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있을때면 제일 많이 하는일이
설거지예요,
힘들이지않고도 잘 닦여지는 물컵도 있는가하면
힘써서 닦아야하는 밥솥도 있어요.
스텐수세미가 닳고 그 찬란한 빛을 잃은댓가로
거듭 깨끗해진 우리집 냄비들, 컵들, 접시들.
그 단촐하고 평범한 일상이
엄마에겐 이루기 힘들었던 삶이었어요.
어쩌다, 한동네 살던 이모네 가면
다들 외출했는지 빈집인경우가 있는데
그럴때마다 어지럽혀진 소파위의 옷가지를 치우고
산더미처럼 쌓인 그릇들을 설거지하고,
수건을 삶고, 이불홑청을 빨아, 옥상위 빨래줄에 널면
바람결에 나부끼며 펄럭이는 청결한 냄새들.
냉장고를 정리하고, 꽃무늬 식탁보로 깔고
온집안 청소를 한뒤 말간 유리창너머 보이는 마당의 꽃들.
청결한 꽃무늬식탁보와,
뽀얗게 말라가는 빨랫줄의 수건들이
바람결에 나부끼며 흔들리는 그 일상의 잔잔한 그림들이
엄마에겐 평생을 이루지못한 꿈이고, 가보지못한 노스텔지어였구나.
유년시절, 인상깊은 성경구절이 있어요.
종려나무가지를 흔들며 오소서 주님하고
군중들이 반겨맞으며 기다렸다는 내용이
저는 종종 생각나요.
사람들마다, 손에 들고 흔드는 바램이 있을텐데
주님을 바라는 사람들은 종려나무일테고.
우리 엄마는 빨랫줄위의 하얀 수건들일테고
게다가 언젠가
평생을 가장의역할을 하지못한채
식당일을 하며 생계를 꾸려온언니에게 기대며 살았던 형부가 누군가와 채팅하면서
쓴 편지도 발견이 된적있었어요.
그대를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손엔 하얀 손수건을 흔들고
입엔 빨강 양말을 흔들고 서있을까요.
언니말로는, 평생 이런 다정한 말을 해준적이 없는 사람이
채팅창에선 이런 근사한 시를 썼대요.
늘 술만 마시고, 세상을 향해 포효하던 아빠는
평생을 그렇게 살다갔어요.
그런 아빠덕분에 엄마는 몸으로 할수있는 모든 중노동은 다 해야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머리채를 잡혀 밤새도록 잠못자는 고통도 겪어야 했어요.
가끔, 온몸에 암이 퍼져서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손쓸수가 없이 무섭게
고통당하고 간 아빠가 생각나요.
엄마의 일상에 단한번도 놓여보지못한 꽃무늬 커피잔,
외롭고 힘들었어요. 그 삶이 저물듯, 저물듯,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깨끗이 정리된 엄마의 싱크대와 꽃들. 저는 알아요.
치열하게 살아낸 오늘의 흔적이라는것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