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식에 부르지 마요

진짜 조회수 : 12,612
작성일 : 2025-02-10 08:47:54

시간이 남아 도는 것도 아니고 

내 쉴 시간도 부족하구만

그냥 마음으로만 축하해주면 안돼요?

매번 돈봉투준비하는 것도 솔직히 싫구요

부조금사양하는 결혼식이라면 굳이 반대안할게요

가족끼리 하시고 주변인은 제발 부르지 마세요

IP : 121.165.xxx.203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결혼식
    '25.2.10 8:50 AM (211.234.xxx.95) - 삭제된댓글

    할 일이 없어요.

  • 2. 그정도면
    '25.2.10 8:51 AM (1.227.xxx.55)

    그냥 말로만 축하해 주면 되는 겁니다.
    지인들 중 진짜 축하하면서 식장에 올 사람도 있을테니까요.
    뭐가 문제인지요.

  • 3. ...
    '25.2.10 8:51 AM (175.192.xxx.144)

    이제 진짜 결혼식 장례식 돌잔치 다 가족끼리만 하는걸로 아예 법으로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 4. ...
    '25.2.10 8:53 AM (114.204.xxx.203)

    돌 백일은 정말 싫고요
    결혼 장례는 가족 아주 가까운 사이만 불러야죠
    님 경운 먼 사이니 안가고 안부르면 되고요

  • 5.
    '25.2.10 8:54 AM (121.188.xxx.245)

    참석하지말고 말로 축하해주면 될듯

  • 6. 장례식도
    '25.2.10 8:56 AM (221.143.xxx.171)

    마찬가지
    일년에한번얼굴볼까말까인데
    부고좀보내지말자구요 ㅠ

  • 7. ㅡㅡㅡㅡ
    '25.2.10 8:56 AM (61.98.xxx.233)

    이런 마음 들 정도면 그리 가까운 사이도 아닐텐데.
    그냥 말로만 축하해 주세요.

  • 8.
    '25.2.10 8:57 AM (121.168.xxx.239)

    그니까요.
    가족끼리하면 허례허식없을거고
    비교도 없을건데
    안가기도 그렇고 이래저래 힘들어요.
    자녀들 스몰 결혼하려해도
    아이들. 상대편.사돈댁 다 입장이 다르니
    내 생각 고집하기도 그래요.

  • 9. 그냥
    '25.2.10 9:00 AM (112.157.xxx.212)

    서서히 사라져갈거라고 생각 하는데요
    원글님 같은 분이 안가시고 안부르면
    그게 더 빨라지겠죠
    결혼식이고 장례식이고
    꼭 가서 보고싶은 사람도 있을겁니다
    원글님 같은 분들이 많아지면
    더 빨리 가족끼리 치르는 문화가 자리잡게 될겁니다

  • 10. 아이스아메
    '25.2.10 9:00 AM (58.29.xxx.101) - 삭제된댓글

    아이고.. 자기들 결혼할때는 이사람 저사람 다 불렀을꺼면서 이제 결혼할일 없다 이건가 ㅋㅋ 이래서 여자들은 늦게 결혼하면 친구들 별로 않오나봄

  • 11. ..
    '25.2.10 9:02 AM (1.235.xxx.154)

    이렇게싫어하시다니...
    친하지않은 분이 많이 부르셨군요
    저는 청첩장받고 안 갔던 결혼식은 딱 한번

  • 12. ..
    '25.2.10 9:20 AM (211.112.xxx.69)

    뿌린거 거둬야 하는 사람들은 그래도 불러야죠.
    그것도 내돈인데.

    앞으로는 점점 더 없어지겠죠.
    외국처럼 친한 사람 몇명 모아놓고 축하하던지
    가족만 모아놓고 하던지 점점 바뀔거예요.
    코로나때 장례식도 가족끼리 하고 끝냈었는데 그 이후로도 점점 그렇게 하는 사람들 많아지잖아요.

  • 13. 으이구
    '25.2.10 9:31 AM (210.205.xxx.119)

    이런것도 모르고 눈치없이 큰홀 계약해서 회사사람 부르던 남편. 돈 내고 호텔식사하면 오는 사람도 좋지뭐 이런 말을. 결국 구세대가 없어지고 물갈이 되어야 문화가 바뀔 것 같네요.

  • 14. .........
    '25.2.10 9:32 AM (183.97.xxx.26)

    빙모빙부상 이런것도 좀 안보냈음 좋겠어요.

  • 15. 참나
    '25.2.10 9:34 AM (49.164.xxx.30) - 삭제된댓글

    가지마요..어디다 화풀이야?

  • 16. ..
    '25.2.10 9:47 AM (223.57.xxx.98)

    제목 참.. 님 지인들에게 단체문자 보내세요.
    왜 여기서 화내요?

  • 17. ...
    '25.2.10 10:09 AM (39.7.xxx.119)

    제가 스몰웨딩을 했어요. 딱 20명. 가족들도 다 못불렀고, 초대하지 못했기 때문에 축의를 거절하는 문구를 넣었어요.
    다들 아쉬워했지만 속으로는 좋아했을거라고 봐요.
    그럼에도 부득불 오겠다고 우겨서 지인두명은 오기도 했어요. ㅎ
    뿌린거에 대한 아쉬움이 들지 않도록 마음의 준비를 잘 하고 있었는데, 종종 생각나긴 하더라고요. 내가 가서 축하해주고 축의를 준 사람중에 대부분은 다른 방식으로라도 축하를 했는데, 받기만 하고 정말 말로만 축하한다고 한 사람도 있긴 하거든요.
    이 사람이 나한테 먼저 연락하지 않는다면, 이 관계에 대해 너는 이 정도라고 생각하는구나... 하고 저도 연락하고 싶지는 않을 것 같아요.

  • 18. ..
    '25.2.10 10:22 AM (59.9.xxx.163)

    결혼식 장례식 돌잔치로 장사해야는사람들이 주로 부릅니다.
    진짜 직계나 절친들로만 하는게맞아요

  • 19. 그쵸
    '25.2.10 10:29 AM (169.212.xxx.150)

    스몰웨딩나
    가족장례 점점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근데 자게글에서 연세 많은 분들이 많으니
    장례식에서 가족장례나 빈소 안 차리고 약식으로 하는 글에
    이런 거 처음본다고 막 뭐라하던 분들이 생각나네요.

    코로나 이후에 점점 일반화되는 추세인데 본인만
    모른다고 뭐라하다니..
    원치않는 축의,부의금 때문에 다들 부담스러워하면서 말이죠

  • 20. 휴식
    '25.2.10 11:33 AM (125.176.xxx.8)

    호텔결혼식
    축의금 더 내야하나 고민하게 만들어요.
    그래서 가깝지 않으면 핑게대고 축의금만 주고 안가요.
    미안해서.

  • 21. 심지어
    '25.2.10 2:12 PM (58.230.xxx.181)

    할머니까지... 얼마전 자기 오빠 장례식에도 부르는데 참..

  • 22. ...
    '25.2.11 12:46 AM (112.166.xxx.103)

    전 결혼식은 좋던데..

  • 23.
    '25.2.11 1:05 AM (183.99.xxx.230)

    뭘 또 부르지 말라구 ㅎㅎ
    받아서 안갈만 하면 신경 안쓰면 되죠.
    사는 게
    결혼식도 가고.장례식도 가고
    서로 다니며 사는 거죠.

  • 24. 2222
    '25.2.11 1:20 AM (218.48.xxx.188)

    이제 진짜 결혼식 장례식 돌잔치 다 가족끼리만 하는걸로 아예 법으로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22222

  • 25. 진짜
    '25.2.11 2:15 AM (72.12.xxx.162)

    가까운 사이들이나 결혼식 초대해줬으면 ...

  • 26. 지긋지긋
    '25.2.11 2:29 AM (151.177.xxx.53)

    거두지도 못하고 몸만 빠져나옴. 십 년간 한달에 30만원씩 낸것같음.
    다 결혼식. 돌잔치!!! 미친나. 지새끼 지나 이쁘지 거기에 왜 돈달라고 왜 뿌리냐.

  • 27. 맞아요.
    '25.2.11 3:08 AM (221.138.xxx.71)

    부조금사양하는 결혼식이라면 굳이 반대안할게요

    가족끼리 하시고 주변인은 제발 부르지 마세요
    2222222222222222222

    주말에 좀 쉽시다.
    장례식은 상주 마음이 힘들테니 왠만하면 가겠는데
    결혼식은 이거 뭐..
    지들 좋아서 뽀뽀를 하던 포옹을 하던 알아서 했으면 좋겠어요.
    이벤트랍시고 친구들이랑 장난치고 풍선날리고..
    그냥 니들끼리 하세요

    돌잔치 부르는 사람은 아예 대놓고 못간다고 말합니다.
    직계 가족 아니면 안가요.
    돌잔치 부르는 건 진짜 미친거 아닌가요? 요즘 시대에??

  • 28. 맞아요.
    '25.2.11 3:10 AM (221.138.xxx.71)

    얼마전 모임에서 딱 정했어요.

    부모님 장례까지만 가는 걸로요.
    시부모님이나 다른 친척 장례는 부르지 말자고 서로 얘기해 두었어요.
    그리 정하니 마음이 편하더군요.
    결혼식은 왠만하면 직계가족만 하거나, 부조금 안 받는 결혼식 하려구요.

  • 29. 모임이
    '25.2.11 4:12 AM (58.236.xxx.72)

    친구 모임이 두개인데
    두 곳 다 첫 시부상 친구가 안부르는거로
    스타트 끊어줘서 고맙더라구요 ㅜ

  • 30. ....
    '25.2.11 6:59 AM (203.142.xxx.241)

    뭘 또 부르지 말라구 ㅎㅎ
    받아서 안갈만 하면 신경 안쓰면 되죠.
    사는 게
    결혼식도 가고.장례식도 가고
    서로 다니며 사는 거죠.22222222

  • 31. ㅇㅇ
    '25.2.11 8:38 AM (118.235.xxx.107)

    빙모상/빙부상/시모상/시부상 이런건 안부르는 걸로 나라에서 법으로 정헤주면 좋겠어요
    결혼식이건 장례식이건 돌잔치건 6촌 이내만 참석하는 걸로 누가 아예 법을 제정해주면 좋겠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5235 대전, 정교사가 애를 납치해서 범행을 저지른거라네요 25 .. 2025/02/10 11,306
1685234 테슬라의 변동성은 참 8 ㅇㅇ 2025/02/10 2,612
1685233 정교사 맞네요 9 ㅇㅇ 2025/02/10 4,360
1685232 옷에 까다로운 친정엄마 26 ... 2025/02/10 6,263
1685231 영화 괴물..이해가세요(고레에다 감독) 23 2025/02/10 4,122
1685230 구축아파트 주차때문에 삶의 질 떨어져요 23 ㅇㅇ 2025/02/10 7,068
1685229 최욱 진짜 천잰데요??? feat. 장설철 3 하늘에 2025/02/10 5,919
1685228 복부초음파vs복부ct 5 ㅇㅇ 2025/02/10 1,945
1685227 가지가 보라색 물이 나오는데 괜찮은건가요? 5 가지볶음 2025/02/10 1,818
1685226 대전 초등생 가해자는 돌봄전담사 아닌 정식교사 38 .. 2025/02/10 15,047
1685225 아귀포 매일먹으면 몸에 안좋겠죠? ㅠ 7 2025/02/10 2,874
1685224 3-2 생기부 2 입시 2025/02/10 1,112
1685223 제주여행 3일차. 부동산 얘기도 해볼게요. (긴글주의) 24 ... 2025/02/10 4,786
1685222 김건희와 이명박의 매우 충격저.. 31 ... 2025/02/10 8,580
1685221 동남아 패키지 현지가면 또 추가돈내나요? 18 여행 2025/02/10 2,156
1685220 뉴스보니 세수가 23.24 년도 34 2025/02/10 2,471
1685219 말하는 앵무새 김루이 너무 웃겨요 28 같이 봐요 2025/02/10 3,921
1685218 낙동강 주민들 콧속에서 녹조 독소 검출… 국민 건강 우려 확산 .. 8 우리가남이가.. 2025/02/10 1,513
1685217 백두장군이~~~ ㅇㅇ라고 하신다!! 1 백두장군 2025/02/10 1,321
1685216 대전 초등학교에서 8살 여학생이 흉기에 숨졌다고 하는데요 11 ee 2025/02/10 4,721
1685215 "가난하고 천한 게" 교사가 학부모에 막말 문.. 6 ㅇㅇ 2025/02/10 4,756
1685214 매몰법으로 한 쌍수 풀렸는데 다시 매몰법 가능한가요? 8 ..... 2025/02/10 1,296
1685213 이런 경우엔 환불 불가일까요???ㅠㅠ 6 ㅠㅠ 2025/02/10 1,718
1685212 냉부해 손석구 9 ㅇㅇ 2025/02/10 5,215
1685211 친정엄마와 통화 후 마음이 불편합니다. 11 ㅇㅇ 2025/02/10 4,569