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조사비 지긋지긋 해요.

나도막쓸래 조회수 : 3,224
작성일 : 2025-02-16 08:34:41

차라리 안 주고 안 받고 싶구요.

서로 품앗이에 주고 받는 거라고 해도 준만큼 받지도 못해요.

적게는 십만원 보통 이삼십씩 퍽퍽 돈내는 남편 보면 내가 뭘 위해 장 볼때마다 넣었다 뺐다 망설이고 아꼈나 싶고 그깟 돈 몆십이 우습고 푼돈이 되는 상황에 나는 뭐 때문에 미용실 가는것도 두번갈 꺼 한 번 가고 밖에서 커피도 한잔 안 사 마시면서 소비욕도 누르고 사는가 싶어요.

남편은 상대가 오만원 하면 십만원 이십만원 으로 되갚는 스타일에 굳이 안 가고 안 해도 될 자리까지 오지랖 부리는 스타일인데 그러면 복 짓는거다 말로는 그럽디다만.

경조사비 만 안 나가도 백화점 식품관에서 장 보고 소소한 명품은 콧방귀 끼며 샀겠다 싶어요.

진짜 속이 다 울렁거리고 이런거 계산하고 따지면서 살아야 하는 상황도 싫고...

IP : 223.38.xxx.217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공감
    '25.2.16 8:44 AM (175.208.xxx.164)

    사촌이 수십명 되는데 그 자녀들 결혼식, 동창회 단톡방 들어가니 부고, 자녀 결혼식...정작 남 피해주기 싫어서 저는 연락안하고 안받아요. 그렇다고 안할수는 없고..

  • 2. ............
    '25.2.16 9:46 AM (210.95.xxx.227)

    남편분 고쳐질거도 아니고 원글님도 쓰세요.
    성격상 과소비 못하는분이신거 같은데 매일은 아니더라도 가끔이라도 본인에게 좋은걸 선물해준다는 심정으로 못해본거 하세요,
    그래야지 화가 좀 가라앉죠.

  • 3.
    '25.2.16 10:19 AM (211.198.xxx.46) - 삭제된댓글

    경조사핑계로 다른곳에 쓰는지 알아보셔요
    초등교사 우리집시누 !
    경조사비 한달에 오십쯤 들어 돈없다고 늘 징징징
    늘 지갑 안들고와서 빌붙어 오죽하면 우리 아들이 고모 진짜 교사맞냐고 ᆢ 우리아들 입학식때 만원짜리 문구세트 사줬어요
    오빠는 용돈아껴 십만원 줬는데 ᆢ

    시아버지 ㅡ시누 친정아버지ㅡ돌아가셨을때 친구 두세명
    총 사십 들어왔어요 ㆍ그 사십도 챙겨갔고 남은 조의금에 백얻어갔어요
    그냥 거지였던거지요

    그래서 전 경조사비 많이 나간다는건 허풍이라 생각해요
    어딘가 돈 나가는곳 있어서 경조사비 핑계대는지 잘 살펴보세요

  • 4. .....
    '25.2.16 10:31 AM (180.69.xxx.152)

    경조사비는 무조건 없어져야 하는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작년에 제 부모님상에 아무도 안 불렀습니다. 나부터라도 조금씩 노력 중입니다.

  • 5. kk 11
    '25.2.16 11:03 AM (114.204.xxx.203)

    요즘 변하긴 해요
    친한 사이만 연락하고
    40대만 해도 먼 친척은 누군지도 모르고 살아요

  • 6.
    '25.2.16 11:10 AM (223.38.xxx.155)

    돌려받지도 못할 사촌오빠네 자식 결혼축의금 하라고 엄마가 난립니다 난 울애 아직 고딩이고 부모 돌아가심 사촌 볼 일 뭐 있다고 어차피 돌려받을 가능성 거의 없고 울 애가 결혼할지 안할지 한다해도 조촐하게 스몰웨딩 할 꺼구요. 그냥 모른척 넘어가도 될 것 까지 돈 내라 닥달이니 돈 십만원 없어도 그만인데 너무 짜증나요.

  • 7.
    '25.2.16 11:40 AM (106.101.xxx.147)

    주고받는거 자체는 문제가 아니지만
    이런 맘으로 주고받는 사람이 많다는게 문제죠
    누굴 위한 경조사이고 경조사비인지
    과감히 끊고 받은데랑 맘가는데만 하세요
    큰일안나요

  • 8. ....
    '25.2.16 1:16 PM (223.38.xxx.96)

    원글님 남편과 친정엄마가 이상하네요.
    남편은 과시욕,
    엄마는 자식 돈으로 생색내려는 인정욕구가 있네요
    자식을 무수리로 만들려는 마음도 있고요

  • 9. 안주고
    '25.2.16 1:42 PM (223.39.xxx.217)

    안받으려해요.
    아들도 하나 언제 결혼할 지, 결혼문화가 어떨 지 모르겠고
    남편이나 나나 아이나 사람 일부러 부를 성격도 아니고
    직장에서 단체로 와서 알리는 것 빼면 일부러 알리지도 않아요.
    살아계신 엄마와 시어머니의 장례정도는 기꺼이 가진돈 안에서 치를 거고요. 스트레스 없는 게 더 좋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6327 나르들은 어디 따로 모여서 배우나요? 14 어쩜 2025/02/16 2,450
1686326 어느가정의 아이들이 더 마음이 안정될까요? 17 .. 2025/02/16 2,612
1686325 집안일을 하는 남편이 좋네요 4 주말 2025/02/16 1,364
1686324 연금저축 또는 IRP 투자목적 커버드콜 ETF 간단 정리 49 설명충 2025/02/16 2,283
1686323 웨지우드 패밀리 세일 9 2025/02/16 2,226
1686322 주말엔 불닭!이렇게드셔보세요 1 ........ 2025/02/16 921
1686321 “조민 못 지켜 미안”…교육감 출마한 前부산대 총장의 사과???.. 19 ........ 2025/02/16 2,546
1686320 계엄 이유, 의대 2천명 증원 이유는? 15 .... 2025/02/16 2,857
1686319 계엄이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는 인간들 보세요 3 .. 2025/02/16 625
1686318 가족한테는 거짓말이나 허언증 안 통하죠? 8 ... 2025/02/16 768
1686317 사람이 목표가 없으면 3 2025/02/16 1,154
1686316 서울역에서 택시타기 복잡하진 않나요? 7 연세대 2025/02/16 623
1686315 국장 소득분위 궁금해요 6 2025/02/16 1,150
1686314 웨어러블 로봇 1 00 2025/02/16 528
1686313 "계엄군, 국회 본청 단전 시도" 민주당 국조.. 2 이래도 2025/02/16 635
1686312 전세집 내 놓을때 2 처음 2025/02/16 650
1686311 그레이 주름 또는 플레어 스커트 좀 찾아주세요 10 ㅇㅇ 2025/02/16 761
1686310 제 언니가 고등 가는 제 자식한테 25 섭섭황당 2025/02/16 7,606
1686309 돈을 빌려준다는것 13 생각 2025/02/16 2,755
1686308 지능차이라는게 있을까요 15 ㄹㅇㅇ 2025/02/16 2,669
1686307 대출 얼마나 있으세요 4 .. 2025/02/16 1,697
1686306 이혼하신분들 한부모공제 받으셨나요? 10 연말정산 2025/02/16 1,503
1686305 이사...혼자 해 보신분도 계실까요? 7 평일 2025/02/16 1,081
1686304 서울 집 알아보다 느낀 점 1 ... 2025/02/16 2,350
1686303 좋은일 있음 자랑하고 싶고 34 ㅇㅇ 2025/02/16 2,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