고소고발 들어와요
    니가 뭔데 니맘대로 병원을 정하는냐구요

  • 2.
    '25.2.16 2:45 PM (223.38.xxx.155)

    환자를 이송하면서 담당관이 경증 중증을 판단하고서 병원 데려가면
    바로 고소고발 들어와요

    이것부터 제도장치가 필요하죠

  • 3.
    '25.2.16 2:58 PM (223.39.xxx.248)

    필요한 처치하고
    거의 메뉴얼화된 처치를 해도
    법원에서 판사가 유죄때려요.
    그냥 중경증이나 처치는 판검변 허락받고 해야 그나마 고소고발없을까...
    판사들을 응급실에 상주케하는게 빠를걸요

  • 4. ㅎㅎ
    '25.2.16 3:14 PM (223.62.xxx.5) - 삭제된댓글

    응급은 모르겠고, 일반병원은..ㅠㅠ
    완전 무료인 비싼 사보험 들었기에 병원에서도 좋아했는데 스케일링하고 잇몸 패인거 치료하는데 몇달 걸렸어요. 솜씨도 한국이 백배 낫고..ㅎㅎ
    일단 의사가 매일 근무를 안하더만요.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전문 의사가 근무하는 날이 따로 있는데 아마 다른 곳에서 출장 오는 것 같았어요.
    촌동네도 아니고 프랑크푸르트였는데 완전 도심이 아니라 외곽이라 그런건지는 모르겠어요.

  • 5. ㅎㅎ
    '25.2.16 3:18 PM (223.62.xxx.5) - 삭제된댓글

    응급은 모르겠고, 일반병원은..ㅠㅠ
    완전 무료인 비싼 사보험 들었기에 병원에서도 좋아했는데 스케일링하고 잇몸 패인거 치료하는데 몇달 걸렸어요. 솜씨도 한국이 백배 낫고..ㅎㅎ
    일단 의사가 매일 근무를 안하더만요.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전문 의사가 근무하는 날이 따로 있는데 아마 다른 곳에서 출장 오는 것 같았어요.
    촌동네도 아니고 프랑크푸르트였는데 프푸에서도 도심이 아닌 외곽지역이라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요.
    아무튼 한국에서라면 몇번 가고 끝날 일을
    몇달에 걸쳐서 했네요. 가격도 어마무시.
    보험이 있어서 무료라길래 했다가 후회막급..

  • 6. ㅎㅎ
    '25.2.16 3:22 PM (223.62.xxx.5) - 삭제된댓글

    나중에 알고 보니 한국사람은 한국 의사가 하는 병원으로 간다고..
    그래서 한국 의사가 한다는 대장내시경 하러 갔더니 금방 못해준다, 몇달 기다려야한다길래 포기하고 귀국 후에 했어요.
    응급치료는 모르겠지만 소소한(?) 치료는 한국 동네병원이 백배 낫다 싶어요.

  • 7. 우리나라는
    '25.2.16 3:36 PM (59.7.xxx.113)

    나에게 나쁜 결과가 나오면 무조건 보상 받아야하고 받아들이지 않아요. 그게 너무나 당연한 일로 여겨지다 보니 누군가 책임 지고 나서야하는 일 조차 하지 않으려해요.
    그러니 외국의 제도를 들여와도 소용없죠

  • 8. 티니
    '25.2.16 9:33 PM (116.39.xxx.170)

    나에게 나쁜 결과가 나오면 무조건 보상 받아야하고 받아들이지 않아요. 그게 너무나 당연한 일로 여겨지다 보니 누군가 책임 지고 나서야하는 일 조차 하지 않으려해요.
    그러니 외국의 제도를 들여와도 소용없죠
    ———-

    저도 동의합니다…
    서로에 대한 신뢰가 없죠
    의사도 그까짓, 교사도 그까짓, 판검사도 그까짓…
    권위에 대한 신뢰가 없으니 자기가 손해 보면
    소송걸어 배상을 받아 내야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7150 디씨에 가는 사람 연령대가 십대죠? 이십대이상일리가 없어요 8 ㅇㅇㅇ 2025/02/18 1,036
1687149 신입생 노트북,패드 뭐 들고다니나요? 6 .. 2025/02/18 1,046
1687148 미안합니다 새론양 9 ㅇㅇ 2025/02/18 3,011
1687147 창릉 청약 하고 싶은데 도와주세요 1 ^^ 2025/02/18 1,020
1687146 윤-김 관계 진심으로 궁금해서요 12 ..... 2025/02/18 3,421
1687145 김새론 알바로 어떻게 7억을 갚나요? 16 ... 2025/02/18 7,554
1687144 재테크를 왜 하는가 10 .... 2025/02/18 3,168
1687143 요즘 7세고시 유명학원 시험지 수준 14 ㅇㅇ 2025/02/18 4,674
1687142 삼수생 추합기도 부탁드려요 45 슬픔 2025/02/18 1,811
1687141 양가부모님 초대 메뉴좀 봐주세요 11 메뉴 2025/02/18 1,626
1687140 무자녀로 결혼 생활 오래하신 분들 9 궁금 2025/02/18 3,822
1687139 이수지 제이미맘 영상에서 빡쳤던 거 25 진지충 2025/02/18 21,114
1687138 김명신 "오빠 이것 터지면 다 죽어 빨리 계엄해&quo.. 16 ..... 2025/02/17 16,873
1687137 돈 안들이고 자기계발 하는 사이트 55 링크 2025/02/17 5,387
1687136 이재명 “상속세, 배우자 18억까지 공제” 제안 25 MBC 2025/02/17 4,188
1687135 부부싸움할 때 막말 어디까지 하나요? 3 .. 2025/02/17 1,718
1687134 소변볼 때 따끔거리는 건 왜 그럴까요? 8 요로감염? 2025/02/17 2,582
1687133 김새론의 눈길 7 추모하며 2025/02/17 6,892
1687132 몽골 미야트 항공 예약했어요 3 여행 2025/02/17 1,536
1687131 검찰은 명신이 망명보낼 계획인가봐요?! 3 ㅇㅇㅇ 2025/02/17 2,940
1687130 세척기 세제 프로쉬 핫딜 해요 19 그거 아세요.. 2025/02/17 2,340
1687129 김상민검사 기다리시오, 김건희와 곧 만날테니,,, 1 ........ 2025/02/17 1,899
1687128 특례에서 토플제출시, 어떤걸 내는게 나을까요? 1 …. 2025/02/17 376
1687127 남편사주에 두번째 부인 운이 있대요 17 궁금 2025/02/17 5,171
1687126 사는게 버거워서 자녀 안 낳으신 분 있나요 22 2025/02/17 4,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