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이아로 청혼하지 마세요"…마트서 1캐럿에 10달러, 이런 날 온다
1. ..
'25.2.14 6:19 AM (175.114.xxx.123)산삼과 인삼 같은거군요
2. mm
'25.2.14 7:27 AM (125.185.xxx.27)금이 낫죠.
다이아 팔때 돈도 안되고..맡기고 뭐 해달랄때..바꿔치기당하기도 하고 ..3. 그래도
'25.2.14 7:52 AM (59.6.xxx.211)결혼 반지는 천연 다이아가 좋아요..
4. 비유
'25.2.14 8:00 AM (110.15.xxx.77)노지딸기하고 하우스딸기입니다.
질이 합성이 더 좋다네요.
8개월전에 2캐럿 다이아를 20년전에 산 금액의 반값에 팔고
금 사놓아서 그나마 손해를 만회했네요.5. ㅇㅇ
'25.2.14 8:18 AM (222.107.xxx.17)다이아 말고 누런 금가락지를 열 손가락 끼워주며 청혼하는 날이 곧 오겠네요.
6. 좋네요
'25.2.14 8:33 AM (118.235.xxx.78)전 반짝반짝 영롱한 다이아 좋아하거든요.
언감생심 결혼반지 외엔 없지만요.
저같은 사람도 귀걸이 반지 목걸이 세트로 다이아 하고 다닐수 있겠네요.
단 크게 하지는 않을래요. 합성 티나니까.ㅎ7. 잘됐네요
'25.2.14 8:52 AM (222.100.xxx.50)다이아 팔아버려서 없는데 하나 장만해야겠어요
아마 세팅시 금값 때문에 여전히 비쌀듯 ㅎㅎ8. ㅎㅎㅎ
'25.2.14 9:13 AM (118.235.xxx.20)드비어스 참 대단한 놈들이에요
세계 1위 합성다이아 제조사도 드비어스 계열사라는거 ㅋㅋ9. 흠.
'25.2.14 9:44 AM (218.148.xxx.168)드비어스는 천연다이아 가격 방어하려고 합성다이아 제조도 하는거 아닌가요?
근데 그들의 생각대로 일이 진행이 안되는거 같던데..
암튼 합성다이아는 다른 실험실에서도 만들어 낼수 있을테니 다이아는 나중엔 큐빅취급 받을거 같네요.10. 음
'25.2.14 9:44 AM (180.70.xxx.42)이제 다이아는 흔한 악세사리가 되겠어요
11. ......
'25.2.14 10:11 AM (106.101.xxx.132)랩다이아가 성분 모양 다 천연이랑 똑같으니 이제 그렇게되겠죠 큐빅과 다를바없죠
12. 근데[
'25.2.14 10:20 AM (121.166.xxx.230)그렇게 똑같이 만들어지는데 천연이라고 누가 믿을수 있겠어요.
천연도 자연히, 가격이 내려가겠죠.13. ...
'25.2.14 10:26 AM (218.144.xxx.70)랩다이아는 자연에서 수백년 걸리던 다이아 생성과정을 인공적으로 압축했을 뿐
생성원리는 똑같습니다.
그러니까 당연히 성분이나 구조 동일하고 육안으로는 구분이 불가능해요.
합성 티날까봐 큰거 못할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결혼할때 다이아 한다는건 오래전부터 드비어스의 광고전략이 먹혔을 뿐이구요
그때문에 아프리카에서 다이아탄광 놓고 내전 부추겨서 블러드 다이아몬드라는 오명이 나왔죠.
천연다이아 값 너무 많이 떨어졌고 앞으로도 더 떨어질 거에요.
광고전략에 놀아나 천연에 쓸데없이 가치부여하지 마시고 환경을 위해서나 세계평화를 위해서나 내지갑을 위해서나 랩다이아 쓰세요14. ㅇㅇ
'25.2.14 10:43 AM (141.0.xxx.28)금도 저렇게 싸게 합성으로 만들어져 나오는 날도 오지 않으려나..
금값 똥값 되겠네 ㅎㅎ15. 음
'25.2.14 11:07 AM (187.161.xxx.220)17년전 다이아 300백만원 ㅡ 지금도 삼백만원. 그런데 매입해줄지 의문
금 ㅡ 9만원 현 50만원넘음 금테크가 최고임16. phrena
'25.2.14 11:10 AM (175.112.xxx.149) - 삭제된댓글중세 시대의 왕관 , 티아라 , 홀笏 이라던가
교황 추기경의 반지나 귀중품들 중 다이아 들어간 거
거으 못 보았어요 ㅡ 자수정(아메시스트).에메랄드ㆍ루비ㆍ사파이어
아쿠아마린ㆍ토파즈ᆢᆢ 등등
즉 생산물도 희귀하고 그리 대중적으로 선호하지도 않던 걸
유대계 자본가 일단이 어느날 품목을 "찍고는" 대대적
커머셜 대중 세뇌를 통해 영원한 사랑의 증표인 양 ᆢㅠ
인류 역사 상 가장 큰 사기 중 하나일 듯 ᆢ
다이아먼드는 영원히 ㅡ 드 비어스
제가 꼬꼬마 시절 아빠가 리더스다이제스트 구독을 하셨더랬는데
저 드비어스 광고 비주얼 여성 모델이 어찌나 아름다운지
어린 제가 문구 바로 외워버림 ;;ㅎㅎ17. phrena
'25.2.14 11:11 AM (175.112.xxx.149) - 삭제된댓글중세 시대의 왕관 , 티아라 , 홀笏 이라던가
교황 추기경의 반지나 귀중품들 중 다이아 들어간 거
거의 못 보았어요 ㅡ 자수정(아메시스트).에메랄드ㆍ루비ㆍ사파이어
아쿠아마린ㆍ토파즈ᆢᆢ 등등
즉 생산물도 희귀하고 그리 대중적으로 선호하지도 않던 걸
유대계 자본가 일단이 어느날 품목을 "찍고는" 대대적
커머셜 대중 세뇌를 통해 영원한 사랑의 증표인 양 ᆢㅠ
인류 역사 상 가장 큰 사기 중 하나일 듯 ᆢ
다이아먼드는 영원히 ㅡ 드 비어스
제가 꼬꼬마 시절 아빠가 리더스다이제스트 구독을 하셨더랬는데
저 드비어스 광고 비주얼 여성 모델이 어찌나 아름다운지
어린 제가 문구 바로 외워버림 ;;ㅎㅎ18. phrena
'25.2.14 11:13 AM (175.112.xxx.149)중세 시대의 왕관 , 티아라 , 홀笏 이라던가
교황 추기경의 반지나 귀중품들 중 다이아 들어간 거
거의 못 보았어요 ㅡ 고대로부터 내내 인간들이 선호하고 아름답게 여기던 쥬얼들은
자수정(아메시스트)ㆍ에메랄드ㆍ루비ㆍ사파이어
아쿠아마린ㆍ토파즈ᆢ수정 등등
즉 생산물도 희귀하고 그리 대중적으로 선호하지도 않던 걸
유대계 자본가 일단이 어느날 품목을 "찍고는" 대대적
커머셜 대중 세뇌를 통해 영원한 사랑의 증표인 양 ᆢㅠ
인류 역사 상 가장 큰 사기 중 하나일 듯 ᆢ
(사실 하이엔드 주얼리에 사용되는 다이아 쪼가리 보다는
산업ㆍ공업용 가치가 더 클 듯 ㅡ 그 강력한 경도로 인해)
다이아먼드는 영원히 ㅡ 드 비어스
제가 꼬꼬마 시절 아빠가 리더스다이제스트 구독을 하셨더랬는데
저 드비어스 광고 비주얼 여성 모델이 어찌나 아름다운지
어린 제가 문구 바로 외워버림 ;;ㅎㅎ19. 졸리
'25.2.14 12:01 PM (59.6.xxx.8)141.0
금은요 그렇게 못만들어요
다이아와 흑연은 같은 원기호 c의 상태입니다 즉 같은 원소기호들의 상태를 변형해서 다이아를 만들수잇어요
금은 원소기호로 au입니다 자연상태에서 au로 존재하는건 금밖에없어요
즉 금을 많이 만들려면 자연상태의 다른 원소기호의 핵을 변형시켜서 만들어야합니다(즉 양성자 중성자숫자를 변형시켜야합니다)
이걸하기위해선 스위스에 하나있다던 뭔 원심분리기비슷한거 돌리는거 입자가속기 그거 돌려야 겨우 만드는데 그게 돈이 너무너무 많이들어서 못합니다 입자가속기만드는데 일조가들고 그거 유지비가 훨씬 많이들어서 못해요
금은 그래서 안전해요20. 금은
'25.2.14 12:36 PM (128.134.xxx.18)천년도 더 전부터 금을 합성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죠. 연금술이라고. ㅎㅎㅎ
금은 커녕 금 비슷한 것도 못만들었어요.21. ㅇㅇ
'25.2.14 12:53 PM (39.123.xxx.83)드비어스의 전세계 대상 공작이었죠. 망할 마케팅
윗님 말씀처럼 옛날엔 유색보석을 더 선호했었는데
프랑스 루이14세가 다이아다이아 하면서
오만사람들이 모두 다이아다이아 시작했다고..
천연 다이아 품질이 순수도에 따른 결정체의 맑음이었는데
그걸 랩실에서 해버리니 이건 뭐 게임 끝
다이아 가지신 분들은 하루라도 빨리 처분하세요22. 프레나 님
'25.2.14 1:04 PM (58.29.xxx.131)욕사적으로 다이아가 사용된 물건이 없었던 건 인기가 없었던게 아니라 가공이 너무 어려워서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유명한 전설 있잖아요. 어느 보석공이 결혼하려고 가공법을 발명해냈다는 이야기...23. phrena
'25.2.14 1:44 PM (175.112.xxx.149)서양 문명이 지구의 판을 장악하게 된 건 . .
저는 풀무질과 대장장이의 역사가 워낙 오래되어
거기에서 기인햇다고 개인적으로 추측하거든요 ^^
동양권에서 일종의 몽롱한 정신 문명(?)을 막 꽃피우기 시작할 때
서구인들은 털북숭이 야만인Barbarian 들이었는데...
광물을 싯뻘겋게 녹이고 달구고 제련하고 풀무질 하는 야만인...ㅠㅠ
그 야금술 지식이 쌓이고 쌓이다 보니,
연금술(鍊金術, alchemy)이 되었고
연금술사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한 것은 두가지,
바로 金 만들기와 영생불사(불로장생) . .
물질과 생명, 두가지 축의 공통 씨앗 촉매제 물질이
바로 엘릭시르Elixir이고
그 와중
(신비주의적으로밖에 흐를 수 없는 특성 상)
바빌론 문명부터 내려온 서구의 고대 영적 비밀 결사 의식Ritual과
결합될 수 밖에 없었고
뉴튼 같은 저명한 과학자들은 연금술사이기도 했죠.
(마치 모짜르트가 프리메이슨이었듯이?)
- 그 연금술의 전통이 내려와 "궁극의 입자"를 찾아
원자를 쪼개고 쪼개다 핵물리학이 탄생되었던 거고.
... 결국 오펜하이머도 서양의 연금술사 전통을 이어받은 거??
연금술이 金을 결국 못 만들어내 실패한 거라는 저 위의 의견은
틀린 것입니다. . . 일반인들이 잘 몰라서 그렇지
현대의 유럽권 (혹은 아랍권이나 동양) 에도
연금술사들이 면면이 흩어져 활약을 하고 있고
프랑스의 파트리끄 뷔렌테나스 같은 이들은
책을 계속 출간하면서 연금술사로서의 뒷 이야기를 전하고 있는데요...
그의 책을 읽어보면 , 연금술에 매진하다 드디어 "쌀알만 한"
궁국의 물질에 도달했고..... 본인의 몸으로 실험을 해서 증명을 해야 하니
그야말로 목숨 걸고 삼키는 장면이 나옵니다.
금은 물론, 자수정 에메랄드 같은 것도 실험실에서 얼마든(!!!)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고요.
다만, 金은 전통적으로 지구 경제의 기본 재화/통화 단위이기에
맘대로 만들어낼 수 없단 윤리적 제한에 걸려 있겠죠. 후....
"금 본위 제도"가 얼마전까지만 하드래도 인간 세상의 기본이었으니.
연금술사가 남다른 지식을 앋는 과정에선 거짓과 기만과 이기성을
버릴 수 밖에 없기에, 책의 내용이 단지 허풍이나 허세가
아닐 확률이 높아보이고요...
서구 유럽인들의 우리 동양인과들과
물질과의 친숙도(?)가 얼마만치; 다른지 ,
올리버 색스의 [텅스텐 삼촌]에서 읽은 인상적이었던 부분 욺겨옵니다.
------------------------------------------------------------
... 백금이라는 단어는 들어본 적이 있지만, 나머지 - 오스뮴, 탄탈, 레늄-는 난생 처음 듣는 금속이었다. 데이브 삼촌은 그 금속들과 몇몇 금속의 원석을 전구 옆 진열장에 보관하고 있엇다. (중략) 삼촌은 가운데가 움푹 파인 회색 덩어리를 꺼내 내게 던지며 "밀도가 높지?" 하고 물었다.
"백금 덩어리란다. 다른 금속의 원석은 대부부은 합금인데 백금 원성은 순금속이지. 백금하고 비슷한 천연 순금속은 금, 은, 구리 등 몇 가지밖에 안 된단다." (중략)
백금 광석 속에 들어 있는 경우가 많은 이리듐(iridium)과 오스뮴은 백금보다 비중이 크고 단단하며 내열성이 컸다. 삼촌이 보여준 샘플은 렌즈콩 크기의 얇은 조각에 불과한데도 상당히 무거웠다. 그것이 바로 세계에서 가장 비중이 크다는 오스미리듐(osmiridium)' 이었다. 오스미리듐의 무게감과 비중은 왠지 달랐다. 짜릿한 전율이 느껴졌고 나도 모르게 마음이 놓였다. 삼촌은 오스뮴은 백금족 금속 중에서 눅는 점이 제일 높기 때문에 구하기 힘들고 비싸기는 해도 언젠가는 백금 대신 전구용 필라멘트로 쓰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중략)
한번은 데이브 삼촌이 커다란 알류미늄 막대를 보여준 적도 있엇다.
묵직한 백금족 금속만 접하던 나는 나뭇조각만큼이나 가벼운 알루미늄 막대를 보고 깜짝 놀랐다.
"재미있는 걸 보여주마"
삼촌은 반질반질 윤기가 흐르는 알루미늄 덩어리에 수은을 발랐다. 그랫더니 갑자기 -끔찍한 병에 걸리기라도 한 것처럼- 표면이 아래로 갈라지면서, 곰팡이 비슷하게 생긴 하얀 물체가 알류미늄 표면을 뚫고 고개를 내밀더니 0.5cm, 1cm 로 점점 자라서 알루미늄 덩어리를 완전히 덮어 버렷다. (중략)
나는 이 광경을 보고 신기하고 놀라웠지만 반짝이던 알루미늄이 순식간에 바스락거리는 녹으로 변하다니 한편으로는 무서웠다. 꿈속에서나 보던 저주나 주문에 걸린 것 같았다. 수은이 금속을 파괴하는 악마로 느껴졌자. 다른 금속도 수은을 바르면 다 이렇게 될까?
------------------------------------------------------------
우리는 텅스텐 알갱이를 모아 증류수로 조심스럽게 씻은 다음 돋보기로 관찰하고 무게를 달았다. 삼촌은 0.5ml짜리 눈금 실린더를 꺼내서 0.4 ml 눈금까지 물을 붓고 텅스텐 알갱이를 넣었다. 수위가 0.05ml만큼 높아졌다. 나는 정확한 숫자를 적고 계산을 시작했다. 무게가 1g이 조금 못 되었으니까 비중은 19였다.
------------------------------------------------------------24. 음
'25.2.14 3:38 PM (185.69.xxx.116)저도 랩다이아 반지 사서 잘 끼고 다녀요 ㅋㅋㅋㅋ 사람들이 잘 모르더군요 명품주얼리와 적절하게 섞어서 끼니 진짜인줄 아는 사람도 있고 그래서 아끼지 않고 막 끼고 다닙니다. 티파니 다이아반지도 있는데
이거랑 구분이 안가서 진짜 깜짝 놀랬어요!25. 우와
'25.2.14 3:38 PM (151.177.xxx.53)똑똑한 댓글들.
우리나라 실험실에서 몇 천원이면 다이아 만든대요.
옛날옛적 싸구려 누런금으로만 예물들 받았는데. ㅋㅋㅋㅋ
2캐럿짜리 다이아반지에 흔하디흔했던 1캐럿다이아도 못받아서 속으로 좀 그랬는데 이게 웬일이야.26. ㅇㅇ
'25.2.14 4:16 PM (106.101.xxx.25)천연이 더 좋을 이유가 없죠
구성성분이 똑같으니까..
오히려 랩다이아가 더 깨끗하고 광채도 좋아요27. .........
'25.2.14 5:34 PM (114.84.xxx.216)phrena님
귀한 지식과 정보 나눔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써주신 댓글 아주 흥미롭게 잘 보고 가요~28. 디아
'25.2.14 6:32 PM (220.117.xxx.206)천연이 더 좋다 나쁘다의 문제보다 더 큰게 다이아를 가공 유통하는 큰채널인 이스라엘, 인도, 중국에 업계에선 랩다이아를 천연에 섞어 유통한지가 꽤 됐다는 게 공공연한 비밀이에요. 다이아를 감정해서 보증서를 발급하는 기관에선 다같은 다이아라 가공된 스톤에 레이저로 천연인지 랩인지 각인을 하는거구요. 그러면 그 스톤은 내추럴로 신분을 갖추는 거니까요. 경제는 심리니까 머 다이아도 천연이라고 믿고 사면 걸로 만족하시면 돼요. 투자상품이라고 생각은 마시고…
29. blueㅇ
'25.2.14 11:38 PM (112.187.xxx.82)다이아 ㆍ 재미있네요
30. 다이아 사주나요?
'25.2.14 11:40 PM (220.126.xxx.164)금은방 가면 다이아 사주나요?
부모님께 받은 천연 다이아 있는데 걍 딸 결혼할때 다시 세공해서 줄랬는데 걍 팔아버리는게 낫겠네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