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에게 세금을 99%에게 복지를..

........ 조회수 : 1,459
작성일 : 2025-02-10 13:10:23

https://thumb.mt.co.kr/06/2011/10/2011101521578250818_1.jpg/dims/optimize/

 

세금 0원' 면세자 25%… 소득 상위 10%가 세금 85% 부담

 

작년에 걷힌 종합소득세의 절반가량은 소득 상위 1%가 부담했다. 소득 상위 10%로 넓히면 세금의 85%를 냈다.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는 소득세의 누진세 구조와 함께 아예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는 면세자 비율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유독 높은 한국의 특수성이 작용한 결과다.

 

20일 국세청에 따르면, 작년분 종합소득세 납세자 1148만명(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 제외) 가운데 소득 상위 1%의 종합소득은 약 81조원으로 전체 종합소득(약 386조원)의 21.1%였다.

 

하지만 상위 1%가 낸 세금은 약 25조원으로 전체 세액(52조원)의 절반에 육박하는 49.3%로 집계됐다.

 

상위 10%는 전체 소득의 52.1%를 벌었는데, 세금은 전체 종합소득세 납세자의 84.8%를 부담했다.

 

작년에 근로소득을 신고한 직장인 2085만명을 기준으로 봐도 상위 10%는 전체 소득의 31.6%를 벌었는데, 전체 세금의 72.2%를 부담했다.

이처럼 세금의 상당 부분을 소득 상위층이 부담하는 것은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는 면세자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은 이미 고소득자에 대한 조세 비율이 높은 나라인데

꼭 저런 문구를 달아서 시위 해야 할까요.

 

서로가 서로에게 고마워 하면서 살아야 하는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렇게 니꺼 뺏어서 나한테 줘 식으로 하면 누가 세금 내고 싶어할까요.

계층간 갈등만 커지고 혐오만 커지죠.

그렇게 되면 조세저항은 더 커지고 국내자산유출등 국가 경제에도 위험한 일이구요. 

 

기본적으로 세금 많이 부담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그만큼 부가가치를 많이 창출했다는 말인거죠.

그만큼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었고 또 세금으로서 다시 사회에 도움이 되는것인데

고마워 하지는 못할망정.. 무조건 더 내라. 이런식의 사회적 요구가 자칫 사회 세대간 갈등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되네요.

IP : 61.78.xxx.218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2.10 1:15 PM (223.38.xxx.67)

    82는 연령대가 높아서 세금 내는거 민감하네요.

    강남 지역 세금 많이 내는게 인프라 깔린거
    혼자 잘난게 아니고 강남 개발로 몰아주기 한 결과인것처럼 본인이 세금 많이 낸다고 오롯히 본인 능력이라 착각은 금물..
    알게 모르게 사회의 지원으로 받은 결과죠.
    그게 아깝나요.

  • 2. 두가지
    '25.2.10 1:21 PM (122.34.xxx.61)

    우리나라는 간접세 비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 많이 높습니다. (적은 소득으로 소득 세금 안내는 사람도 필수 소비를 하면서 내는 세금이 많다는 뜻입니다. )
    그거 쏙 빼고 소득세 부분만 놓고 말하는건 맞지 않아요.

  • 3. 아니
    '25.2.10 1:24 PM (211.244.xxx.188)

    강남 인프라랑 소득이 뭔 상관이에요? 그럼 다들 인프라 이용해서 고소득자 되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고소득자가 강남만 살고 강남에서만 직장다니나요? 거기 저 소득자도 일 많이해요.. 그분들 소득세율도 높여야하나요? 아무데나 인프라 이용했으니 혼자 잘난거 아니다고.. 그렇데 따지면 지방 혹은 시골 사람은 서울 시만 모두 세율 높여야한다해도 할말 없을듯

  • 4. 웃기는댓글
    '25.2.10 1:36 PM (211.212.xxx.185) - 삭제된댓글

    혼자 잘난게 아니고 강남 개발로 몰아주기 한 결과인것처럼 본인이 세금 많이 낸다고 오롯히 본인 능력이라 착각은 금물..
    알게 모르게 사회의 지원으로 받은 결과죠.


    학생때 수업시간에 졸지않고 잠 덜자고 공부 열심히 해서 남들이 부러워하는 대학 입학
    대학생때 수업 빠지지않고 공부 열심히해서 학점 잘받고 봉사활동 자격증 어학공부 열심히해서 다들 부러워하는 직업갖고 월화수목금금금으로 치열하게 산 결과로 높은 연봉받고 월급쟁이 유리지갑으로 연봉의 40%,성과급은 무려 55%이상 세금으로 제하고 냅니다.
    이렇게 많은 세금을 내고도 돈 쓸 시간없이 바쁘기도 하고 옷 가방 쇼핑 이런거에 관심없다보니 매달 모은 돈으로 주거래은행 담당직원의 권유대로 적금 예금 등등 투자상품에 가입한 결과 금융배당소득이란게 생겼습니다.
    그랬더니 직장건강보험과 별개로 소득월액인개 뭔가 건강보험료를 또 별도로 내라는데 금액이 상당해서 직장건강보험은 월급에서 매달 제하는거라 얼마인지도 몰랐다가 도대체 내가 내는 보험료가 얼마인가 알아봤더니...

    성적, 학벌, 직업 이런거가 왜 오롯이 본인 능력이 아닌가요?
    강남사는 사람들은 죄다 불로소득, 강남개발로 인한 특혜 인가요?

  • 5.
    '25.2.10 1:37 PM (222.118.xxx.116)

    그만큼 우리나라는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소리겠죠.
    안전하지 않은 나라가 되고 있네요.
    1%에 해당하는 사람들, 자기가 번 돈이 다 자기의 노력으로만 번 거라고 착각하지 마세요.
    저는 그 소리가 제일 웃기더라고요.

  • 6. 웃기는 댓글
    '25.2.10 1:38 PM (211.212.xxx.185)

    혼자 잘난게 아니고 강남 개발로 몰아주기 한 결과인것처럼 본인이 세금 많이 낸다고 오롯히 본인 능력이라 착각은 금물..
    알게 모르게 사회의 지원으로 받은 결과죠.


    학생때 수업시간에 졸지않고 잠 덜자고 공부 열심히 해서 남들이 부러워하는 대학 입학
    대학생때 수업 빠지지않고 공부 열심히해서 학점 잘받고 봉사활동 자격증 어학공부 열심히해서 다들 부러워하는 직업갖고 월화수목금금금으로 치열하게 산 결과로 높은 연봉받고 월급쟁이 유리지갑으로 연봉의 40%,성과급은 무려 55%이상 세금으로 공제 당하고 받습니다.
    이렇게 많은 세금을 내고도 돈 쓸 시간없이 바쁘기도 하고 옷 가방 쇼핑 이런거에 관심없다보니 매달 모은 돈으로 주거래은행 담당직원의 권유대로 적금 예금 등등 투자상품에 가입한 결과 금융배당소득이란게 생겼습니다.
    그랬더니 직장건강보험과 별개로 소득월액인개 뭔가 건강보험료를 또 별도로 내라는데 금액이 상당해서 직장건강보험은 월급에서 매달 제하는거라 얼마인지도 몰랐다가 도대체 내가 내는 보험료가 얼마인가 알아봤더니...

    성적, 학벌, 직업 이런거가 왜 오롯이 본인 능력이 아닌가요?
    강남사는 사람들은 죄다 불로소득, 강남개발로 인한 특혜 인가요?

  • 7. ...
    '25.2.10 1:38 PM (175.198.xxx.133) - 삭제된댓글

    세금 많이 내면 애국자인데.. ?
    저 사진젊은 청춘이 그냥 자기 생각 표현 한거구만..?..
    한국에 초부자들 세금 많이 내시면 애국 하시는 겁니다...?^^
    유럽 선진국 세금 내는거 못들으셨어요...?
    초부자,부자,서민들 수입에 40%는 세금으로 나갑니다..?
    복지혜택도 야무지게 받고요..?^^

  • 8. 강남 사람들
    '25.2.10 1:43 PM (59.6.xxx.211)

    대부분
    가만 앉아서 집값이 몇 십억 뛰었으니 불로소득 맞죠.

  • 9. 뻔뻔한 인간들이
    '25.2.10 1:52 PM (223.38.xxx.249)

    참 많네요ㅜㅜ

    세금도 안내는 주제에 더 큰소리 치는게 어이가 없네요

    뼈빠지게 힘들게 일해서 소득세 40% 내봐야
    세금 많이 내는 사람들 고충을 알텐데요

    세금을 안내봤으니 남한테 세금이나 더 내라고
    뻔뻔하게 큰소리 치는 거죠

    세금 많이 내는 사람들한테 감사하며 살라구요!

    세금 많이 내는 사람들이 진정 애국자입니다

  • 10. 더불어 살다
    '25.2.10 1:55 PM (49.165.xxx.150)

    내가 직장에서 고소득 받을 수 있는 것은 나 혼자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나라가 그만큼 성장했고 사회가 발전했으며 사회와 회사 구성원들의 도움과 수고로 내가 이렇게 노동의 댓가를 받게 된 것입니다. 지금은 은퇴했지만
    저도 몇년전까지 외국계 금융기관에서 세전 몇억 이상의 연봉을 받던 나름 고연봉자였으니 오해마시길..

  • 11. 간접세 타령ㅠ
    '25.2.10 1:57 PM (223.38.xxx.142)

    참 양심도 없네요ㅜㅜ

    여기서 간접세가 왜 나와요
    외국인도 물건 사면 다 내는게 간접세인데요

    세금 많이 내는 사람들은 간접세도 더 냅니다!!!
    그만큼 소비액도 늘어나니까요

    간접세 타령이라니...참 양심도 없네요ㅜㅜ
    간접세로 물타기가 통할줄 아나보네...
    누구를 바보로 아나... ㅉㅉ

    직접 소득세를 많이 내보지 않았으니 그 고충도
    모르고 헛소리만 하네요ㅜㅜ

  • 12. 면세자 40%는
    '25.2.10 2:00 PM (223.38.xxx.95)

    왜 실질적으로 세금을 안 내나요ㅠㅠ
    (일부는 도로 다 환급 받음)

    우리나라는 왜 이리 면세자 비율이 높나요? ㅠㅠ
    우리나라도 면세자 비율을 줄여야 합니다
    법개정을 해야 합니다

  • 13. 딴거안바람
    '25.2.10 2:05 PM (218.50.xxx.110)

    1. 세금 잘 써주길
    2. 내놔 말고 고마워하는 마인드좀.(배아파리즘이 너무강함)

  • 14. 세금내는게 억울
    '25.2.10 2:10 PM (223.38.xxx.200)

    소득세도 많이 내는 사람들은
    의료보험비도 많이 내야 하고
    국민연금도 많이 내야 합니다

    의료보험비는 많이 내는 사람돈 걷어서 결국 그 혜택은
    의료보험비 조금 내는 사람들한테 다 돌아가게 됩니다
    일종의 복지혜택이죠
    의료보험비 강제로 많이 내는 사람들만 억울한 거죠
    솔직히 의료보험 제도 없애고 사보험 제도 들어오면 좋겠어요
    그 혜택 받는 사람들이 고마워하는 것도 아니잖아요

    국민연금도 조금 내는 사람들이 더 받고
    많이 내는 사람들이 손해라고 댓글도 있었죠
    이것도 조금 내는 사람들한테는 더 이득인 복지혜택이죠

    세금 많이 내는 사람만 이것저것 다 몰빵으로 많이 내게하는게
    억울하네요

    죽어라 일해서 돈 벌어도 나가는 세금이 너무 많잖아요
    소득세 뿐만 아니라 의료보험비와 국민연금까지도
    액수 차등이 너무 심하잖아요ㅠㅠ

  • 15. . .
    '25.2.10 4:44 PM (222.237.xxx.106)

    하위25프로도 1프로라도 받아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5142 펌글) 명태균 특검은 보수궤멸 시나리오? 4 .. 2025/02/12 1,019
1685141 에어프라이어로 식빵 굽기 가장 좋은온도 시간은? 2 2025/02/12 934
1685140 인간극장 그대 그리고 나 3 .... 2025/02/12 3,020
1685139 토지허가제 해제지역 갭투자 늘고. 서울시 부동산투기 더 늘겠네요.. 7 서울탈출해야.. 2025/02/12 1,507
1685138 싱그릭스 2차 접종후 4 블루커피 2025/02/12 1,313
1685137 외국에서 한국인인지 한 눈에 알아봐지는 패션. 75 2025/02/12 15,935
1685136 94년 특집 드라마 ' 흔히 볼 수 없는 사람' 1 연시 2025/02/12 973
1685135 잡채에 느타리버섯 넣어도 되나여? 5 2025/02/12 1,134
1685134 대학생아들에게 여친,배우자 선택시 국힘지지자가 아니었으면 좋겠다.. 31 탄핵인용 2025/02/12 2,903
1685133 유시민 "尹 지지율, 25% 수감되니 51%⋯무기징역엔.. 9 ㅅㅅ 2025/02/12 3,485
1685132 김선민의원 국회연설 보세요. 명연설입니다 6 와... 2025/02/12 1,217
1685131 승희라는 이름이 아줌마 이름인가요? 41 ㅇㅇ 2025/02/12 3,531
1685130 대학생 자녀 서울에 놔두고 지방으로 내려가기. 가능할까요? 13 은퇴하고싶다.. 2025/02/12 2,459
1685129 고3 올라가는 아이 지금 미술시작해도 될까요? 17 고민 2025/02/12 1,802
1685128 민주당 "대관람차에 1조 쓰겠다는 오세훈 황당무계&qu.. 6 ........ 2025/02/12 1,614
1685127 오늘 본 충격뉴스 _ 딸기스무디, 플라스틱 2 웬일 2025/02/12 3,509
1685126 예수님이 다시 부활하시면. 6 교인 2025/02/12 1,043
1685125 제일 비참한 여인 탑3 ' 경혜> 소헌> 원경' 11 역사공부 2025/02/12 2,860
1685124 한화오션 수익 42프로... 8 .. 2025/02/12 2,735
1685123 갱년기때 통증 어떠셨어요? 3 와이 2025/02/12 1,449
1685122 60후반엄마한테 아이패드주면 사용하실까요 7 Kong 2025/02/12 1,426
1685121 버스는 한시간 반 후에 오는데.. 10 어쩌지 2025/02/12 1,737
1685120 70년대 노래. 제목 뭘까요? 4 ㅇㅇ 2025/02/12 720
1685119 올리브영 인생템 추천 > 활용 꿀팁 놓고 갑니다 42 코코몽 2025/02/12 7,834
1685118 대통령을 하나만 뽑긴 좀 ~ 8 .. 2025/02/12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